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항공우주 프로젝트)] [include(틀:우주왕복선)] * 상위 문서: [[우주왕복선]] ||||<#000000><:>'''{{{#FFD700 Space Shuttle Columbia}}}'''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Close-up_STS-107_Launch_-_GPN-2003-00080.jpg]]|| |||| '''[[STS-107]] 임무를 위해 발사 중인 컬럼비아''' || || 궤도선 제식번호 || OV-102 || || 사용국 || [[미국]] || || 계약일 || 1972년 7월 26일 || || 이름을 따온 곳 || 로버트 그레이 선장의 Columbia Rediviva 호 || || 최초 비행 임무 || STS-1 || || 최초비행일 || 1981년 4월 12일 ~ 1981년 4월 14일 || || 최후 비행 임무 || STS-107 || || 최후비행일 || 2003년 1월 16일 ~ 2003년 2월 1일 || || 수행 임무 수 || 28회 || || 총탑승 인원 수 || 160명 || || 우주 체류 일수 || 300일 17시간 40분 22초 || || 지구 주회 횟수 || 4,808회 || || 총 비행 거리 || 201,497,772km || || 발사 위성 수 || 8기 || || 미르 도킹 횟수 || 0 || || ISS 도킹 횟수 || 0 || || 상태 || 2003년 파괴 || [목차] == 개요 == 처음으로 우주에 나갈 수 있게 제작된 우주왕복선. 그러다 보니 오비터 중 가장 무거워 OV-103에 비해서 약 3.1톤, 새로 제작된 OV-105보다 3.6톤 정도 무겁다. 첫 비행은 STS-1. 초대 사령관은 제미니 2회, 아폴로 달 탐사 2회에 빛나는 [[존 영]]. 마지막 사령관은 릭 허즈번드. NASA 역사상 최초로 여성 사령관이 지휘한 STS-93 미션에서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을 전개한 궤도선 == 임무 == 1998년 4월에는 인간 신경계에 미치는 무중력상태의 영향에 관해 실험할 목적으로 발사되어 16일간 우주에 머무르면서 불면증, 불안정 등에 대한 실험을 하기도 했으며, 귀뚜라미, 물고기, 쥐, 달팽이 등 2,000여마리의 동물이 함께 탑승한뒤 실험 대상이 되면서 '우주 노아의 방주' 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또한 1999년에는 STS-93 미션에서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을 발사하고 2002년 STS-109 미션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4차 보수를 진행하기도 했다. == 사건사고 == 그러나 이 우주왕복선은 2003년 [[STS-107]] 임무를 수행한 후 귀환하다가 공중분해되며 7인의 승무원이 몰살, 1986년 [[STS-51-L]] 미션의 발사 도중 폭발한 [[챌린저(우주왕복선)|챌린저]]와 함께 셔틀 시대의 양대 흑역사를 찍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두 이름이 모두 영광의 상징인 [[아폴로 계획]]에서 역사에 길이 남을 우주선의 콜사인으로 쓰였다는 점.[* 챌린저는 달에 인류의 마지막 발자국을 남긴 [[아폴로 17호]]의 달 착륙선 콜사인으로 쓰였다. ~~사실 엔데버도 [[아폴로 15호]]에서 쓰이는등 NASA가 창의적인 이름보다는 그냥 우려먹는 편이긴 하다.~~] 사고 경위는 [[STS-107]] 참고. == 기타 == [[아폴로 11호]]의 사령선 콜사인이 컬럼비아였고, 이 컬럼비아의 이름은 STS-1 임무를 시작으로 우주개발의 무대에 데뷔한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에게 계승되었다. [[분류:우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