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식물족]] [[유희왕/OCG|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カースド・フィグ.jpg]] || 한글판 명칭 ||<-4>'''커스드 피그'''|| || 일어판 명칭 ||<-4>'''カースド・フィグ'''|| || 영어판 명칭 ||<-4>'''Cursed Fig'''||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물]] || [[식물족]] || 200 || 2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 필드 위에 세트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 선택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한, 선택한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세트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발동을 봉인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전투 파괴시 [[씽쩐후]]의 효과를 발휘하는 몬스터. 전투에 개입할 필요가 있지만, 한 번 몬스터 효과의 발동에 성공하면 묘지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선택한 카드를 계속 봉인할 수 있다. 상대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꽉 찬 상태라면 필드의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라는 조건을 포함한 온갖 콤보의 발생 조건을 틀어막 수 있다. 효과 파괴에 무력하다는 점이 아쉽지만, 그래도 씽쩐후와는 달리 마법 & 함정 존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점은 장점. 단점은 자신의 능력치가 낮은데 발동 조건의 특성상 능동적으로 발동하려면 큰 데미지를 각오하고 자폭으로 꼴아박아야 한다는 것. 또한 반드시 2장 선택이라 상대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없을 경우 자기 카드가 대상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이 카드를 필드에 꺼낼 때 상대 필드의 상황을 확인한 후 꺼내기를 바란다. 또한 묘지의 카드의 발동을 막는 [[소울 드레인]]이나, 묘지의 카드를 제외하는 [[영혼의 해방]]같은 카드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엔드 오브 아누비스]]는 이 카드의 천적. 세트를 강요하는 [[마법 봉인의 방향제]]와는 상성이 좋으며, 이 카드와 같이 사용하여 락 덱을 구축해볼 수도 있다. 상대는 본의 아니게 이 카드를 전투로 파괴했다가 필드가 압박당하는데다 세트한 마법 카드까지 못 쓰게 되는 것이다. 능동적으로 쓰고 싶을 경우 일부 식물족과 시너지가 있는 [[강제전이]]를 써보는 것이 좋겠다. 데미지 스텝, 그 중에서도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라 이 효과로 선택한 상대의 카드가 체인되어 봉인이 회피될 위험성은 낮은 편이다.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일부 카드[*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가 조건이거나 몬스터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하는 계열 등, 진짜 일부 효과만 이 타이밍에 발동이 가능하다. 공격력/수비력을 변경하는 카드조차도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는 발동할 수 없다.]를 제외하면 아무리 프리 체인 카드라 해도 이 효과에 체인을 걸지 못하고 그대로 락을 걸어버릴 수 있다. [[메타모르 포트]]의 [[블러핑]]으로 세트하는 것도 좋다. 2장 이상의 카드를 세트하여 상대를 꿰어내서 잘만 하면 메타모르 포트 대책으로 상대가 세트해놓은 카드를 저격할 수 있다. 일반 마법 뿐만 아니라 속공 마법이나 함정 카드도 체인당할 일 없이 봉인당할 것이다. 다만 [[빛의 봉인검]] 등으로 정체가 탄로나거나 상대가 카드를 세트하지 않았다면 자기 세트 카드만 못 쓰게 돼버릴 가능성이 있다. 가능하면 이쪽은 프리체인 카드를 세트해두고, 최악의 경우 데미지 스텝까지는 처리할 수 있게 해두도록 하자. 카드명의 '피그'는 영어판의 철자를 보면 알 수 있듯 Pig(돼지)가 아니라 Fig([[무화과]])다. 직역하자면 '저주받은 무화과' 정도가 되겠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혼돈의 교차]] || CSOC-KR028 || [[노멀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 || CSOC-JP028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 || CSOC-EN028 || [[노멀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씽쩐후, version=65)] == 관련 카드 == === [[씽쩐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