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영어 단어]] [목차] == 공연 용어 == 커튼콜(Curtain call) 이란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의 공연이 끝난 후 출연진들이 관객의 박수에 응하기 위해 무대 위로 올라와 최종인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공연에서는 배우들이 무대에서 인사만 하고 들어가는 게 전부다. 다만 21세기 들어 한국 뮤지컬계에서는 '[[라카지]]', '[[잭 더 리퍼(뮤지컬)|잭 더 리퍼]]', '[[몬테크리스토(뮤지컬)|몬테크리스토]]' 같은 몇몇 작품들을 시작으로 극에 등장했던 노래를 짤막하게 한두소절 커튼콜에서 한번 더 부르는 경우가 대중화되었다. [[https://youtu.be/WJVMndzw22E|몬테크리스토의 커튼콜 영상]] 사실 잭 더 리퍼 초연을 시작으로 몬테크리스토 초연이 국내 뮤지컬 시장에서 커튼콜에서 주요 넘버를 부르는 연출을 본격적으로 유행시킨 것.[* 이러한 유행이 한국에서 사실상 대세가 되면서 분명 매회차 배우들이 인사를 하는데도 '이 공연은 왜 커튼콜 안함?' 같은 글이 뮤지컬 커뮤니티에서 자주 보이기도 한다. 굉장한 전위극이 아닌 이상 커튼콜을 안 하는 공연은 거의 없다.][* [[하데스타운]]은 미국 작품임에도 독특하게 커튼콜에서 부르는 전용 넘버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공연은 사전에 촬영이 허가된 [[기자]] 등을 제외하면 상연 중에 촬영이 금지되어 있지만, 공연이 모두 끝난 커튼콜 때는 촬영이 허가되는 경우가 많다. 상당수의 뮤지컬에서는 커튼콜 촬영 금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커튼콜 데이'라 하여 특정 회차는 특별히 촬영을 허용하는 이벤트를 종종 개최하기도 한다. 현대 서양문화권에서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상황은 이 경우가 아니면 [[종교]] 의식, [[영국]] 등 [[입헌군주제]] 국가의 왕실 행사 정도뿐이다. == 영화/드라마명 == === 2016년작 영화 <[[커튼콜(영화)|커튼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커튼콜(영화))] === 2022년작 KBS 드라마 <[[커튼콜(드라마)|커튼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커튼콜(드라마))] == 음악/앨범명 == === 가수 [[태연]]의 노래 [[My Voice Deluxe Edition#s-4.4|Curtain Cal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y Voice Deluxe Edition, 문단=4.4)] === [[엠씨더맥스]]의 노래 [[Curtain Cal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urtain Call)] === [[토일]]의 정규 앨범 [[Curtain Call(TOIL)|Curtain Cal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urtain Call(TOIL))] === 래퍼 [[에미넴]]의 컴필레이션 앨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urtain Call: The Hits)] === [[아이돌 마스터/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TVA]] 작중극 [[生っすかSPECIAL#s-7|生っすかSPECIAL]] 앨범 삽입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カーテンコール)] === 작곡가 [[Cansol]]의 앨범 Curtain Cal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nsol, 문단=2.1)] == 기타 명칭 == === SBS 보도본부 팟캐스트 '[[골라듣는 뉴스룸]]' <커튼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골라듣는 뉴스룸)] ===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진(리그 오브 레전드)|진]]의 스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진(리그 오브 레전드), 문단=4.5)] === 게임 [[사이퍼즈]]의 캐릭터 [[광대 라이샌더]]의 스킬 [[광대 라이샌더#s-5.6|커튼 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대 라이샌더, 문단=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