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슷한 이름의 연예기획사, rd1=커넥트 엔터테인먼트)] [목차] == 개요 == 커넥츠(Conects)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구 에스티앤컴퍼니)에서 운영하는 [[학원]] 및 [[인터넷 강의]] 브랜드. 끝에 '단기'가 들어가는 학원이나 인터넷 수험강의 사이트는 모두 이 회사의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소재지 및 시스템은 각 학원별로 다르니 해당 학원 항목을 참조. 영단기 TV광고 이후 'OO단기학교'라는 기존 명칭 대신 'O단기'라는 줄임말을 공식 명칭으로 밀고 있다. 학원이 '학교'라는 이름을 쓸 경우 들어오는 태클을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까지는 'O단기'들을 모두 묶어 '단기학교'라고 불렀으나, 2017년 '커넥츠'라는 통합 브랜드를 도입 후 각 'O단기'들도 '커넥츠 O단기'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특징 == === 공격적 마케팅 === 점유율만 높일 수 있다면 경악할 수준의 가격 인하도 단행한다. 프리패스가 그 대표적인 사례. 그리고 어마어마한 물량의 광고로도 유명한데, 배너 광고가 달린 사이트라면 어디에서나 이 회사의 광고를 볼 수 있을 정도이다. 2014년 한해 동안 광고비로 148억 5115만 9294원을 사용했으며, 전체 매출은 836억 413만 1328원, 순이익 9억 7771만 6905원을 기록했다. 매출의 17% 이상을 광고비로 사용한 것. 또 최근 공단기에 입성한 모 [[행정학]] 강사는 [[디시인사이드]]의 [[공무원 갤러리]]에 자기 홍보나 환영글을 올리면 [[문화상품권]]을 주는 이벤트를 단행하여 갤을 [[인해전술|그 강사 글로 뒤덮어 버려서 기존 공갤러들의 원성을 샀다.]] === 타 학원과의 갈등 === 어떤 단기학교든 해당 업계에 자리 잡기만 하면 다른 학원과의 충돌은 디폴트로 깔고 들어간다. '''타 학원의 유명 강사들을 [[현질|더 높은 계약금]]을 조건으로 모조리 영입해버리기 때문.''' 그래서 수험 커뮤니티 등에서 까이는 빈도가 타 업체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하지만 이렇게 단기학교를 까던 강사들도 기회가 되면 단기학교로 갈아타려고 애쓰는 모순적인 상황도 나타난다. 경제적인 조건이 워낙에 깡패라서 그렇다(...) 쉽게 말해서 패스를 통해서 점유율과 매출을 높이고 이 매출과 학생 수를 이용해 타 학원 유명 강사를 빼온다. 그러면 다시 유명 강사의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 학생들이 패스를 사게 되는 시스템이 반복된다. 이런 교수 영입 문제 외에도, 허위광고등으로 인하여 타 학원과의 갈등이 잦았다. 예를들어 2015년의 경우에는 "공무원 시험1위"라는 허위광고로 남부고시학원이 낸 광고금지가처분이 받아들여졌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8/2015122802679.html|기사1]]. 하지만, 기존광고문구를 삭제해달라는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실제 노량진 학원가에서는 피켓알바를 고용하여 공단기 광고가 허위광고임을 알리기도 하였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9745&code=11131100|기사2]] === 프리패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듬 게임, rd1=フリーパス, other2=교통 패스, rd2=고속버스 프리패스)] [[메가스터디]]가 인터넷 강의 시대를 열며 제1의 물결을, 커넥츠가 프리패스를 도입하며 제2의 물결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프리패스를 생각하면 단기학교에서 한 강의 끊어서 듣는다는 게 손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학원 인터넷 강의들에서 제공하던 패키지 할인보다 프리패스가 더 싸기 때문이다. 처음엔 프리패스가 불규칙한 주기로 마감되고 다음 프리패스 상품이 출시되어 시기를 놓친 학생들이 프리패스를 양도하거나 공유받는 게시글이 수험생 카페 등에 항상 올라왔었다. 지금은 거의 1년 내내 판매한다. 신규 강사가 영입되더라도 기존 강사들과 동일하게 프리패스로 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단기의 경우, 2013 상반기 송승환 강사가 신 강사로 등록 되었고 바로 강의 서비스를 시작했다, 만약 2013. 1월달 기준으로 16개월 프리패스 강의를 끊은 경우라면 이 강사의 강의가 올라오는 족족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단 이야기. 같은 ST컴퍼니 계열사여도 다른 학원의 프리패스는 교차적용이 안된다. 예를 들어 공단기에서 프리패스랑 경찰단기학교 프리패스는 전혀 다른 상품이다. 단, [[대한민국 군무원]] 시험기간에 영어시험 대체를 위해 영단기를 무상으로 제공한 사례는 있었다. 2013년 프리패스 상품은 기존의 '전과목'에서 '선택한 강사의 강의 모두'로 변경되어, 선택한 강사의 모든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다른 강사의 강의를 듣고 싶다면 10강을 듣기 전까지 선택강사 초기화를 요청하면 된다. 그런데 공단기의 경우 원칙적으론 1과목 1강사였지만 언어 과목인 국어, 영어에 한해서 강사 제한을 도로 풀어준 상태. 2014년 강좌부터 공단기 [[강민성]] 강사의 수업은 독자적인 프리패스로 독립되었다. 국사 1과목이 1년에 15만원으로 책정되었는데, 2014년 1월까지 강민성 강사 외에 독자 프리패스를 도입한 강사는 없다. 강민성 강사의 수업만 따로 들을 수 있는 프리패스 상품이며, 기존 프리패스 이용자들도 추가요금 없이 계속 신규 강좌를 들을 수 있다. 타 학원을 다니면서 강민성 수업을 듣기 원하는 학생이나, 기타 다른 시험 응시생들을 위해서 국사만 들을 수 있게 분리한 듯. 이 프리패스 덕분에 공무원 학원 인강 가격들이 내려갔다. 예전에는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폭리를 취했는데 프리패스 등장이후 가격 경쟁이 안 돼 다들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고시 준비생들이 바로 이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지금도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강의를 듣고있어 하루빨리 단기학교가 고시계로 진출하길 바라고있다. 수능 때 프리패스로 편하게 공부하고 나서 이제 고시 공부 좀 해볼까하고 인강 가격을 확인하면 깜짝 놀랄 것이다. 가격대가 어마어마한 MDP시험 강좌마저 프리패스를 깔아놓으면서 기존 업계를 진동시키고 있다. 원래 생물 심화 강의 하나가 120만원이었는데 지금은 프리패스로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시험이 되었다. 2017년에는 프리패스 킹이라는 14개 프리패스를 묶어서 수강할 수 있는 프리패스를 판매했었다. 현재는 프리패스 제로인데 프리패스 킹은 전문직단기를 수강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전문직 단기를 제외한 나머지를 수강할 수 있다. === [[고시]] 진출 === 아래 항목들을 보면 알겠지만 정말 별의 별 시험에 대하여 대비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그런데 정작 학원의 이름을 가장 빛낼 수 있는 [[고시]]분야에는 진출을 꺼리고 있다. 현재 신림동 고시학원의 가격이 정말 택도 없이 비싸기 때문에[* 현강이야 첨삭이 들어가니 그렇다 쳐도, 인강조차 비싼건 그냥 과점의 폐습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준고시라 불리우는 회계사 시험의 인강 가격이 더 긴 강의 러닝타임에도 가격은 3분의1일 정도이다.] 값싼 프리패스로 유명한 단기학교가 진출해 지각변동을 일으키기를 바라는 수험생이 많은데도 관련 학교는 개설되지 않았다. 유력한 원인으로는 '2016년경에 야심차게 출발한 [[피셋]]단기가 시원하게 망해서(..)'가 꼽히고 있다. 아니면 최상위권만 도전하는 시험이라 가격만으로는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했거나 그저 돈이 안되기 때문일수도 있다.[* 과거 [[메가스터디]] 자회사 [[메가엠디]]가 사법시험, 행정고시 시험에 뛰어드려다가 말았다는 썰이 있는데 이런 이유라고 한다. 대신 현재는 7급 PSAT이 도입되면서 [[메가PSAT]]을 만들어 5급, 7급 PSAT 강의를 제공중이고 사법시험 폐지로 법조인 배출이 로스쿨로 일원화된 현재 [[메가로스쿨]]과 [[메가로이어스]]를 성공시켜 과거를 설욕하였다.] 일례로 신림동 4대 메이저 고시학원은 모기업이 [[윌비스]]인 한림법학원을 제외하고는 영세한 중형학원급 규모에 불과하다. 대신 2017년부터 법무사단기에서 법원행시 과정을 함께 개강했으나 이것도 민법 외엔 옛날강의를 돌려막는다. 2020년에는 변호사시험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기대를 모았던 광고에 비해 강사 라인업이 기존학원의 3타, 4타 강사들을 영입한데[* 다만 원래 [[한림법학원]] 소속이였던 [[정주형]] 강사는 그 정도 급은 아닌 이름 있는 강사다] 그치면서 수험생들의 반응이 엇갈린다. == 서비스 == === 어학 === * [[영단기]] - [[토익]], [[텝스]], [[TOEIC Speaking]], [[토플]] * [[일본어|일]]단기 - [[JPT]] 및 [[JLPT]] * [[중국어|중]]단기 - 신[[HSK]] * 바로영어 * 소리드림 * 영단기X다이렉트 잉글리쉬 === 취업 === * [[공기업단기]] === [[공무원 시험]] === * [[공단기]] - 9급/7급 [[공무원 시험]] 유명한 곳이다. 문서특성상 아래의 공무원시험 타 단기학원의 강사들의 문서가 궁금하면 [[공단기/강사진]]을 참고하자. * [[공직적격성시험|PSAT]]단기 - [[5급 공채]] 및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 사실 피셋단기는 몇년전에 커넥츠가 진입을 시도했다가 쪽박을 차고 포기했던 시장인데, 2021년 7급 공무원시험에 피셋이 도입되자 허겁지겁 재참전한 것. 그래서 홈페이지에 PSAT 단기 2.0이라고 써져있다(..)] 사실상 [[공단기]]라고 보면 된다. * 세무·관세단기 - 세무직 관세직 공무원 전문 강좌 * 숨마투스 - 공무원 상위권 전문학원 * 사복단기 - 사회복지직 공무원 * 기술단기 - 기술직 공무원 * 경단기 - [[경찰공무원]] 노량진, 신림, 대구, 부산에 오프라인 학원이 있다. * 군단기 - [[대한민국 군무원]], [[부사관]] * 법검단기 - 법원, 검찰 * 소방단기 - [[소방공무원]] * 경찰승진단기 - 경찰 승진 시험 전문 === 전문직 === 오프라인 학원은 보통 신림동에 있는 경우가 많다. * 공인단기 - [[공인중개사]] * [[노무사단기]] * [[법무사단기]][* 2017년부터 동일한 강사로 법원행정고시 과정도 함께 개설했으나 2020년부로 거의 철수하였다.] * --감평사단기--[* 2017년 런칭했으나 2년뒤 철수하였다] * 관세사단기 * [[변호사단기]] === 자격증 === * 자단기 * IT Pass - [[MOS]]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액세스), [[컴퓨터활용능력]](1급/2급), [[정보처리기사]] (+ 산업기사),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ITQ]], [[DIAT]](디지털정보활용능력), [[문서실무사]] * 전기 Pass -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산업기사), [[소방설비기사(전기)]], [[소방설비기사(기계)]] * 취업/재취업 - [[텔레마케팅관리사]], [[비서]]2급, [[사회조사분석사]] 2급, [[CS 리더스 관리사]] * [[전사적 자원관리|ERP]] 회계, 인사, 물류, 생산 * [[경비지도사]], [[직업상담사]], [[SSAT]](삼성 인적성), [[청소년상담사]] 3급, [[사회복지사]] 1급, [[국어능력인증시험]]([[ToKL]]), [[한자검정시험]](2급~8급) === [[대학수학능력시험]] === * --[[스카이에듀]]--[* 과거 논술대비를 위한 논단기를 따로 운영하였으나 스카이에듀 인수 후 병행 운영하다 스카이에듀에 통합되었다.] - 2021년 11월 서비스 종료. 학원은 아직 운영중이다. * 숨마투스 학원 - 최상위권 전문 재수학원 * 바른길 입시교육 컨설팅 - 수시 컨설팅 전문 (런칭 초기에 수백만원 상당의 입시 컨설팅을 50명에게 무료로 지원하는 이벤트를 열었었다.) * 스카이에듀 공교육 === PEET/MD === * ~~PEET단기~~ - ~~[[PEET]]~~[* PEET가 폐지되면서 2022년 9월 19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MD단기 - [[의전원]] 입학시험인 MEET, [[치전원]] 입학시험인 DEET를 가르친다. === 교원 === *--[[임용단기]] -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임용시험]]--[* 현재는 윌비스 임용에 넘겨주고 철수한 상황이다.] === 유학 === * GMAT단기 * GRE단기 === 취미 === * 커넥츠 취미 클래스 - 2019년 12월 새로 오픈하였다. 음악, 요리, 예술, 커리어, 운동 등이 있다. == 사건사고 == === [[노량진 임용고시학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2020년 노량진 임용단기학원 코로나 감염 사태]] ===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2020년 11월 20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의 [[커넥츠|임용단기학원]]에서 [[중등교원임용경쟁시험|중등 임용시험]]을 하루 앞두고 최소 3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학원가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 13명, 경기 7명, 전북 6명, 인천 3명, 광주 1명, 충남 1명, 충북 1명 등이다. 자세한 건 [[노량진 임용고시학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항목]] 창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단기, version=1924)] [[분류:에스티유니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