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켄트, rd1=켄트)]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곡선부 캔트 열차.jpg|width=100%]]}}}|| || 켄트를 설치한 곡선선로를 달리는 열차 || 켄트(Cant)는 [[철도]]의 곡선선로에서의 열차의 원운동으로 인하여 외측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곡선부 외측레일을 내측레일에 비해 약간 높게, 단면으로 보면 경사지게 만드는 것을 말하며 Superelevation, 한자로 편경사라고도 한다. 사실 캔트설계는 '''철도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 설계에도 사용되며''' 그 외에도 캔트가 적용된 설계사례는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롤러코스터]]가 있다. 롤러코스터의 경우에는 빠른 속도와 작은 곡선반경으로 인해 '''거의 수직에 가까운''' 극단적인 캔트를 주는데 여기서 보듯이 캔트는 곡선구간의 최대속도와 곡선반경에 따라 단면으로 얼마큼 기울일지 그 값이 주어진다. 그 예로 200km/h 또는 그 이상으로 달리는 [[KTX]]나 여러 나라들의 고속철도 전용 고속선을 보면 곡선반경이 큰데도 불구하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당히 큰 캔트로 설계한 것을 볼 수 있다. [[종각드리프트]]라 불리는 서울 [[종각역]] - [[시청역(서울)|시청역]] 사이 급곡선 구간은 건설 당시 캔트를 고려하지 않아서 다른 급곡선 구간에 비해 운행속도가 느리고 소음이 심하게 되었다. == 공식 == '''※ 설정캔트 및 부족캔트는 [[https://www.law.go.kr/행정규칙/철도의건설기준에관한규정/(2020-503,20200707)/제7조|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조]]에 규정된 값 이하여야 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 C=11.8\frac{V^2}{R}-C_d)]}}} * [math(\displaystyle C)]=설정캔트 * [math(\displaystyle V)]=설계속도 * [math(\displaystyle R)]=곡선반경 * [math(\displaystyle C_d)]=부족캔트 기타 세부 규정은 [[https://www.law.go.kr/행정규칙/철도의건설기준에관한규정/(2020-503,20200707)/제7조|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조]] 및 [[https://www.kr.or.kr/boardCnts/fileDown.do?fileSeq=fe0322b9cf1345a458b9c381a59e8bba|국가철도공단 PDF 궤도 선형 PDF]]를 참고하기 바란다. == 출처 == * [[https://www.kr.or.kr/boardCnts/fileDown.do?fileSeq=fe0322b9cf1345a458b9c381a59e8bba|국가철도공단 PDF 파일 다운로드]] * [[https://www.law.go.kr/행정규칙/철도의건설기준에관한규정/(2020-503,20200707)/제7조|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조]] [[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