[include(틀:상위 문서, top1=칸 영화제)] [include(틀:칸 영화제)] ||
[[파일:prixdinterpretationmasculine.jpg|width=100%]] || [목차] == 개요 ==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Prix d'interprétation masculine)은 칸 영화제에서 남배우들에게 수여하는 연기상이다. 경쟁 부문에 오른 영화 중에서의 연기를 심사위원들이 평가한 뒤 선정한다. 제1회 칸 영화제가 열린 1946년부터 수여되었으며, 배우들에게 수상을 하지 않은 1947년 제2회 영화제, 1954년 제7회 영화제, 1960년 제13회 영화제, 영화제가 열리지 않은 1948년과 1950년, 그리고 중간에 영화제가 중단이 된 1968년 제21회 영화제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개최가 아예 취소된 제73회 영화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상이 이루어졌다. == 수상자 == ||
{{{#e5d85c '''역대 시상식'''}}} || {{{#e5d85c '''배우'''}}} || {{{#e5d85c '''작품'''}}} || || [[1946년]] 제1회 || [[레이 밀랜드]]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잃어버린 주말》 || || [[1947년]] 제2회 ||<-2> 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 || [[1949년]] 제3회 || [[에드워드 G. 로빈슨]]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이방인의 집》 || || [[1951년]] 제4회 ||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브라우닝 버전》 || || [[1952년]] 제5회 || [[말론 브란도]]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혁명아 자파타》 || || [[1953년]] 제6회 || 찰스 버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공포의 보수》 || || [[1954년]] 제7회 ||<-2> 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 ||<|2> [[1955년]] 제8회 || [[스펜서 트레이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배드 데이 블랙 록》 || || 출연진 전체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 《Bolshaya semya (대가족)》 || || [[1956년]] 제9회[* 해당 년도의 시상식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연기상을 하나로 통합하였다.] ||<-2> 연기상 통합 || || [[1957년]] 제10회 || 존 키즈밀러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Dolina miru》 || || [[1958년]] 제11회 || [[폴 뉴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길고 긴 여름날》 || || [[1959년]] 제12회 || 브래드포드 딜맨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br][[딘 스톡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br][[오슨 웰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강박충동》 || || [[1960년]] 제13회 ||<-2> 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 || [[1961년]] 제14회 || [[안소니 퍼킨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이수》 || ||<|2> [[1962년]] 제15회 || [[딘 스톡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br][[제이슨 로바즈]]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br][[랠프 리처드슨]]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밤으로의 긴 여로》 || || 머레이 멜빈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꿀맛》 || || [[1963년]] 제16회 || [[리처드 해리스]]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 《욕망의 끝》 || ||<|2> [[1964년]] 제17회 || 안탈 페이거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 《파시르타》 || || 사로 어지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유혹당하고 버림받다》 || || [[1965년]] 제18회 || [[테렌스 스탬프]]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편집광》 || || [[1966년]] 제19회 || 퍼 오스카슨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 《헝거》 || || [[1967년]] 제20회 || 오데드 코트러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 《쓰리 데이즈 앤 어 차일드》 || || [[1968년]] 제21회[* [[68혁명]]의 여파로 시상식이 중간에 중단되었다.] ||<-2> 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 || [[1969년]] 제22회 || [[장루이 트랭티냥]]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Z(영화)|제트]]》 || || [[1970년]] 제23회 ||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질투의 드라마》 || || [[1971년]] 제24회 || 리카르도 쿠치올라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사코 & 반젯티》 || || [[1972년]] 제25회 || 장 이안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우리는 함께 늙지 않는다》 || || [[1973년]] 제26회 || [[지안카를로 지아니니]]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사랑과 무정부》 || || [[1974년]] 제27회 || [[잭 니콜슨]]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마지막 지령》 || || [[1975년]] 제28회 || [[비토리오 가스만]]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여인의 향기#s-1]]》 || || [[1976년]] 제29회 || 호세 루이즈 고메즈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 《파스쿠알 두아르테》 || || [[1977년]] 제30회 || 페르난도 레이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 《엘리자, 내 사랑》 || || [[1978년]] 제31회 || [[존 보이트]]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귀향》 || || [[1979년]] 제32회 || [[잭 레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차이나 신드롬#s-1.3]]》 || || [[1980년]] 제33회 || 미첼 피콜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리프 인 더 다크》 || || [[1981년]] 제34회 || 우고 토그나지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바보같은 자의 비극》 || || [[1982년]] 제35회 || [[잭 레먼]]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의문의 실종》 || || [[1983년]] 제36회 || [[지안 마리아 볼론테]]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마리오 리치의 죽음》 || || [[1984년]] 제37회 || 알프레도 란다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br]프란시스코 라발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 《죄없는 성자들》 || || [[1985년]] 제38회 || [[윌리엄 허트]]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거미 여인의 키스#s-3]]》 || ||<|2> [[1986년]] 제39회 || 미셸 블랑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이브닝 드레스》 || || [[밥 호스킨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모나리자》 || || [[1987년]] 제40회 ||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검은 눈동자》 || || [[1988년]] 제41회 || [[포레스트 휘태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버드(영화)|버드]]》 || || [[1989년]] 제42회 || [[제임스 스페이더]]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 || [[1990년]] 제43회 || [[제라르 드빠르디유]]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시라노#s-2]]》 || || [[1991년]] 제44회 || [[존 터투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바톤 핑크]]》 || || [[1992년]] 제45회 || [[팀 로빈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플레이어(영화)|플레이어]]》 || || [[1993년]] 제46회 || [[데이빗 듈리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네이키드》 || || [[1994년]] [[제47회 칸 영화제|제47회]] || [[갈우]]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인생(영화)|인생]]》 || || [[1995년]] [[제48회 칸 영화제|제48회]] || [[조나단 프라이스]]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캐링턴》 || || [[1996년]] [[제49회 칸 영화제|제49회]] || 파스칼 뒤켄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br]다니엘 오떼유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제8요일#s-2]]》 || || [[1997년]] [[제50회 칸 영화제|제50회]] || [[숀 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더 홀》 || || [[1998년]] [[제51회 칸 영화제|제51회]] || [[피터 뮬란]]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내 이름은 조》 || || [[1999년]] [[제52회 칸 영화제|제52회]] || 엠마뉴엘 쇼떼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휴머니티]]》 || || [[2000년]] [[제53회 칸 영화제|제53회]] || [[양조위]]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 《[[화양연화]]》 || || [[2001년]] [[제54회 칸 영화제|제54회]] || [[브누와 마지멜]]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피아니스트(미카엘 하네케 영화)|피아니스트]]》 || || [[2002년]] [[제55회 칸 영화제|제55회]] || 올리비에 구르메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 《[[아들(2002)|아들]]》 || || [[2003년]] [[제56회 칸 영화제|제56회]] || 무자페르 오즈데미르 [[터키|[[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br]에민 토프락 [[터키|[[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 《[[우작]]》 || || [[2004년]] [[제57회 칸 영화제|제57회]] || [[야기라 유야]][* 최연소 (14세) 수상]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아무도 모른다]]》 || || [[2005년]] [[제58회 칸 영화제|제58회]] || [[토미 리 존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멜키아데스 에스트라다의 세번의 장례식》 || || [[2006년]] [[제59회 칸 영화제|제59회]] || 자멜 드보즈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5]]]][br]사미 나세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br]로쉬디 젬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br]사미 부아질라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5]]]][br]베르나르드 블랑칸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영광의 날들》 || || [[2007년]] [[제60회 칸 영화제|제60회]] || 콘스탄틴 레브로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 《추방》 || || [[2008년]] [[제61회 칸 영화제|제61회]] || [[베니치오 델 토로]] [[푸에르토리코|[[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width=25]]]] || 《[[체 게바라: 1부 아르헨티나|체]] [[체 게바라: 2부 게릴라|게바라]]》 || || [[2009년]] [[제62회 칸 영화제|제62회]] || [[크리스토프 왈츠]]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 ||<|2> [[2010년]] [[제63회 칸 영화제|제63회]] || [[하비에르 바르뎀]]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 《[[비우티풀]]》 || || 엘리오 제르마노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우리의 인생》 || || [[2011년]] [[제64회 칸 영화제|제64회]] || [[장 뒤자르댕]]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아티스트(영화)|아티스트]]》 || || [[2012년]] [[제65회 칸 영화제|제65회]] || [[매즈 미켈슨]]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 《[[더 헌트]]》 || || [[2013년]] [[제66회 칸 영화제|제66회]] || [[브루스 던]]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네브라스카》 || || [[2014년]] [[제67회 칸 영화제|제67회]] || [[티모시 스폴]]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미스터 터너》 || || [[2015년]] [[제68회 칸 영화제|제68회]] || [[뱅상 랭동]]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아버지의 초상》 || || [[2016년]] [[제69회 칸 영화제|제69회]] || [[샤하브 호세이니]]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 《[[세일즈맨(영화)|세일즈맨]]》 || || [[2017년]] [[제70회 칸 영화제|제70회]] || [[호아킨 피닉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너는 여기에 없었다]]》 || || [[2018년]] [[제71회 칸 영화제|제71회]] || 마르첼로 폰테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도그맨》 || || [[2019년]] [[제72회 칸 영화제|제72회]] || [[안토니오 반데라스]]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 《[[페인 앤 글로리]]》 || || [[2020년]] [[제73회 칸 영화제|제73회]]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 || [[2021년]] [[제74회 칸 영화제|제74회]] || [[케일럽 랜드리 존스]]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니트람》 || || [[2022년]] [[제75회 칸 영화제|제75회]] || [[송강호]]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브로커(영화)|브로커]]》 || || [[2023년]] [[제76회 칸 영화제|제76회]] || [[야쿠쇼 코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퍼펙트 데이즈]]》 || === 2회 이상 수상자 === '''2회 수상'''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 《질투의 드라마》 (1970), 《검은 눈동자》 (1987)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잭 레먼]]''' – 《차이나 신드롬》 (1979), 《의문의 실종》 (1982)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딘 스톡웰]]''' – 《강박충동》 (1959), 《밤으로의 긴 여로》 (1962) [각주] [[분류:칸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