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개구리 중사 케로로]][[분류:SPC삼립]][[분류:롯데웰푸드]][[분류:띠부씰]] ||[[파일:external/image.edaily.co.kr/PS07121300098.jpg]]|| || 과거 케로로빵 || ||[[파일:케로로빵.jpg]]|| || 2022년 재출시한 케로로빵 || [목차] == 개요 == [[국찐이빵]], [[핑클빵]], [[포켓몬빵]]에 이은 캐릭터 빵 시리즈. [[포켓몬빵]], [[디지몬빵]]과 원피스빵 사이에 있는 띠부띠부씰 계보 사이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 역사 == 포켓몬빵이 먹으라는 빵은 안 먹고 스티커([[띠부띠부씰]])만 모으는 주객이 전도된 현상으로 학부모들에게 엄청난 항의를 받던 끝에 [[2000년대]] 중반부터 몬스터 붐이 사그라 들면서 띠부띠부씰의 계보가 단절될 뻔했으나, [[2005년]]에 [[개구리 중사 케로로]]의 인기몰이로 샤니 측이 [[온미디어]]와 판권 사용계약을 맺어서 나온 빵이다. [[케로로 소대]]는 적어도 이 빵에 한해서 한국을 제패할 뻔 했으나, 2008년 가을에 다시 포켓몬빵이 나오며 [[시망]] 테크를 탔다. 그 후로는 삼립식품이 원피스빵을 밀어주었으며, 현지의 케로로 방영도 [[2011년]]에 끝난지라 이젠 케로로 유행도 완전히 추억 저편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 재출시 (2022) === 2022년에 [[포켓몬빵]]이 재출시 됨에 따라 케로로빵과 디지몬빵의 재출시를 바라는 여론의 말이 굉장히 많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개구리 중사 케로로]] 같은 경우는 이미 애니메이션도 한참 전에 종영되었고, 판권도 회수되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 다만 2019~2020년에 [[카툰네트워크]]에서 재더빙하여 방영된 적은 있다.] 그러나 디지몬빵이 재출시된다는 소식이 나와서 가능성이 약간 생겼다. 그리고 9월 9일 기준으로 [[CU]]에서 신상품 라인업에 케로로빵을 올려둔 상태이며, 9월 14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식 발표를 하였다. 17년 전과 달리, 제조는 [[롯데제과]]와 화과방[* [[대두식품]] 의 식품 브랜드. 주로 만주같은 화과자나 떡, 빵등을 만든다.]에서 한다.[* 7종중 스콘과 붓세 그리고 고구마 케이크가 화과방 생산, 나머지 양산빵계열은 롯데 생산이다.] [[2022년]] [[9월 8일]] 쯤 포켓CU에서 케로로빵 재고 확인이 올라왔으나, [[9월 14일]] CU 공식 SNS에서 출시 확정이 되었다. 아마 1990~2000년대생 어른들인, [[개구리 중사 케로로]]를 보고 자랐던 연령대가 주요 타깃으로 보인다.[* 이보다 앞서 2019~2020년에 [[카툰네트워크]]에서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2022년 케로로빵은 샤니가 아닌 롯데제과 또는 대두식품에서 제조하며, 단가는 1,500~2,000원으로 다양하다. 2022년 9월 14일부터 [[CU]] 편의점에서만 구매가 가능하다. 총 82종의 띠부띠부씰 중 랜덤하게 하나 동봉되어 있다. 먼저 케로로빵과 푸루루빵이 출시 되었고, 나머지 4종의 빵들은 3주마다 두 개씩 출시할 예정이다. 제품 라인업으로는 '케로로의 미니땅콩샌드', '타마마의 미니딸기샌드', '기로로의 클래식 카스테라', '쿠루루의 치즈케이크', '도로로의 카라멜스콘', '푸루루의 크림붓세'로 총 6종이고 이 중에서 케로로, 푸루루, 도로로, 쿠루루, 타마마는 출시 상태, 나머지는 간격을 두어 출시 예정이라고 한다. * [[케로로]]의 미니땅콩샌드: 단가 1,500원. 땅콩크림이 들어있는 샌드 빵이다. 총 3개 들어있으며, 맛은 쿠키런 땅콩샌드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 [[타마마]]의 미니딸기샌드: 단가 1,500원. 딸기크림이 들어있는 샌드 빵이다. 총 3개 들어있다. * [[기로로]]의 클래식 카스테라: 단가 1,500원. 그냥 일반적인 카스테라 이며 그냥 먹기엔 좀 퍽퍽해서 음료수랑 같이 먹는 걸 추천한다. * [[쿠루루(개구리 중사 케로로)|쿠루루]]의 치즈케이크: 단가 1,500원. 길쭉한 치즈케이크가 들어있는 제품이다. 생각보다 목이 많이 메일수도 있으므로 우유랑 같이 먹는걸 추천한다. 맛은 피카츄 치즈케이크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 [[도로로(개구리 중사 케로로)|도로로]]의 카라멜스콘: 단가 2,000원. 위에 카라멜 시럽이 뿌려져 있다. 생각보다 많이 퍽퍽하니 음료랑 같이 먹는걸 추천한다. 크림붓세처럼 부스러기가 대단하므로 접시에 대고 먹는 것이 요구된다. 애초에 [[스콘]]이라는 영국 디저트가 영국인들 [[티타임]]에 홍차와 곁들여 먹기 최적화된, 담백하고 물기 없이 퍼석하게 만들어진 과자기는 하다. * [[푸루루]]의 크림붓세: 단가 1,800원. 초코파이보다 조금 크다. 제과점표 붓세보다 조금 퍽퍽한 붓세 사이에 달콤한 크림이 샌드되었다. 우유나 에스프레소와 잘 어울린다. 부스러기가 대단하므로 접시에 대고 먹는 것이 요구된다. * [[가루루]]의 고구마케이크: 단가 1,500원. 한마디로 쿠루루의 치즈케이크에서 치즈에서 고구마로 변경되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 [[케로로]]의 치즈감자호빵: 단가 2,200원 호빵에 감자랑 치즈가 들어갔다. * [[타마마]]의 치즈단호박호빵: 단가 2,200원 호빵에 단호박이랑 치즈가 들어갔다 * [[기로로]]의 치즈고구마호빵: 단가 2,200원 호빵에 고구마랑 치즈가 들어갔다 * [[케로로]]의 생크림카스테라 * [[기로로]]의 초코카스테라 * [[케로로]]의 녹차롤케익 * [[쿠루루]]의 한라봉롤케익 또한 10월 CU에서 케로로 호빵을 선보였다. 제조는 참조은이 담당하고 제품 라인업은 '케로로의 치즈감자호빵', '타마마의 치즈단호박호빵', '기로로의 치즈고구마호빵'로 총 3종 다 출시되었다. 12월 7일, 케로로빵 마지막 라인업인 '기로로의 클래식 카스테라'가 출시됨에 따라 띠부씰도 75종 추가 되었다. == 씰 == [[파일:/pds/200810/02/19/e0047619_48e3b4d5972f7.jpg]] 띠부띠부씰의 '''극히 일부'''. 케로로빵에 동봉된 띠부띠부씰의 종류는 샤니 홈페이지에서 확인되었던 것만 280종이 넘는다. 포켓몬스터 빵의 151종에 비해 15종으로 스티커 개수는 적지만[* 이것도 초기고, 나중에는 한 달에 한 번씩 신규스티커를 찍어내어서 엄청나게 늘어났다.] 대신 빵 맛이 일취월장하여 정부 정책으로 라면이 사라진 학교 매점에 한 가닥 희망이 되었다. 참고로 같은 종류의 캐릭터 스티커라도 여러 포즈가 존재했기 때문에 실제 스티커 종류는 수십 가지 이상이고, 시일이 가며 새 종류로 교체도 되어서 생각보다 훨씬 많다. 인간 스티커들도 낮은 확률로 나왔다. [* 어떤 사람은 300개 가까이 먹고도 네개 나왔다고 한다. 헌데 어떤 사람은 열 개에 네 개가 사람 스티커였다고 한다. 왠지 모 빙글빙글 안경의 초코롤에 레어스티커가 많다는 비공식 정보가 있다.] 나중엔 씰대신 플라스틱으로 된 도그택으로 바뀌었다. 2022년 케로로빵이 재출시, 케로로 호빵이 출시됨에 따라 리뉴얼된 띠부씰을 선보였는데 라인업은 총 82종으로 예전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파일:케로로 스티커 (신).png]] 신버전 스티커 1번~82번 [[파일:케로로 스티커 (신) 2.png]] 신버전 스티커 83번~157번 == 기타 == 원작 애니에서도 케로로빵이 나왔다. 정확히는 케론별의 빵을 소개한다며 케로로 소대 각자의 모습을 본딴 움직이는 거대한 빵을 만들어 격투기를 시켰지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