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던전 앤 파이터/던전)] [목차] == 개요 == [[파일:젤레협곡일러.png|width=100%]] [* 던전 첫 입장 시 나오는 로딩 일러스트. 던전 내 재도전 시에는 스킵된다.] > 젤레 협곡에서 로케런 힐즈까지 이어지는 지역. > 협곡(Canyon)과 언덕(hills) 지대를 두루 이르는 이름으로 캐니언 힐이라 불린다. > 아름다운 이 섬에서 황녀에 반대하던 귀족들은 그 세력을 키우며, 다시 기회를 노리고 있다. ||필드 BGM(노멀~마스터) [youtube(,width=290,height=40)]|| ||필드 BGM(킹~슬레이어) [youtube(Xgig3Jj4FD4,width=290,height=40)]|| ||보스 BGM [youtube(2R6eEdiGF5w,width=290,height=40)]|| [[히링 제도]]의 110레벨 일반 던전. 소모피로도는 직방일때 6, 풀방일때 12이다. == 입장 명성 == || '''난이도''' || '''노멀''' || '''익스퍼트''' || '''마스터''' || '''킹''' || '''슬레이어''' || || '''입장 명성치''' || 4176 || 13195 || 23259 || 29369 || 33989 || == 몬스터 == [[파일:캐니언 힐.png|width=100%]] 잡몹들 대부분이 겐트 황궁에서 보던 애들을 가져다 썼다. 애초에 던전 컨셉상 겹칠 수 밖에 없다. 그외엔 여러가지로 개조된 귀호랑들이 나온다. 겐트 황궁에서도 그랬듯에 묵화의 가시는 요주의. 이동사격 자세로 사격하면 경직이 심하게 걸리며 3명 이상이면 피통이 쭈욱 빠진다. === 볼트 MX-3 === ||<-4> '''{{{#ffffff 볼트 MX-3 }}}''' || ||<-4> [[파일:볼트MX-3.gif]] || || '''이름''' ||<-4> '''볼트 MX-3''' || ||<|5><:> '''체력''' ||<:><-2> '''노멀(약화)''' || '''133만(63만) / ?''' || ||<:><-2> '''익스퍼트(약화)''' || '''371만(162만) / ?''' || ||<:><-2> '''마스터(약화)''' || '''1179만(514만) / ?''' || ||<:><-2> '''킹(약화)''' || '''1871만(815만) / ?''' || ||<:><-2> '''슬레이어(약화)''' || '''3115만(1444만) / ?''' || || '''타입''' ||<-3> || ||<|4> '''속성 저항(약화)''' || '''{{{#ff0000 화}}}''' ||<-2> 0(20) || || '''{{{#0000ff 수}}}''' ||<-2> 20(0) || || '''{{{#ecec08 명}}}''' ||<-2> 20(20) || || '''{{{#000000 암}}}''' ||<-2> 20(20) || ||<|4> '''상태이상 내성''' || '''{{{#00bfff 감전}}}''' ||<-2> -15% || || '''{{{#ff0000 출혈}}}''' ||<-2> 0 || || '''{{{#8b00ff 중독}}}''' ||<-2> 0 || || '''{{{#ff7f00 화상}}}''' ||<-2> 0 || ||<#0000FF><-4> '''{{{#ffffff 그로기}}}''' || ||<:> '''그로기 여부''' ||<:> ? || ||<:> '''그로기 유도 패턴''' ||<:> ? || ||<:> '''특이사항''' ||<:> 위, 아래 루트의 볼트 MX-3 처치시 킹 디스트로이어의 배리어 해제 || >천계 내전 이후 노스피스 귀족들이 개발해낸 이족 보행 형태의 전기능 자동화 메카닉. > >기존 프로토타입에 그쳤던 볼트 MX2-프로토타입 기종에 [[옵티머스 팩토리]]의 기술을 접목시켜 완성형으로 탄생한 메카닉이다. > >이러한 이유로 MX2의 다음 넘버링인 MX3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 >볼트 MX3의 가장 큰 특징은 팔에 설치된 무기로 전투 상황에 알맞게 형태를 변화시켜 다양한 공격이 가능하다. > >또한 자유롭게 하늘을 비행할 수 있기에 공방에서 큰 강점을 보여준다. > >{{{#!folding 추가 스토리 [ 펼치기 · 접기 ] MX3는 프로토타입이 아닌 볼트 시리즈 중 최고, 최후의 작품입니다. }}} (CV. [[강은애]])[* 캐니언 힐에서는 나오지 않고 [[노블레스 코드]]와 [[노블레스 코드 : 더스크]]에만 나오는 음성 방송 담당.] 모험가 여성 메카닉이 2차 각성기로 쓰는 볼트 MX의 업그레이드 병기. ==== 패턴 ==== ==== 공략 ==== === 보스 - 킹 디스트로이어 === ||<-4> '''{{{#ffffff 킹 디스트로이어 }}}''' || ||<-4> [[파일:킹 디스트로이어.gif]] || || '''이름''' ||<-4> '''킹 디스트로이어''' || ||<|5><:> '''체력''' ||<:><-2> '''노멀''' || '''515만 / ?''' || ||<:><-2> '''익스퍼트''' || '''1443만 / ?''' || ||<:><-2> '''마스터''' || '''4568만 / ?''' || ||<:><-2> '''킹''' || '''7243만 / ?''' || ||<:><-2> '''슬레이어''' || '''1억 2845만 / ?''' || || '''타입''' ||<-3> '''기계'''[* 원래 없었다가 버그로 규정하고 2022년 5월 12일 패치로 추가되었다.] || ||<|4> '''속성 저항''' || '''{{{#ff0000 화}}}''' ||<-2> 20 || || '''{{{#0000ff 수}}}''' ||<-2> 0 || || '''{{{#ecec08 명}}}''' ||<-2> 20 || || '''{{{#000000 암}}}''' ||<-2> 20 || ||<|4> '''상태이상 내성''' || '''{{{#00bfff 감전}}}''' ||<-2> 0 || || '''{{{#ff0000 출혈}}}''' ||<-2> 0 || || '''{{{#8b00ff 중독}}}''' ||<-2> 0 || || '''{{{#ff7f00 화상}}}''' ||<-2> -15% || ||<#0000FF><-4> '''{{{#ffffff 그로기}}}''' || ||<:> '''그로기 여부''' ||<:> ? || ||<:> '''그로기 유도 패턴''' ||<:> ? || ||<:> '''특이사항''' ||<:> 빙결/감전/석화 약점 || >이족 보행 형태의 전자동 메카닉. > >현재는 사망한 헤르만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노스피스의 귀족들이 개발에 적극 관여해 탄생했다. > >제작 과정에서 설계도에서 구현할 수 없는 출력 장치와 에너지 공급 장치는 현존하는 기술로 대체되었다. > >이 기술은 각종 기능을 실행할 때 안정적이지 않기에 한정적으로만 킹 디스트로이어의 차원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 >이러한 사유로 의도했던 위력과 화력은 나오지 않지만, 기초가 천재 헤르만의 설계도이기에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 >{{{#!folding 추가 스토리 [ 펼치기 · 접기 ] 이 것이 바로... 천재의 유산...! }}} > '''전투 준비 완료.''' (CV.[[황창영]]) 풀명칭은 '''킹 디스트로이어-1'''. 퀸 디스트로이어의 프로토 타입이다. 헤르만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매드 리케]]에 의하여 제조된 기체. [[노블레스 코드]] 도중에 들을 수 있는 [[미쉘 쿠리오]]의 내비게이션에 의하면 오히려 개악에 가까운 데드카피인 모양. --하지만 일던에선 퀸 디스트로이어가 몇 배는 더 쉽다-- 직으로 보스방에 입장하면 보호막을 전개하여 쓰러트리는 데에 더 많은 딜량을 요구하게 된다. 해제를 위해서는 첫 갈림길에서 위나 아래로 향해 볼트 MX 둘 중 한 기 이상을 쓰러트려야 한다. 갈림길 중 한 곳에서만 등장한다. 혹은 입장 직후부터 보호막이 전개될 때까지 약 3~4초 가량의 딜레이가 존재하며 해당 타이밍에는 보호막에 의한 피해 차감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입장하자마자 빠르게 대미지를 우겨넣으면 보호막을 무시하고 풀대미지를 줄 수 있다. 노멀~마스터 난이도에선 맵의 우측 끝에서 등장하지만 킹부턴 맵의 중앙 부근에서 등장한다. ==== 패턴 ==== ==== 공략 ==== > '''작동 정지. 작동 ㅈ...'''(사망 시) 킹 이상의 난이도의 경우에는 배리어가 있는 상태에서 HP가 50% 이하로 내려갈 경우 '회복 에너지 전환'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전체 HP의 약 10%를 회복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HP가 50% 이하로 내려가기 전에 무력화 게이지를 모두 소진시킨 후 홀딩하여 회복을 봉쇄하거나 위쪽이나 아래쪽 길의 볼트-MX3를 처치하여 배리어를 없애야 한다. 돌진하는 패턴을 쉽게하려면 진 각성기를 준비해뒀다가 돌진하기 시작하면 중앙에서 쓰자 진 각성기의 범위가 넓고 시간이 길어서 시작할때 쓰면 진각기 끝날때 멈춰있게 된다. == 평가 == 시즌 8의 부조리한 개발 방향성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던전으로, '''어떻게 하면 유저들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개발한 던전'''이라는 게 유저들 사이에서 정론으로 통한다. 던전의 컨셉질을 위해 유저들에게 불합리하게 느껴지는 오브젝트를 꾸역꾸역 박아넣고 악의적인 기관총 배치로 강제로 미세무빙을 하게 강요하며 보스는 욕먹는 보스가 다들 그렇듯 한판에도 몇번이나 맵 양끝을 횡단하며 유저의 논타겟스킬을 죄다 흘려내는 악랄함을 자랑하는데, 심지어 회복 패턴까지 있다. '''일반 던전에!''' 이게 보스 레이드나 하다못해 상급던전 정도만 됐어도 좀 스트레스받긴 하지만 나름 납득할만한 패턴으로 취급되었을 수도 있지만 이 던전이 '''하루에도 수십바퀴를 돌아야 하는 일반 던전'''이란게 문제다. 커스텀 에픽 장비를 인질로 잡고 매일매일 풀피로도를 빼야 하는 일던에 이렇게 집중을 요구하는 패턴을 넣는 것 자체가 설계 미스이며, 회복 패턴은 말할 가치가 없을 정도로 일던에는 들어가면 안되는 0순위 패턴이다.[* 과거 히어로즈 추격 섬멸전 시절 지젤이 회복하는 패턴을 쓰긴 했다만 그 당시엔 굳이 여러 판 돌려야하는 강제성까진 없었기에 비교 대상으로 보기엔 무리다. 야보추피의열서라는 7종 한정을 돌았기에 보통은 하루 한 판 도는 게 보통이었고 캐니언 힐은 파밍을 위해서라면 여러 판 돌아야한다는 점이 다르다. 여러판 돌려야하는 던전에 회복 패턴은 피로감만 가중시키는 짓이다.] 결국 9월 8일 패치로 대폭 하향이 가해졌는데, 드럼통이 배치되어 있던 방의 드럼통이 모두 삭제되었으며 2번방에서 킹 디스트로이어의 몸통박치기 기믹도 사라졌고 기관총의 배열이 약간 조정되어 간격이 좁아져 잡기 편해졌으며, 중앙 라인에 등장하는 볼트MX가 등장 직후 무적이던 것이 삭제되었고 공중에 날아오르는 딜로스 패턴도 삭제되었으며 보스 킹디트 역시 양쪽 맵 끝을 왕복하는 패턴이 사라졌고 기본 돌진도 거리가 줄어드는 등 그야말로 환골탈태 수준의 패치를 받았다. 단 보스 회복 패턴은 여전히 남아있으니 데미지 계산에 신경써야 한다. 풀방 돌기는 백색의 땅과 비슷한 원형 구조라 편하다. 밑으로 가는 게 좀 더 나은데, 밑으로 가면 진영 뒤쪽을 치기 때문에 총을 맞지 않기 때문.[* 참고로 위나 아래에서 등장하는 처치시 킹디의 베리어를 없애주는 볼트 MX-3는 체력 게이지만 네임드 몬스터지 시스템으로는 네임드가 아니며 피통도 네임드 볼트의 절반 미만으로 더 낮다. 결정적으로 일일미션의 네임드 두번 사냥에서도 카운트 안 된다. 다만 내정보 창의 데미지 분석 표에서는 둘을 같은 몬스터로 취급해서 위나 아래에 등장하는 베리어 제거용 볼트 MX와 네임드 볼트 MX을 공격한 수단을 다 합쳐서 보여준다. 트래블러가 킹디의 베리어를 없애주는 볼트 MX를 기어 드라이브와 고원의 안개꽃으로 처리하고 네임드 볼트 MX를 기어 드라이브 : 네뷸라로 처리했다면 데미지 분석 표엔 배리어 제거용과 네임드 둘에게 사용한 3개 스킬이 다 나온다.] 원래 중앙이 아닌 위나 아래로 우회할 경우 보스의 배리어를 제거하는 볼트 MX_3가 등장할 확률이 100%였으나, 6월 9일자로 생성 위치가 랜덤이 되었다. 어느쪽으로 가던 나올 확률은 반반이다. 몹 갯수가 적지만 드랍 골드가 다른 던전보다 20~30% 더 많게 책정돼있고 풀방을 돌면 피로도는 직의 두배인 12정도 들지만 클리어 보상 카드는 킹 기준으로 15000~20000내에서 45000~50000내로 불어나서 골드 벌이는 그런대로 맞춰진다. 그리고 킹 난이도부터 엔트 정령의 어깨[* 커맨드 스증, 비무큐 스증이 달려 있기 때문에 관련 세팅을 한다면 블루 베릴 아머 급으로 중요해진다.], 반지, 귀걸이, 성배(보조장비)[* 2유효로도 옵티컬을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커스텀을 마련해야 하는 부위다.]가 나오기 때문에 파티로 많이 돌았으며, 지속적인 던전 하향 및 파워 인플레가 진행된 이후에는 골드 벌이를 위해 솔플로 도는 유저가 많아지고, 여기에 던전 패턴까지 하향되자 가장 많이 도는 광부던전으로 자리매김했다. 본격적으로 광부 던전으로 각광받기 시작했을 당시에는 원활하게 돌기 위한 요구 스펙이 꽤 높았지만 시간이 지나며 결국 작업장과 쌀먹들이 창궐하게 되었는데, 그 때문에 우선 2022년 10월 19일, 윤명진 디렉터의 개발자 노트를 통해 [[토탈 이클립스(던전 앤 파이터)|골드 드랍량의 감소가 예고되고]], 그 다음주인 10월 27일 바칼 레이드 업데이트와 함께 던전 클리어 및 드랍 골드가 비정상 제공되는 버그 수정이라는 명목으로 하향을 받게 되었다.[* 다만 유저들 생각만큼 크게 하향되지는 않았다.] 이후 2023년 6월 19일 디톡스에서 '''일반 던전의 전체적인 골드 수급량 대폭 하향'''이라는 2차 하향 선고를 받았다. 아무래도 [[폭풍이 부른 성]]이라는 상급자용 광부 던전이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작업장을 박멸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네오플 측에서도 골드 유통량을 비정상적으로 늘려 아이템 가격을 올리는 쌀먹 및 작업장 유저들을 내버려 둘 수는 없는 형편이었지만 고스펙 유저 및 정상적으로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도 캐니언 힐을 돌 수밖에 없었기에 함부로 일던 골드 수급량을 너프 먹이긴 힘든 상황이었는데, 폭풍이 부른 성 업데이트 이후 작업장 및 쌀먹 유저와 정상적인 유저층 사이에 유의미한 데이터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칼을 빼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23년 6월 21일 퍼스트 서버에 예정대로 업데이트 됐는데, 히어로즈 난이도가 아예 삭제되면서 시즌 6 중반부터 적용 중인 [[https://df.nexon.com/df/news/update?mode=view&no=2040019|동일 전직 일반던전 드랍 제한]] 시스템을 적용받게 되어 한 전직으로 피로도 480을 초과할 경우 드랍률 제한도 다시 적용받게 되었으며 딜링에 은근히 도움이 되던 지역 약점 시스템도 덩달아 삭제되었다. == 기타 == [[분류:던전앤파이터/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