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impactwrestling.com/Cropped-IMG_0258.jpg]] [목차] == 프로필 == ||<-2> [[임팩트 레슬링|{{{#000000 '''IMPACT!'''}}} {{{#ff0000 '''WRESTLING'''}}}]] || || 링네임 || Kenny [br] '''Kenny King''' [br] Tough Enough Kenny || || 본명 || Kenny Layne || || 생년월일 || 1981년 7월 22일 ([age(1981-07-22)]세) || || 출신지 || [[미국]] [[뉴욕]] [[퀸스]] || || 신장 || 183cm || || 체중 || 100kg || || 별명 || The Natural [br] The Pretty Boy Pitbull [br] The King of the Night [br] The/Your Chairman of Championships [br] The/Your Championship Chairman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이 플라이어|하이 플라이어]] || || 주요 커리어 || [[ROH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ROH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 2회 [br]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 3회 [br] 아너 럼블 우승 (2019년) [br]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TNA X 디비전 챔피언]] 2회 [br]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1회 [br] TNA World X Cup 우승 (2013년) [br] UWF 베가스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FIP 태그팀 챔피언 1회 [br] FSW 엘리트 챔피언 1회 [br] FSW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로얄 플러쉬''' [br] '''라스트 챈서리''' [br] '''코로내이션''' || == 커리어 == 활동 초기엔 WWE에서 벌인 [[터프 이너프]] 시즌 2 참가자중 1명이었고, 4위에 그쳐 우승하진 못했다. 이후로 프로레슬러의 꿈을 키우며 닉 보크윙클 & 스캇 케이시 밑에서 레슬링을 배우며 2003년에 [[미즈(프로레슬러)|마이크 미재닌]]을 꺾는다. 2003년 ~ 2005년까지 캘리포니아에 있는 Alternative Wrestling Show에서 활동하다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 [[TNA]]에 입성하게 된다. 이름값하는 선수들이 많았던 TNA에 입성하면서 거의 지는 일만 반복해왔고, 2006년에 방출된다. 풀 임팩트 프로에서 활동하던 중 2007년에 [[ROH]]에서 활동하기 시작하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태그팀 챔피언에도 오른다. 2012년에 다시 TNA에 모습을 보이며 X 디비전 전선에서 활동하게 되고, 2013년에 [[랍 밴 댐]]을 꺾고 X 디비전 챔피언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슬래미버서리 XI]]에서 [[크리스 세이빈]], 수어사이드를 상대로 얼티메이트 X로 벌인 챔피언십 매치에서 크리스 세이빈이 승리를 거두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계속 슬럼프에 빠지다가 [[몬텔 본테비어스 포터|MVP]]의 비트 다운 클랜에 합류하게 된다. 2015년에 X 디비전 전선에서 다른 선수들과 대립을 형성하며, 하드코어 저스티스에서 [[드레이크 매버릭|락스타 스퍼드]], [[마크 앤드류스|맨드류스]], [[티그레 우노]]를 상대로 래더매치에서 승리를 거둬 통산 2회 X 디비전 챔피언에 오른다. 얼마안가 락스타 스퍼드에게 뺏긴다. 케니 킹은 ROH와 병행하며 활동하나 얼마안가 TNA에서의 활동을 그만두게 되고, ROH에서 커리어를 더 늘려가게 된다. 2022년에 임팩트 레슬링(과거 TNA)으로 돌아와 [[조쉬 알렉산더]] VS [[빈센트(프로레슬러)|빈센트]] 경기가 끝나고 난입해 ROH에서 같이 활동했던 선수들과 합류하며 조쉬 알렉산더를 공격한다. 이후로 [[아너 노 모어]]라는 스테이블이 되면서 [[노 서렌더 2022]]에서 임팩트 레슬링 소속 선수들(크리스 세이빈 & [[윌리 맥]][* 에디 에드워즈의 대타] & [[라이노(프로레슬러)|라이노]] & [[리치 스완]] & [[스티브 매클린]][* 계약만료된 조쉬 알렉산더의 대타])을 상대하는데 팀 임팩트를 배신한 [[에디 에드워즈]]의 도움으로 승리를 거두며 임팩트 레슬링에 잔류할 수 있게 되었다. [[슬래미버서리 2022]]에서 얼티메이트 X로 벌어질 X 디비전 챔피언십 매치에 참가하게 되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빅토리 로드 2022]]에서 열린 트리플 쓰렛 리볼버에 참가하지만 패한다. 맷 테이븐 & 마이크 베넷이 히스 & 라이노와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패해 챔피언 벨트를 잃자 경기 후에 에디 에드워즈가 아너 노 모어 전원을 향해 질책하며 멸시하자 PCO가 분노를 표출하며 에디 에드워즈를 포함한 나머지 아너 노 모어 멤버들을 공격해 아너 노 모어에서 탈퇴한다. 맷 테이븐 & 마이크 베넷 & 마리아 카넬리스 & 빈센트는 계약만료로 임팩트 레슬링을 퇴사한다. 이후 아너 노 모어는 각자의 길을 가게 된다. [[프랭키 카자리안]]이 조쉬 알렉산더의 임팩트 월드 챔피언 자리에 도전하기 위해 X 디비전 챔피언 자리를 반납하자 케니 킹은 공석이 된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을 가릴 토너먼트에 참가해 [[마이크 베일리]]를 상대하지만 패하며 탈락된다. 준결승전에 진출한 마이크 베일리를 DQ로 패하게 만들고, [[오버 드라이브 2022]]에서 프리쇼로 열린 6인 경기에선 마이크 베일리, 리치 스완, [[우에무라 유야]], [[부핀더 구자르]], [[제이슨 호치]]를 상대하지만 리치 스완이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이후로도 케니 킹은 마이크 베일리에 대해 질투를 하며 대립을 이어나간다. 며칠 후 마이크 베일리를 상대로 파이트 핏 매치로 맞붙지만 패한다. 한동안 비중없이 활동하다가 PCO와 대립중인 에디 에드워즈를 도와주는 역할로 나오게 되면서 [[새크리파이스 2023]]에서 PCO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리벨리온 2023]]에서 벌어지는 하드코어 워 매치에 팀 불리 멤버로 들어가 팀 드리머와 맞붙지만 패한다. [[언더 시즈 2023]]에서 [[닉 앨디스]]의 상대로 등장하지만 패한다. 케니 킹은 [[죠 헨드리]]의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자리를 노리기 시작하면서 [[슬래미버서리 2023]]에서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로프에 발을 올리는 반칙을 써서 새로운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에 등극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카네마루 요시노부]]를 상대로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둔다. [[이머전스 2023]]에서 [[쟈니 스윙어]]를 상대로 챔피언십 매치를 벌여 승리를 거둬 챔피언 자리를 방어한다. 경기 후에 쟈니 스윙어를 공격하자 [[타미 드리머]]가 나와 막지만 타미 드리머마저 당하고 [[빅토리 로드 2023]]에서 타이틀 VS 커리어 매치로 맞붙게 되지만 케니 킹이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 기타 == * [[알 스노우]] & [[차보 게레로]]에게 트레이닝을 받은 적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아너 노 모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cup12.jpg|width=300]]}}} || ||||||||||||<:> '''TNA / 임팩트 레슬링 월드컵 토너먼트 우승자 ''' || || 창설 || → || '''팀 USA[*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제임스 스톰, 카자리안, '''케니 킹''', 미키 제임스][br](2013)''' || → || 팀 영[* 에릭 영, 불리 레이, 에디 에드워즈, 거너, ODB][br](2014) || ||<-5>
[[파일:01-roh-logo-2020_0.jpg|width=200]] || ||<-6> '''ROH 아너 럼블 우승자''' || || [[프랭키 카자리안]][br](2017) || → || '''케니 킹[br](2019)''' || → || [[알렉스 제인]][br](2021)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1년 출생]][[분류:퀸스 출신 인물]][[분류:2002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