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용어]] [목차] == 개요 == [[비디오 게임]]에서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되는 일련의 게임 플레이를 말한다. 종종 '[[미션]]'이라고도 부른다. == 특징 == * 주로 [[싱글 플레이어 게임|싱글 플레이]]로 진행된다. [[멀티플레이|멀티 플레이]]에도 스토리에 따라 진행되는 모드가 없지는 않은데, '캠페인'이라고 부르지는 않는 듯하다. * 인게임 플레이와는 별개로 특수한 연출이 활용된 장면이나 시네마틱이 삽입되곤 한다. 다만 1번 보고 나면 다시 보기가 번거로우므로 [[Esc 키]] 같은 것으로 [[스킵]]할 수 있게 하는 편이다. * 블리자드의 경우 [[스타크래프트]]까지는 2D 탑뷰라 인게임 연출을 줄 여지가 없었지만 [[워크래프트 3]], [[스타크래프트 2]]부터 다양한 앵글로 연출이 들어갔다. [[스타크래프트 2]]는 상당 수 연출을 인게임으로 구현하는 편이다.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는 실사 배우를 활용한 시네마틱으로 유명했다. 대표적으로 [[조셉 D. 쿠건]]은 [[케인(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케인]] 역할로 오랫동안 활약하였다. * 멀티로 진행되는 시나리오 모드에서는 이것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스토리를 이미 봤거나 관심이 없어서 넘기고 싶어하는데, 처음 하는 사람은 보고 싶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옛 스트라솔름]]에서 이런 현상이 종종 나타났다. * 한 판으로 끝나지 않고 주로 여러 판이 연계된다. 즉, 1[[스테이지]]를 깨면 2스테이지로 스토리가 이어지는 식이다. 몰입감을 위하여 이전 스테이지를 깨기 전에는 다음 스테이지가 열리지 않는 형식일 때가 많다. * 직전 스테이지의 상태, 가령 [[워크래프트 3]]로 치면 [[영웅 유닛]]의 [[레벨]]이나 [[아이템]] 소지 상태 같은 것은 다음 스테이지로 계승되곤 한다. * 어떤 경우 특정 영웅은 다음 스테이지에서 [[리타이어|이탈]]해버려 아이템도 쓸 수 없게 되어버리곤 한다. 때문에 요긴한 아이템들은 다음 스테이지까지 이어지는 영웅에게 몰아주기도 한다. [[워크래프트 3]]에선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 스테이지에서 영웅이 이탈하는 경우 그 영웅이 가지고 있던 아이템을 맵 구석에 버리고 간다. * 스테이지는 대체로 게임 내에 한꺼번에 포함되어 있지만 [[패치]]를 통해 추가될 때도 있다. * [[RTS]]에서 각 진영은 각각 1개씩 캠페인이 배당되는 편이다. 다만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유리의 복수|레드얼럿 2 유리의 복수]]의 [[유리군]]처럼 [[악역]]은 캠페인이 없을 때도 있다. * 주로 발매사에서 제공하지만 유저들이 직접 만들 수도 있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각 스테이지가 이어지는 캠페인을 유저가 만들 수 있도록 맵 에디터에도 기능을 구현했으며 이를 '커스텀 캠페인'이라고 불렀다. * 다소 특수한 사례로 워크래프트 3의 [[데모]] 버전 캠페인은 [[워크래프트 3/캠페인/프롤로그]]의 후반부였는데 정작 본편에는 1~2편만 실리고 잘려나갔다가 후일 커스텀 캠페인의 형식으로 수록되었다. 사실 커스텀의 탈을 쓴 공식이니 좀 특이하다. * 스토리는 [[DLC]], [[확장팩]], [[후속작]] 등으로 이어진다. == 활용 장르 == 보통 전쟁과 관련된 게임, 즉 밀리터리 [[1인칭 슈팅 게임|FPS]]나 [[실시간 전략]] 장르의 싱글플레이, 그중에서도 스토리 모드를 캠페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본래 '[[캠페인]]'이라는 단어가 "[[전역(동음이의어)#s-4|전역]]''(戰域), 즉 "어떤 지역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일어난 연속된 전투"이기 때문에 시나리오 모드에 '캠페인'이라는 말을 쓰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표적인 예로 [[워크래프트 시리즈]]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등의 스토리 모드를 말한다. RPG에서도 캠페인이라는 말을 쓰는데 맥락은 다소 다르다. 현대의 RPG는 [[미니어처 게임]]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컴퓨터 구현의 계보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미니어처 게임들은 전쟁을 배경으로 하기에 '캠페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곤 했다. D&D 역시 그 영향으로 연속적으로 진행한 게임 플레이를 묶어서 캠페인이라 표현한다. 이러니 D&D의 영향을 받은 CRPG에서도 싱글 플레이를 캠페인이라 표현하고, 영향을 받은 다른 장르에서도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여담 == * 스토리 모드가 아니고 간단하게 [[인공지능]]과 함께, 또는 스토리가 없는 인공지능을 상대로 하는 게임 '한 판'은 보통 [[스커미시]](skirmish)라고 부른다. * 스타크래프트의 [[맵 에디터]]는 '캠페인 에디터'이다. == 목록 == * [[배틀필드 4/캠페인]] * [[세계 정복자2/동맹국 캠페인]] * [[스타크래프트/캠페인]] *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 * 커스텀 캠페인 * [[전멸 캠페인]] * [[티페르 캠페인]] * [[리터넌즈 캠페인]] * [[공허 균열 캠페인]] * [[로이샤하쉬 캠페인]] * [[미래전쟁 캠페인]]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캠페인 공략]] * [[틀:에오엠2 결정판 캠페인]] * [[틀:영웅전설4 캠페인]] * [[워게임: 레드 드래곤/캠페인]] * [[틀:워크래프트 시리즈 캠페인]] *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캠페인]] * [[워크래프트 2/캠페인]] * [[워크래프트 3/캠페인]] * [[Warframe/미션]] * [[웨스노스 전쟁/공식 캠페인]] * [[GTA 4/미션일람]]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캠페인]] * 발매 당시 연합군 캠페인용 CD와 소련군 캠페인용 CD가 동봉되어 있어 각 캠페인을 하려면 CD를 바꿔넣어야 했다. 멀티플레이는 두 CD 모두 할 수 있다. * [[KKND/캠페인/돌연변이]], [[KKND/캠페인/서바이버]] * [[킹덤 언더 파이어/캠페인]] * [[토탈 워: 삼국/캠페인]] * [[플래닛사이드 2/캠페인]] == 외부 링크 ==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Campaign_(gaming)|Campaign (gaming) 문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캠페인, version=88, paragraph=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