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뼈]][[분류:가슴]] ||
{{{#000 ''' ''xiphoid process'' '''}}}[br]{{{#000 ''' ''(칼돌기, 검상돌기)'' '''}}} || ||{{{#!wiki style="margin: 0px 0px" [[파일:복장뼈구조.png|width=100%&align=center]]}}} || || {{{#000 복장뼈 가장 아래쪽의 보라색 튀어나온 부분이 칼돌기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명치]]의 끝, 정확히는 양쪽 [[갈비뼈]]와 명치 바로 밑에 튀어나온 작은 돌기. [[도검|칼]] 모양처럼 생겼다 해서 검상([[劍]][[狀]])돌기, 칼돌기로 불린다. 전문 용어로는 xiphoid process 혹은 ensiform process. == 구조 == 흉골을 이루는 [[뼈]]는 병 부분과 몸체부, 마지막으로 끝부분인 이 검상돌기로 이루어지는데, 이 검상돌기는 서로 모양도, 튀어나온 정도도 제각각이나, [[사람]]이라면 무조건 가지고 있는 부분이다. 확인해 보려면 양 [[갈비뼈]]가 만나는 지점 근처를 살짝살짝 눌러보라. 뭔가 볼록하고 딱딱한 느낌의 무언가가 만져지지 않는가? 그것이 검상돌기이다. == 기타 == 참고로 아무 것도 모르고 있다 우연히 이 검상돌기를 발견하게 되면 대부분 '이게 종양이나 [[암]]이 아닐까…'하고 걱정할 수도 있는데, 전혀 걱정할 필요 없다. 그저 어릴 때 연골이었던 부분이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경질화 돼서 딱딱해진 것이므로 그저 냅두면 된다. 오히려 너무 만지다 보면 [[가슴]]에 멍이 들거나 심할 경우 '''검상돌기가 부러질 정도로 눌려 [[심장]] 또는 [[위장]]을 찌를 수도 있으니''', 답답한 느낌이 든다거나 '이거 진짜 [[암]]같은 거 아냐?' 하는 이유로 무섭다고 자꾸 만지작 대면 곤란하다. 덧붙여, 검상돌기가 유달리 튀어나온 사람이 바로 우리가 부르는 [[새가슴]]. [[새가슴]]은 [[가슴]]이 약하다는 소리가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제대로 맞으면 검상돌기가 부러져 가슴팍을 쿡 찌를 수가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