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프가니스탄의 행정구역)] [[파일:칸다하르.jpg]] 시가지 서부 옛 미군 시설에서 바라본 전경 [[파일:칸다하르 2.jpg]] 1738년 [[나디르 샤]]의 파괴 시까지 칸다하르 시가지가 있었던 현 시가지의 서남쪽 외곽 일대 ||||<#000000><:>{{{#white {{{+3 칸다하르 (아프가니스탄)}}}}}}|| ||<-3><:> [include(틀:지도, 장소=Kandahar, Afghanistan)] || * [[파슈토어]]: کندهار * [[페르시아어]]/[[다리어]]: قندهار * [[영어]]: Kandahar [목차] == 개요 == [youtube(DwD4kYwXGXM)] [[카불]]에 이어 [[아프가니스탄]]에서 [[제2의 도시|두번째로 큰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이다. 인구는 대략 60만 명이고, 대부분 [[파슈툰 족]]이다. 전통적으로 아프가니스탄 남부의 중심지이자 [[이란]] ([[호라산]])과 [[북인도]]를 이어주는 [[실크로드]] 거점 도시였다. 그에 걸맞게 지명 역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현지 발음인 '스칸다르'에서 왔다 하며[* 알렉산드로스의 아랍/페르시아어 발음인 '이스칸다르'와 유사하다], [[헬레니즘]]기에는 여러 [[알렉산드리아]] 중 하나였다. 18세기 들어서는 아프간의 첫 자체 독립국인 [[호타키 왕조]], 근대 아프간 정체성을 형성한 [[두라니 제국]]의 수도로써 상징성이 크다. 현재에도 칸다하르는 남쪽으로는 [[파키스탄]]의 [[퀘타]], 동북으로는 [[카불]], 서북으로는 [[헤라트]]로의 교통로가 이어지며 파슈툰 족 거주 지대의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파슈툰 중심 도시답게 [[탈레반]]의 고향과도 같은 곳이자 [[양귀비]] 재배의 거점이라는 오명도 있다. == 역사 == [[파일:19 칸다하르.jpg]] 19세기 칸다하르 구도심을 그린 삽화 칸다하르 도시 외곽에는 문디가크라는 거주지가 있었고, [[메디아]]와 [[아케메네스 제국]]의 아라코시아 총독부가 위치하였다. 전통적으로 아라코시아 지방은 [[조로아스터교]]세가 강했기에 페르시아 인들과 관계가 좋았다. === [[헬레니즘]] 시대 === [[파일:칸다하르 1.jpg]] 칸다하르 구도심인 아라코시아의 알렉산드리아 전경. 1738년까지 이곳이 칸다하르 시가지였다. 칸다하르는 기원전 329년에 [[알렉산드로스 3세]]의 알렉산드리아 --심시티-- 식민도시 건설의 일환으로 '아라코시아의 알렉산드리아' 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이곳에서는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왕의 각석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후 [[인도 그리스 왕국]] 하에서의 번영과 [[쿠샨 왕조]]의 지배를 거친 후, 칸다하르는 지방 샤시 왕조의 지배를 거쳐 [[사산 제국]]의 손에 들어갔다. === 이슬람 정복과 저항 === [[에프탈]]의 침입이 가신 6세기 말부터 칸다하르는 [[시스탄]] 지방의 중심부로 성장하지만 7세기 중반에 아랍 군대에게 점령 당했다. 그러나 이슬람 내전([[피트나]])을 틈타 카불 샤시의 [[힌두교]]도인 준빌 왕조가 칸다하르를 통치하였다. 그 후 [[우마이야 왕조]]가 8세기 초에 잠깐 지배하기도 했지만 곧 쫓겨났고, 결국 870년에 이란 계의 [[사파르 왕조]]가 도시를 정복하며, 칸다하르의 이슬람 화가 진전되었다. === [[몽골]]의 침입과 재건 === 이후 칸다하르는 [[가즈니 왕조]], [[구르 왕조]]의 지배를 받은 후 몽골 군대에게 점령된 후 대대적으로 파괴되었다. 다만 그 후로 재건되어 한 세기 후인 1333년에 이 곳을 지나간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칸다하르를 크고 부유한 도시라고 기술하였다. 이후 [[티무르 제국]] 치하에서 칸다하르는 번영하였고, [[티무르]] 대왕의 손자 피르 무함마드는 1383년부터 이 곳에 궁정을 차렸고, 짧은 치세(1405 - 1407년) 동안 제국의 중심부가 되기도 하였다. === 무굴 vs 사파비 === 16세기 초에는 [[카불]]의 [[바부르]]가 칸다하르를 점령하였고, 1521년에는 [[시크교]]의 창시자 구루 나나크가 힌두스턴에서 메카로 가는 여정에서 도시를 지나기도 하였다. [[무굴 제국]]에게 인도로의 관문인 칸다하르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바부르의 아들 후마윤은 [[수르 왕조]]에게 북 인도를 뺏기고 이란의 [[사파비 왕조]]로 피신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후마윤]]의 선물로 칸다하르는 사파비 조의 동쪽 변경 도시가 되었다. 다만 1590년에 그의 아들 [[악바르 대제]]의 협상으로 칸다하르는 다시 [[무굴 제국]]령이 되었다. 악바르 대제가 죽자 사파비 군대는 칸다하르를 포위하였으나(1605 - 1606년) 격퇴당하였다. 그러나 1649 - 1653년에 걸친 무굴 - 사파비 전쟁에서 도시는 다시 이란의 영토가 되었다. [[부하라 칸국]]의 카불 공격으로 무굴 제국이 힌두쿠시 산맥 이북에서 철수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중심지 === [[파일:미르와스 칸.jpg|width=700]] 시가지 서쪽 외곽에 위치한 호타키 조의 창건자 미르와스 칸의 영묘. [[파일:아흐마드샤.png|width=700]]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두라니 조의 창건자 아흐마드 샤의 영묘.[* 두 무덤이 거의 비슷하게 생겨 후자의 경우 굴뚝에 구멍이 있는 것 정도로만 구별이 가능하다] 도시는 1709년에 파슈툰 길자이족의 봉기와 함께 [[호타키 왕조]]의 수도가 되었으나 [[칸다하르 공성전|1738년에 나디르 샤에게 함락되어]] 구도심이 크게 파괴되었다. 나디르 샤는 자신이 파괴한 구도심 옆에 자신의 이름을 딴 나데라바드라는 신 시가지를 조성하였다. 1747년에 나디르 샤가 죽은 후 그의 부관이던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현 아프가니스탄의 전신인 [[두라니 왕조]]를 개창, 칸다하르를 수도로 삼았다. 1761년 3월, 아흐마드 샤는 현재의 위치에 도시를 재건하였다. 비록 1776년에 수도는 카불로 옮겨졌지만, 칸다하르는 여전히 아프간 지역의 중요한 도시였다. 19세기 초엽 두라니 조가 내전에 돌입하자 칸다하르에서는 1818년 [[바라크자이 왕조]]의 인척인 셰르 딜리 칸이 자립하여 칸다하르 공국을 세웠다. 1823년 세르 딜리 칸이 사망하자 그의 네 동생들이 내전을 벌이며 칸다하르는 성벽이 방치되는 등 쇠락하였다. 1826년에는 [[시크 왕국]]에 대한 지하드를 주장하던 인도 무슬림 학자 세이드 아흐마드 샤히드가 칸다하르에 당도하여 [[무자헤딘]]을 모집하자 4백여가 호응하였고, 아흐마드는 그렇게 모인 병력과 남하하여 [[페샤와르]]를 점령하는 쾌거를 올리기도 했으나 [[칼리파]]를 칭하는 등의 행보로 무슬림 기득권층에서도 반감을 산 끝에 결국 1831년 [[카슈미르]]에서 시크 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그와 함께 1만의 무자헤딘과 전멸하였다.[* 시크측 사상자는 5천여였다] 183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영국군에게 손쉽게 점령되었다. 다만 [[케르만]]으로 추방되었던 코한 딜리 칸이 카불 봉기로 영국군이 철수한 1842년에 칸다하르로 돌아와 재집권하였고, 혼란을 틈타 [[시스탄]]과 [[발루치스탄]] 일대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헤라트 에미르 국과 대립하던 코한 딜리 칸이 1855년 사망하자 그의 동생과 아들들이 내전을 벌였고, 그 틈에 [[바라크자이 왕조]]의 도스트 모하마드 칸이 원정하여 일대를 병합하였다. 바라크자이 왕조의 아프가니스탄 에미르국 하에서 칸다하르는 간만에 평화와 안정을 누릴 수 있었다. === 근현대 === [[파일:칸다하르 영국.jpg]] 1880년 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칸다하르 성채 앞에 주둔한 영국-인도군 1880년 6월, 영국의 2차 아프간 침공 당시 칸다하르는 격전지 중 하나였다. 7월 마이완드에서의 첫 전투에서는 아윱 칸의 아프간 군이 승리했으나, 9월의 칸다하르 전투는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다. 영국은 아프간을 보호국화 한 후, 약 1년간 칸다하르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영국 여왕을 새긴 동전을 발행하였다. 1929년 아프간 내전 당시 찬탈자 하비불라 칼라카니는 칸다하르를 봉쇄하였고, 이로써 주민들은 그해 10월 나디르 칸이 해방할 때까지 굶주림에 시달려야 했다. [[모하마드 자히르 샤]]의 치세에 칸다하르는 본격적으로 근대화를 겪었다. 1960년대에는 (카불과 바그람 등에 비행장을 건설하던) [[소련]]을 견제한 미국이 공항을 세워주었다. 이렇게 아프간에 이롭던 건설 내전은 1980년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함께 재앙으로 변했고, 무자헤딘의 근거지였던 칸다하르는 소련군의 무자비한 포격에 큰 타격을 받았다. 1984년 7월에만 3백의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다. 소련 철수 후에는 1992년 무자헤딘 대장 굴 아가 셰르자이가 군벌로 군림했으나 불안정하였고, 전쟁 전 20만에 달하던 인구는 2만 5천으로 줄어 있었다. 그러다 1994년 8월, [[탈레반]]이 점령하여 사실상의 수도로 삼으며 또다른 재앙이 시작되었다. === 현대 === [[파일:칸다하르 3.jpg]] 2005년 세워진 칸다하르 대학 모스크 [[아프간 전쟁]]에서 미군의 주요 기지가 위치하였다. 그래서인지 [[칸다하르 학살 사건]]이란 참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이 사건의 여파와 기나긴 전쟁에 도저히 이길 기미가 없어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느낀 [[미군]]이 철수하여 상당수 기지는 [[아프가니스탄군|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이 주둔하고 있다. 다만 이 철수의 반작용으로 안 그래도 개떡 같던 치안이 더 개떡 같아져, 현재 아프간 제1의 막장이라는 헬만드 주 급의 지역이 되어버렸다. [[https://m.youtube.com/watch?v=vGQ34RCv7Pc|칸다하르시에서의 교전과 함락 과정을 그린 영상]] 여기도 [[헤라트]], 라쉬카르가[* 헬만드 주의 주도] 처럼 정부가 간신히 통제하는 중이었지만, 점점 밀리다가 2021년 8월 12일 밤(현지시각) 결국 탈레반에 함락되었다. 헤라트도 같은 날 함락되었다. 다만 칸다하르 비행장엔 후퇴한 정부군이 16일날까지 버티면서 공군 수송기편으로 탈출했다. 2021년 10월 15일에 칸다하르의 쉬아 모스크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해 33명이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2725732|#]] [[분류:아프가니스탄의 도시]][[분류:아프가니스탄의 옛 수도]][[분류:아프가니스탄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