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
[[이미지:FFGx-At-sea-for-tradeshow.jpg|width=100%]]|| |||| {{{#white '''''Constellation''-class Frigate'''}}} || [목차] == 개요 == [[미합중국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 시스템|이지스]] [[호위함]].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과 [[미해군 연안전투함]]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중이다. 이탈리아 [[핀칸티에리]]社의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하며, 탑재될 레이더가 FREMM급 중 가장 우수하다. == 제원 == ||||||||<:><-7> '''{{{+1 {{{#ffffff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br]{{{#ffffff ''Constellation''-class Frigate}}}''' || ||||<:> '''이전함급''' ||<:> [[프리덤급 연안전투함]][br]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b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실질적] || ||||<:> '''다음함급''' ||<:> - || ||||<:> '''건조 업체''' ||<:> Fincantieri Marinette Marine || ||||<:> '''건조 예정''' ||<:> 20+9척 || ||||<:> '''비용''' ||<:> 7억 9500만 달러[[https://news.usni.org/2020/04/30/fincantieri-wins-795m-contract-for-navy-frigate-program|출처]] || ||||<:> '''전장''' ||<:> 151m || ||||<:> '''전폭''' ||<:> 20m || ||||<:> '''흘수선''' ||<:> 7.9m || ||||<:> '''만재배수량''' ||<:> 7,400t[[https://www.defensenews.com/digital-show-dailies/surface-navy-association/2021/01/12/heres-the-latest-on-the-us-navys-new-constellation-class-frigate/|출처]] || ||<|3><:> '''동력''' ||<:> '''방식''' ||<:> [[CODLAG]] || ||<:> '''기관''' ||<:>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 G4 [[가스터빈]] × 1기 || ||<:> '''발전기''' ||<:> [[롤스로이스 plc|롤스로이스]]-[[MTU(기업)|MTU]] 20V 4000 M53B × 4기 (12MW) || ||||<:> '''최고속도''' ||<:> 26노트 (48.152km/h) 이상 || ||||<:> '''항속거리''' ||<:> 16노트 (29.632km/h) 순항 시 11,000km || ||||<:> '''승조원''' ||<:> 200명 (장교 24명, 수병 176명) || ||||<:> '''전투체계''' ||<:> [[이지스 시스템]] 베이스라인 10 || ||<|2><:> '''레이더''' ||<:> '''고정''' ||<:> [[AN/SPY-6|AN/SPY-6(V)3]] || ||<:> '''수상''' ||<:> AN/SPS-73(V)18 || ||<|3><:> '''소나''' ||<:> '''소나 체계''' ||<:> AN/SQQ-89F 대잠 시스템 || ||<:> '''예인 소나''' ||<:> AN/SLQ-61 견인 소나 || ||<:> '''가변심도소나''' ||<:> AN/SQS-62 가변심도소나 || ||<|2><:> '''전자전''' ||<:> '''ECM/ESM''' ||<:> SLQ-32(V)6 ECM/ESM || ||<:> '''디코이''' ||<:> Mk.53 디코이 발사대 × 4문 || ||<|7><:> '''무장''' ||<:> '''함포''' ||<:> [[보포스 57mm 함포|보포스 57mm Mk.110]] × 1문 || ||<:> '''수직발사관''' ||<:> [[Mk.41 VLS]] × 32셀 || ||<:> '''함대공미사일''' ||<:> [[ESSM|RIM-162 ESSM Block 2]][br] [[SM-6|RIM-174 SM-6 ERAM]][br] [[SM-2|RIM-66 SM-2 Block IIIC]] || ||<:> '''함대함미사일''' ||<:> [[NSM]] × 16발 || ||<:> '''함대지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 ||<:> '''근접방어체계''' ||<:> [[RIM-116 RAM]] × 1기 || ||<:> '''기관총''' ||<:> [[M240 기관총]] × n정[br]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n정 || ||||<:> '''탑재항공기''' ||<:> [[MH-60 시호크|MH-60R 시호크]] × 1기[br] MQ-8C 파이어 스카우트 × n기 || == 상세 == 기존 [[미해군 연안전투함|LCS]]의 한계와 전장 환경 변화에 따른 범용 다목적 [[호위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LCS가 각종 모듈 교환을 통한 멀티롤을 추구했다면, 이 함선은 여러 기능을 한 척에 집약하여 멀티롤을 추구한다. 기존 LCS의 모듈 교환 기능이 범용성을 오히려 떨어뜨리고 비용만 증가시켰다는 비판 때문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수상전투함의 경우에도 [[VLS]]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함선이라면 무장에 한정해서는 [[미해군 연안전투함|LCS]]와 같이 [[항공기]]처럼 임무에 맞춘 무장 교체를 하면서 전투를 할 수 있기에, LCS의 개발 당시에는 모듈 교환 기능이 오히려 문제가 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LCS의 모듈 교환 기능의 운용 실적이 영 안 좋았기에, 컨스텔레이션급에서는 다시 예전 방식으로 돌아간 것이다. 비용은 2019년 척당 8억~9억 5천만 달러 정도가 될 것이라는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측 계획 목표치가 있다. 이는 굳이 비교하자면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3]]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비용이나 차후 진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총 20척(+ 옵션 9척)이 계획되어 있고, 초도함은 2026년에 배치될 예정이다. == 계획 == FFG(X)라는 사업명으로 2017년부터 시작되어 왔으며, LCS에서 현재 적용단계에 있는 골드-블루팀식의 승조원 운용방식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미 해군은 그동안 LCS와 [[줌왈트급]]에서의 실패에 대한 교훈으로 위험부담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빠른 건조와 배치를 위해 존재하는 함선의 디자인을 활용해 개발하기로 계획했으며, 외국군의 군함에다가 심지어 [[미국 해안경비대|해안경비대]]의 경비함까지 후보 대상에 포함시키고 경쟁 입찰을 실시했다. 생존성에 대해서도 상당히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defensenews.com/naval/2019/07/05/fincantieris-fremm-frigate-design-bulks-up-for-the-us-ffgx-competition/|핀칸티에리사측 발표로 생존성 강화를 위해 배수랑을 키울 것이다라는 내용의 기사로 다른 경쟁주자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주목되는 분야인 [[무인기]]에 대해서는 MQ-8C와 통제체계 외 특이사항은 없으나 최종안이 나오고 사업 진행에 따라 [[무인기#s-4.3|UUV/USV]] 운용체계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미 해군이 RFP에서 제시한 능력은 다음과 같다. > * 초수평선에서 적 수상함을 파괴할 수 있을 것. > * 적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을 것. > * 수송선단을 보호할 수 있을 것. > * 능동/수동 전자전 능력을 가질 것. > * 무리를 지어 군집 공격하는 소형 보트떼를 막을 수 있을 것. === 후보 및 선정 === [[이미지:FFG(X)-1.jpg|width=1000]] [[이미지:ffg(x)-5.jpg]] 2018년 2월 최종적으로 5팀의 후보가 정해졌다. [[록히드 마틴]]([[미해군 연안전투함|프리덤급]]), [[https://usa.austal.com/|오스털 USA]]([[미해군 연안전투함|인디펜던스급]]), [[핀칸티에리]]([[FREMM급]]), [[노스롭 그루먼#s-2.4|헌팅턴 잉걸스]]([[https://www.dcms.uscg.mil/Our-Organization/Assistant-Commandant-for-Acquisitions-CG-9/Programs/Surface-Programs/National-Security-Cutter/|레전드급]]), [[https://www.navantia.es/en/|나반티아]]-[[제너럴 다이내믹스#s-3]]([[알바로 데 바잔급 구축함]])[* 선정시 제너럴 다이내믹스 배스 아이언 웤스 조선소에서 건조할 계획]의 5개 팀이 선정되었다 2018년 2월 상술한 5개 팀의 후보군이 선정되면서 각 팀에 1,500만 달러 상당의 개발지원금이 투자되었으며 7월경 추가로 640만~800만 달러 상당의 개발지원금이 투자된 상태이다. 2018년 7월 말 미 해군 측에서 영국, 캐나다, 호주와 각종 체계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각국의 [[호위함]] 사업을 추진하자는 안을 제시하였으나 2019년 7월 기준 영국 [[26형 호위함|26형]]/[[31형 호위함|31형]], 호주 [[26형 호위함#s-3.1|헌터급]], 캐나다 [[26형 호위함#s-3.2|CSC]]로 결정된 상태라 사실상 포기되었다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5월 5개 후보 중 하나인 록히드 마틴이 계약 입찰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해외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https://www.defensenews.com/naval/2019/05/29/lockheed-declines-to-bid-for-ffgx-design/|#]] 직접적인 선체 건조보다는 전투체계 납품 쪽으로 선회한다는 방침이라고 한다. 2019년 7월 최종 RFP가 나왔으며 같은해에 각 팀으로부터 최종안을 받은 후 2020년 선정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최종선정 후 2020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20척 분량을 인도받을 예정이다. 2020년 4월 29일, 이탈리아 핀칸티에리社의 FREMM급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이 결정되었다.[[https://news.usni.org/2020/04/30/fincantieri-wins-795m-contract-for-navy-frigate-program/|#]] 선정 사유는 가격이 상한선인 9억 달러를 넘지 않고, 향후 선체 절단같은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업그레이드에 용이하며, 가장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조는 미국 위스콘신주에 위치한 핀칸티에리社 산하의 마리네티 마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2020년 10월, 1번함의 함명은 [[컨스텔레이션]], 함급명은 컨스텔레이션급으로 확정되었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0/10/us-navys-ffgx-frigates-will-be-known-as-the-constellation-class/|#]] === 체급 === 컨스텔레이션급은 [[프리깃]]치고는 비교적 체급이 큰 함선으로 평가받고 있다. 어느 정도냐 하면 대잠전만 [[RUM-139 VL-ASROC|아스록]]과 [[대잠헬기]]로 퉁쳐서 그렇지, 사실상 [[호위함]]인 척하는 이지스 [[구축함]](...)이라는 전대미문의 평가를 받고 있을 정도이다. 대부분의 밀덕들도 "어떻게 7400톤이 호위함이냐"라고 평하고 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KDDX]]와 비슷한 수준이다. 사실상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과거 초기형 시절 가졌던 포지션과도 가까운 포지션을 갖고 가게 되었다. 다만 이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평 또한 많다. 컨스텔레이션급은 엄연히 [[미해군 연안전투함|LCS]]의 후계 함선으로 적국의 연안에서 작전해야 하는 성격의 함정이다. 현재 미 해군은 안 그래도 [[DF-21]] 같은 [[대함 탄도 미사일]] 탓에 [[A2/AD]]를 돌파해서 중국 연안에서 작전하기가 힘들어진 와중에 중국과 러시아가 각각 [[DF-17]]과 [[9K720 이스칸다르]]/[[아방가르드 미사일|YU-71·YU-74 아방가르드]] 등의 [[극초음속 미사일]]을 제조·계획해 내니 [[항모전단]]도 위험해져서 도련선을 돌파한 컨스텔레이션급을 충분히 지원할 수 있을 만큼 접근하기가 힘들어졌다. 어쩔 수 없이 차세대 함정들에게도 [[개함방공]]을 위한 자함 방어 능력과 더불어 [[미사일 방어 체제]]에 포함될 수 있는 수준의 [[함대방공]] 능력을 부여하여 이런 강력한 탄도탄/순항미사일 전력으로부터 개개의 자함과 함대에게 최소한의 생존성을 부여해 줘야 하는 것이다. 아무튼 상기한 [[극초음속 미사일]] 탓에 [[항공모함]]들이 도련선들을 돌파한 컨스텔레이션급들을 위한 함재기 지원을 위하여 작전반경에 들어가기도 힘들어지다 보니, 자체적인 대함 능력도 부여해 주어야 하는데, 이 두 가지를 전부 충족시키려면 어쩔 수 없이 구축함급 사이즈가 튀어나올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장 구축함인 [[알레이 버크급]]도 그 거대한 덩치에도 불구, 후기형에서 [[BMD#s-1|BMD]] 강화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하푼을 포기하는 일이 벌어진 걸 보면 나름 이해해 줄 수밖에 없는 포인트이긴 하다.[* 이후 미 해군은 [[AGM-158 JASSM]]의 대함 버전인 [[AGM-158C LRASM]]의 개발 단계에서, LRASM이 [[Mk.41 VLS]]에도 탑재/운용할 수 있도록 요구를 해서 후기형 알레이 버크급도 이 LRASM을 무장 통합하면 대함 공격력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을 듯 하다. 게다가 기존에 이미 [[BGM-109 토마호크]] 미사일을 운용하고 있어, 대함 공격에도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2022년 현재 기준으로 공대함 버전만 초기 운용 시작·함대함 버전은 아직 완성되지도 않은 상태고, 이 녀석을 많이 실을 만큼 알레이 버크급의 VLS 셀이 많은 것도 아니다. 안 그래도 겨우 96셀에 [[BMD#s-1|BMD]]용 [[SM-3]]하고 [[SM-6]]마저 새로 무장에 추가되어서 공간이 없는 상황인지라, LRASM도 충분한 수량을 채울 수 있을지 의문이다.] 게다가 LCS가 연안전투에 필요한 고속성능 및 고기동성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운사이징에 지나치게 치중한 결과 [[호위함]]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초계함]]에 가까운 경무장 소형함이 되어버린 것도 컨스텔레이션급의 체급이 커질 수밖에 없던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미 해군은 자국의 연안이 아닌 적국의 연안에서 공세적 목적으로 운용된다는 점을 반영하여 LCS를 호위함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냉정히 말해서 LCS의 성능은 [[스웨덴 해군]]의 [[비스뷔급 초계함]]을 약간 강화시킨 것에 가까운 정도에 불과해서 초계함이나 [[원양초계함]]으로서는 그래도 써먹을 만 하지만 호위함으로서는 너무나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LCS와 비스뷔급은 주포를 시작으로 상당한 공통점을 보이며, 여러 장단점을 서로 공유하고 있기도 하다. 이 때문에 비스뷔급이 여러 단점을 드러내며 나쁜 의미의 재평가를 받게 된 이후부터는 비스뷔급과 단점을 공유하는 LCS의 실패 역시 예견된 결과였다는 평이 나오기도 하였다.] [[연안해군]]이나 [[지역해군]]이라면 몰라도 [[대양해군]]인 미 해군에서 수세적 목적도 아닌 공세적 목적으로 운용되기에는 모듈 교환 기능의 폐해 같은 부차적인 문제를 따지기 이전에 기본적인 성능에서부터 여러모로 안 맞는 부분이 많았던 것.[* 그나마 인디펜던스급은 갑판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좋은 트라이머런(3동체)식 동체 덕분에 비행갑판이 넓어 함재헬기 운용이 용이하고 내파성도 뛰어나서 중국이나 러시아 근해 등의 태평양(기상환경이 거칠고 파고가 높은 원양)에서 작전하기 용이하지만, 프리덤급의 경우에는 여러모로 대양 환경에서 써먹기가 애매하다. 물론 프리덤급 역시 기동성이 좋아서 빠른 배치가 요구되는 중동 해역 등에 파견하기 좋다는 이점을 가졌긴 하지만, 그 중동 해역이 이제는 미 해군의 주요 활동지가 아니게 되어서 프리덤급의 이점이 크게 퇴색된 것이 문제.] 그렇기에 그러한 LCS의 운용 실적을 [[반면교사]]로서 반영하고 더불어 과거의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과 같이 다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호위함을 지향하기 위해서, 컨스텔레이션급은 필연적으로 LCS에 비해 좀 더 강화된 무장을 갖춘 대형함으로 완성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장비 == === 센서 === [[레이더]]로는 차세대 이지스 [[위상배열 레이더]]인 [[AN/SPY-6]]의 9개 모듈, 3면 고정형인 EASR이 채용되었고, 전투 시스템 역시 [[이지스 시스템]] 베이스라인 10이 탑재되며 CEC 능력을 보유한다. 전자전 시스템 역시 최신 함재 전자전 시스템인 SEWIP(Surface Electronic Warfare Improvement Program) 블록 2가 포함된다. [[음파탐지기|소나]] 시스템은 가변심도소나(VDS)와 경예인소나만 탑재하고, 함수소나 등 선체고정소나는 LCS와 마찬가지로 탑재하지 않는다. === 무장 === [[대함 미사일|대함유도탄]]은 2018년 6월 [[NSM 대함미사일|NSM]]으로 선정되었으며 [[미해군 연안전투함|LCS]]에도 적용될 계획이다. [[Mk.41 VLS]]에 들어갈 무장으로는 [[SM-2|SM-2 블록3C]]와 [[SM-6]], [[ESSM|ESSM 블록 2]] 등이 거론 단계에 있다. [[함포]]로는 LCS와 같은 보포스의 [[보포스 57mm 함포|Mk.110 57mm 고속 함포]]와 자체 시커를 통한 유도 능력이 있는 최신 포탄인 Advanced Low Cost Munition Ordnance(ALaMO)를 채용했다.--과연 양산이 될까?-- [[CIWS]]로는 [[RIM-116]] RAM이 채택되었다. 이미 57mm 함포의 화력부족문제를 연안전투함에서 체험해놓고 76mm 함포나 127mm 함포로 회귀하지 않은 것이 의외라는 반응들도 있다.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보다 배수량이 2000톤 가량 더 크기 때문에 127mm 함포를 탑재 못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 사실 미국 입장에서는 76mm나 127mm나 둘 다 애매한 화력이라서[* 적국 함선과 전투한다면 미사일을 주력무기로 쓸 것이며, 확전의 가능성을 우려해 함포로만 전투하는 것은 애초에 미국이 지향하지 않는 외교방식이고 현재 그럴 정도로 애매한 군사적 적대관계에 있는 상대국도 없다. 그리고 미국은 76mm나 127mm 수준의 함포로는 지상공격을 하지 않는다. 하려면 할 수는 있겠지만 이미 [[토마호크 미사일]]과 항공모함 전투비행단으로 거의 모든 지상공격을 다 하기에 그런 작은 구경의 함포가 낄 자리가 없다.] 차라리 다목적성을 추구하고 근거리에서 소형표적을 맞추기 용이한 57mm를 채용한 듯 하다. == 함선 목록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기타''' || ||<:> FFG-62 ||컨스텔레이션 (Constellation) ||<:>2022.8.31||<:>-||<:>-||<:> - ||<:> 건조중 || ||<:> FFG-63 ||콩그레스 (Congress) ||<:>||<:>||<:>||<:> - ||<:> 건조 예정 || ||<:> FFG-64 ||체사피크 (Chesapeake) ||<:>||<:>||<:>||<:> - ||<:> 건조 예정 || ||<:> FFG-65 ||라파예트(Lafayette) ||<:>||<:>||<:>||<:> - ||<:> 건조 예정 || == 대중매체에서 == [[이미지:858858A9-BAF3-464E-8B32-418F71821420.jpeg.webp|width=100%]] * 게임 [[모던 워쉽]]에서 2티어 호위함으로 등장한다. 미사일 슬롯이 3개나 달려있어 압도적인 화력을 자랑한다. 다만 체력이 낮고, 방공이 약해서 근접공격이나 지속 공격엔 약하다. == 관련 문서 == * [[미국 해군]] * [[해상 병기/현대전]] * [[호위함]]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군함]] [include(틀:포크됨, title=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version=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