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곡의 수록 앨범, rd1=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other2=이 곡의 정식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한 앨범, rd2=Candy(NCT DREAM))] [include(틀:H.O.T.의 노래)] [include(틀:멜론 선정 K-POP 명곡100)]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3> '''{{{+1 {{{#d82323 Candy (캔디)}}}}}}''' || ||<-3>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H.O.T._We Hate All Kinds Of Violence.jpg|width=100%]]}}} || || '''{{{#d82323 발매일}}}''' ||<-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996년 9월 7일 || || '''{{{#d82323 아티스트}}}''' ||<-2> [[H.O.T.]] || || '''{{{#d82323 수록 앨범}}}''' ||<-2>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 || '''{{{#d82323 장르}}}''' ||<-2> [[댄스]] || || '''{{{#d82323 재생 시간}}}''' ||<-2> 3분 33초 || || '''{{{#d82323 작사}}}''' ||<|3><-2> [[장용진]] || || '''{{{#d82323 작곡}}}''' || || '''{{{#d82323 편곡}}}''' || ||<|2> '''{{{#d82323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843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3547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6년 9월 7일에 발매한 [[H.O.T.]]의 정규 1집 앨범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타이틀곡 '[[전사의 후예]]'에 이은 후속곡이다. == 가사 == || '''{{{#d82323 Candy (캔디)}}}'''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BaQDN_Ex9L4)]}}} || || '''{{{+1 {{{#d82323 Candy (캔디)}}}}}}'''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00A250 사실은 오늘 너와의 만남을 정리하고 싶어 널 만날 거야 이런 날 이해해}}} {{{#ffba00 어렵게 맘 정한 거라 네게 말할 거지만 사실 오늘 아침에 그냥 나 생각한 거야}}} {{{#00A250 햇살에 일어나보니 너무나 눈부셔 모든 게 다 변한 거야 널 향한 마음도}}} {{{#ffba00 그렇지만 널 사랑 않는게 아냐 이제는 나를 변화시킬 테니까}}} {{{#0054ff 너 몰래 몰래 몰래 다른 여자들과 비교 비교했지 자꾸만 깨어지는 환상 속에 혼자서 울고 있는 초라하게 갇혀버린 나를 보았어 널 떠날 거야 음 널 떠날 거야 음}}} {{{#ffba00 하지만 아직까지 사랑하는 걸 그래 그렇지만 내 맘속에 너를 잊어 갈 거야}}} {{{#00A250 머리 위로 비친 내 하늘 바라다보며 널 향한 마음을 이제는 굳혔지만 웬일인지 네게 더 다가갈수록 우린 같은 하늘 아래 서 있었지}}} {{{#dc143c 단지 널 사랑해 이렇게 말했지 이제껏 준비했던 많은 말을 뒤로 한 채 언제나 네 옆에 있을게 이렇게 약속을 하겠어 저 하늘을 바라다보며}}} (Hit me!) {{{#0054FF 내게 하늘이 열려 있어 그래 그래 너는 내 앞에 서 있어 {{{#ffba00 (내게 하늘이 열려 있어)}}} 그래 다른 연인들은 키스를 해 하지만 항상 나는 너의 뒤에 있어야만 해 {{{#ffba00 (그래 그래 너는 내 앞에 서 있고)}}} 이제 그만해 음 나도 남잔데 음 내 마음 너도 알고 있는 걸 알아 {{{#ffba00 (다른 연인들은 키스를 해)}}} 그래 이제 나도 지쳐서 하늘만 바라볼 수밖에}}} {{{#ffba00 (왜 너의 뒤에 있어야 할까)}}} {{{#00A250 햇살에 일어나 보니 너무나 눈부셔 모든 게 다 변한 거야 널 향한 마음도}}} {{{#FFBA00 그렇지만 널 사랑 않는 게 아냐 이제는 나를 변화시킬 테니까}}} {{{#00A250 머리 위로 비친 내 하늘 바라다보며 널 향한 마음을 이제는 굳혔지만 웬일인지 네게 더 다가갈수록 우린 같은 하늘 아래 서 있었지}}} {{{#dc143c 단지 널 사랑해 이렇게 말했지 이제껏 준비했던 많은 말을 뒤로 한 채 언제나 네 옆에 있을게 이렇게 약속을 하겠어 저 하늘을 바라보며}}} {{{#FF8C00 한 번 더 한 번 더 말했지 이제껏 준비했던 많은 말을 뒤로 한 채}}} {{{#0054FF (준비했던 많은 말을 뒤로한 채 다시 널 사랑한다고 했지)}}} {{{#FF8C00 언제나 네 옆에 있을게}}} {{{#00A250 다신 너 혼자 아냐 너의 곁엔 내가 있잖아}}} (Hit me!) }}} || == 영상 == === 뮤직비디오 === || {{{+1 {{{#d82323 '''Candy (캔디)'''}}}}}}[*리마스터링 [[SM엔터테인먼트]]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로 2022년 12월 1일에 공개된 뮤직비디오][br]'''{{{#d82323 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NUaXU1d-NY)]}}} || 당시 뮤직비디오 모습. 뮤직비디오 촬영장소는 [[롯데월드]]이다.[* 여담으로 [[Candy(NCT DREAM)|NCT DREAM 버전의 Candy]]는 촬영장소가 에버랜드이다.] === 음악 방송 === || '''{{{#d82323 Candy (캔디)}}}'''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ZSzC0ULMGPU)]}}}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E1OEOBxXAN8)]}}} || || '''{{{#d82323 라이브[* 장우혁은 립싱크이다.]}}} '''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WTo80XvOraQ)]}}} || == 성적 == === 시상식 === ||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 1996년 12월 8일 || [[골든디스크어워즈|제11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 SKC 신인 가수상 ||<|4> 캔디 || ||<|2> 1996년 12월 13일 ||<|2>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KMTV 가요대전]] || 인기 가수상 || || 시청자상 || || 1996년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 신인상 || === 음악 방송 순위 === || '''날짜''' || '''방송명''' || '''곡명''' || '''비고''' || || 1996년 12월 15일 ||<|2> [[SBS]] TV가요20 ||<|5> 캔디[br](5회) || '''데뷔 후 첫 1위''' || || 1996년 12월 22일 ||<|3> 1위 || ||<|2> 1996년 12월 28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 1996년 12월 29일 || [[SBS]] TV가요20 || 연말결산 1위 || ||<|2> 1997년 1월 4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1> 캔디[br](11회) ||<|4> 1위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 1997년 1월 5일 || [[SBS]] TV가요20 || || 1997년 1월 8일 || [[가요톱10|KBS 가요톱10]] || ||<|2> 1997년 1월 11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 '''1위[br](3주 연속, BEST OF BEST)'''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 || || 1997년 1월 12일 || [[SBS]] TV가요20 || 1위 || || 1997년 1월 15일 || [[가요톱10|KBS 가요톱10]] || '''1위[br](2주 연속)''' || || 1997년 1월 18일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 || || 1997년 1월 19일 || [[SBS]] TV가요20 || '''1위[br](왕중왕, 5주 연속)''' || || 1997년 1월 25일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br](5주 연속, 최강자)''' || == 리메이크 == === [[Candy(NCT DREAM)#s-4.1|NCT DREAM]] ,,(202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ndy(NCT DREAM), 앵커=Candy)] 26년이 지난 2022년 SM 직속 후배 [[NCT DREAM]]이 새롭게 리메이크하여 타이틀 곡으로 겨울 미니 앨범에 실었다. [* 원곡과 차이점이 있는데, 원곡에서는 문희준의 백 보컬과 장우혁의 랩이 동시에 등장했지만, NCT의 리메이크에서는 장우혁의 랩 부분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같은 멜로디로 문희준의 백 보컬 부분이 한번 더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장우혁의 랩 전에 나왔던 간주가 리메이크판에서는 생략되었기 때문에, 곡 길이도 원곡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사실상 장우혁의 랩을 원래의 간주 부분으로 끌어온 셈.] [youtube(zuoSn3ObMz4)] == 커버 == 이 노래는 아이돌 레전드 곡답게 '전사의 후예', 'We are the Future', '빛'과 함께 유독 후배 보이그룹들이 공식적으로 커버를 많이 하는 H.O.T.의 곡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MrP2WunVyM)]}}} || || '''빅뱅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66dfsgoc9I)]}}} || || '''샤이니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aqIDjwma88)]}}} || || '''B.A.P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N_oCwCWfRU)]}}} || || '''펜타곤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esywZhOHrk)]}}} || || '''엠 카운트다운 댄스 챌린지 중 Stray Kids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dcFUCZymFE)]}}} || || '''MBC 가요대제전 중 업텐션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wG8GgWvZvc)]}}} || || '''엠넷 릴레이댄스 어게인 중 원어스 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MqXG_yCiTI)]}}} || || '''2021 KBS 가요대축제 중 투모로우바이투게더 x ENHYPEN 커버''' || == 여담 == * 이 노래를 작곡한 [[장용진]]은 해당 곡이 발표된 1996년 당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었으며 H.O.T.의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과 동갑이었다.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초등학교 때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주변에서 천재로 통했으며, 캔디 역시 고 1에서 고 2 무렵에 작곡한 곡이라고 한다. * 해체한 후에도 H.O.T. 멤버들이 방송에 나올 때마다 춤을 추기도 할 정도. '[[전사의 후예]]'로 조금씩 인지도를 쌓고 팬덤이 형성되고 있던 H.O.T.가 대중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키며 엄청나게 뜨게 된 곡. H.O.T 데뷔 이후 아이돌 역사가 시작된 지 20년이 흐른 기념으로 2016년 9월 전문가들과 일반인을 상대로 역대 최고 남녀 아이돌과 노래를 조사한 결과 전문가&일반인 모두 캔디를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3000678|역대 남자 아이돌 노래 2위]]로 뽑은 적이 있으며, 1세대 남자 아이돌 [[히트곡]] 중에서는 최대 메가 히트곡으로 평가받는 곡이다. 이에 확실히 비견 가능한 또다른 1세대 메가 히트곡으로는 [[god(아이돌)|god]]의 '[[거짓말(god)|거짓말]]'이 있으나 각종 지표 및 전문가 및 대중들을 상대로 한 각종 설문 조사에선 보통 '캔디'가 god의 '거짓말'보다 높은 순위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 '캔디'의 후렴구 "[[단지]] 널 사랑해"는 장용진이 멤버들의 목소리를 모두 검토한 후 [[http://theqoo.net/index.php?mid=square&document_srl=665346679|토니에게 이 파트를 안 주면 곡을 안 주겠다]]고 하면서까지 그를 민 덕분에 [[토니 안]]이 부르게 되었다.[* 다만 캔디의 작곡가 장용진은 당시 신인이였을 뿐만 아니라 문희준, 장우혁, 토니와 동갑인 일개 고등학생이었다. 미성년자가 연예기획사의 성인들을 상대로 맞설 수는 없었을 것이다. MSG가 들어간 내용으로 보인다. [[문희준]]에 따르면 메인보컬 [[강타]]에게 물어보고 강타가 허락해서 토니에게 파트를 줬다고 한다. 강타도 같은 말을 했다. 어쨌든 장용진은 후렴구에서 토니의 저음을 사용하길 원했던건 맞다.] 이후 토니 안의 팬을 뜻하는 [[단지(토니 안)|단지]]가 여기서 따온 애칭이다. * 대표적인 안무로는 [[문희준]]의 파워레이서 춤과 [[장우혁]]의 망치춤, ABC 춤, [[강타]]의 주사춤, 후렴구 [[토니 안]] 파트의 캔디춤이 있다. * 지금의 H.O.T.를 있게 한 곡이라고 할 수도 있다. 처음에 [[이수만]]과 회사는 캔디를 타이틀곡으로 밀었으나 본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강렬한 음악을 하고 싶어한 멤버들의 의견이 반영되어[* 훗날 문희준이 밝히기로는 회사에서 '캔디'를 밀 때 [[https://youtu.be/XKBoFtAUCUk?t=178|회사를 나가겠다고 한 멤버도 있었다]]고 했다.] '전사의 후예'가 타이틀곡이 되었다. 그러나 전사의 후예가 10대의 지지를 얻고 상승세를 이어가던 중 표절 논란이 생겨 어쩔 수 없이 활동을 중단해야 했고 바로 후속곡 캔디 활동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캔디'는 신드롬을 일으키며 10대뿐만 아니라 전 세대의 사랑을 받는 아이돌 그룹 최초의 메가 히트곡이 되었고 이 노래로 인해 그룹과 멤버들 각자의 이름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게 되었다. * 정말 여담이지만 캔디 첫 무대가 끝나고 멤버들이 무대 인사[* 당시 음악방송은 중간에 MC들이 직접 무대 위로 올라와 짧게 인터뷰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를 할 때 '''"키워주세요!"'''라고 HOT 멤버 전원이 인사했었는데 이게 굉장히 인상에 남았는지 당시 10대 팬들이 "그 키워해달라고 했던 오빠들 누구냐"며 방송국에 전화문의가 쇄도 했었다고 한다. * 귀여운 곡 분위기와 함께 털옷, 털모자, 털가방을 코디했는데[* [[토니 안]]은 비니, [[문희준]]은 선캡, [[장우혁]]은 벙거지, [[이재원(가수)|이재원]]은 귀마개(착용 빈도 낮음), [[강타]]는 털가방을 착용했다. 한 가요 프로그램에서 장우혁과 이재원이 함께 춤추는 부분에서 모자가 훌렁 벗겨져서 장우혁이 당황해서 다시 뒤집어썼던 적도 있다.] 이게 10대 특유의 귀여움으로 어필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길거리 패션을 휩쓸었다. 남녀를 불문하고 캔디 소품과 옷을 착용한 사람들이 거리를 활보하고 다닐 정도. 볼에 멤버들의 상징 색[* [[문희준]] - 노란색, [[장우혁]] - 파란색, [[토니 안]] - 빨간색, [[강타]] - 초록색, [[이재원(가수)|이재원]] - 주황색]을 물감으로 슥 그은 것과 의상에 새긴 각 멤버들의 상징 번호[* [[문희준]] - 23, [[장우혁]] - 35, [[토니 안]] - 07, [[강타]] - 27, [[이재원(가수)|이재원]] - 48]도 인기를 끌어서 지금까지도 H.O.T.의 각 멤버들의 고유 색과 고유 번호로 쓰이고 있다. * 1990년대를 정의했던 곡들 중 하나였기에 20년에 가까운 세월을 넘어 당연한 수순으로 [[탭소닉 링스타]]에도 수록되었다. 그런데 수록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당시 CD 자켓]]이 '''지나치게 우울'''했던 지라 결국 뮤직비디오의 스크린샷으로 교체했다는 후문이 있다. 사실 1집 타이틀곡은 '캔디'가 아니라 '[[전사의 후예]]'였기에 본의 아니게 갭이 느껴졌던 것. * [[폴라 압둘]]의 [[https://www.youtube.com/watch?v=xfl39hz2xc8|Ain't Never Gonna Give You Up ft. Color Me Badd]]를 [[샘플링]]했다. * 곡은 발랄하지만 [[반전 가사/한국|가사 내용은 그렇지만은 않다]]. 가사의 내용은 즉슨, 화자가 어느날 아침에 갑자기 애인에게 싫증을 느껴 이별을 통보하러 가지만, 다가갈수록 같은 하늘 아래 있음(동질감)을 느끼며 헤어지기 위해 준비한 말들을 뒤로한 채 그저 사랑한다고 말한다는 내용. 혹자는 연인 간의 [[권태기]]를 밝은 노래와 함께 적절히 표현한 명가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 연인이 아니라 짝사랑이라는 추측도 있다. 화자를 권태기를 겪고 있는 연인으로 보면 앞쪽의 가사가 이해가 되지 않지만 짝사랑으로 보면 오히려 말이 맞는다. 화자는 상대를 오랜 시간 동안 짝사랑하고 있었지만 지쳐서 마음을 접고 관계를 정리하려고 상대를 만나러 갔는데, 막상 그 앞에 서니 애써 접으려했던 마음을 숨길 수가 없어 사랑한다고 말했다는 이야기. 짝사랑하는 마음을 버리기 위해 상대를 애써 다른 여자들과 비교도 해봤지만 오히려 자신이 초라하게 느껴지고, 키스를 하는 수많은 연인들 사이에서 홀로 상대방 뒤에 서있는 건 이 관계가 연인관계가 아니라 화자가 상대를 일방적으로 짝사랑하기 때문인 것. * [[젝스키스]]가 데뷔 초기에 <충전 100%쇼>라는 [[예능 프로그램|음악방송]]에 출연해서 [[https://www.youtube.com/watch?v=LE_ZGsdDQ4s|이 노래를 부른 적이 있다]].[* 중간에 보면 [[고지용]]이 후렴구를 부를 때 H.O.T. 멤버들이 댄서로 등장해 같이 춤을 춘다.][* 젝스키스 또한 이 노래의 후렴을 메인보컬(강성훈)이나 리드보컬(은지원)이 아닌 멤버가 부른다.] * 후렴 부분의 가사가 "[[단지]] 널 사랑해"라서 이 파트를 부른 [[토니 안]] 애인의 이름이 진짜 ''''단지''''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뒤에 "널 사랑해"라는 가사로 인해 단지라는 사람에게 말하는 것처럼 된다는 것이다. 카더라에 따르면 극성 팬들 중에선 단지로 [[개명]] 신청을 한 사람들도 꽤 많았고 자신이 '단지'라며 회사에 직접 찾아오는 팬들도 있었다고 한다. * [[노래방]]에서 혼자 부를 거라면 강력하게 비추. 작곡가 [[장용진]]이 작곡한 노래 특성상 멤버들의 파트 분배를 고려해 작곡했기 때문에 랩 파트를 제외하곤 숨 쉴 틈이 없다. 심지어 토니 안 파트만 해도 숨 쉴 틈 없이 길다. * [[히든싱어5]] [[강타]] 편에서 1라운드에서 부른 노래이다. 중간 장우혁의 랩은 생략되었고 강타만의 파트로는 부족했는지라 [[문희준]]과 [[토니 안]]의 파트를 같이 불렀다. 문희준의 파트도 강타와 분량이 거의 비슷했고 토니 안의 파트는 아예 중창으로 불러선지 [[Gee|전반부에 본인 파트도 없던 그룹 곡]]으로 논란이 됐던 [[태연]] 편에 비하면 논란은 크지 않았다. * [[이재원(가수)|이재원]]의 분량이 '''거의 새 발의 피 수준'''이다. 물론 각각 '''후렴구 딱 한 줄, 랩 딱 한 줄'''만 불렀던 '[[전사의 후예]]'나 '[[We are the Future]]'에 비하면 양반이다. * [[UP]]의 데뷔곡 '1024'와 후렴구 멜로디가 거의 동일하다. 어차피 둘다 [[장용진]]의 곡이며 발표일도 몇 달 차이나지 않고, 멜로디만 비슷할 뿐 코드나 곡의 분위기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문제 될 점은 전혀 없다.[* 유사한 사례로 핑클의 Now와 유승준의 찾길 바래와 [[Combination#s-1.1|관계와 비슷하다.]] ] * [[K-POP]]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메가 히트곡인 만큼 [[1996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도 이 노래를 많이 알고 있다. 이후에 데뷔한 아이돌들이 방송 등에서 많이 커버한 영향이 크다. [[유튜브]]에 있는 '캔디' 가사 영상에 보면 1996년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이 단 댓글들이 많다. 거기에 후배그룹이자 인기 그룹인 [[NCT DREAM]]이 2022년 크리스마스에 이 곡을 [[Candy(NCT DREAM)|리메이크]]를 했고[* 최연장자인 [[마크(NCT)|마크]]가 99년생이다. 즉 전 멤버 모두가 발매 이후 태어났다. 심지어 [[천러]]와 [[지성(NCT)|지성]] 두 멤버는 H.O.T 해체 이후에 태어난 멤버다.]음원 사이트에서 상당히 선전하면서 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학생들도 많이 아는 곡이 되었다. 그러나 이 노래의 원곡자가 H.O.T.라는 사실은 모르는 저연령 사람들이 많다. * [[두더지게임|노래하는 두더지 게임]] 일부 기종은 [[쿨(혼성그룹)|쿨]]의 [[운명#s-3.3]]과 번갈아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n4cjxrp1U_Q|전반부에 운명, 후반부에 캔디가 나오는 동영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version=103, title2=단지(토니 안), version2=26)] [[분류:H.O.T./노래]][[분류:1996년 노래]][[분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