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에스토니아 대통령)]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96FC1 0%, #0E77CC 20%, #0E77CC 80%, #096FC1)" '''[[에스토니아 대통령|{{{#fff 에스토니아 제5대 대통령}}}]][br]{{{#fff {{{+1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br]Kersti Kaljulaid}}}'''}}}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ersti_Kaljulaid.jpg|width=100%]]}}}|| ||<|2><-2> '''출생''' ||[[1969년]] [[12월 30일]] ([age(1969-12-30)]세) || ||[[소련]] [[에스토니아 SSR]] [[타르투]] 주 [[타르투]] || ||<-2> '''국적'''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8]] || ||<-2> '''학력''' ||탈린 44. 고등학교{{{-2 ([[졸업]], 1987)}}} [br] 타르투 대학{{{-2 ([[생물학]] / [[석사]], 1987–1992)}}}[* 탈린 무스타매에 [[김나지움]](Tallinna Mustamäe Gümnaasium).] || ||<-2> '''정당''' ||''' [[애국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4F9A; font-size: .8em" {{{#ffffff '''애국당'''}}}}}}]] '''[br]''' [[무소속|{{{#!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8em" {{{#ffffff '''무소속'''}}}}}}]] ''' || ||<-2> '''직업''' ||[[정치인]] || ||<|2><-2> '''가족''' ||배우자: 기오르기레네 막시모브스키 (이혼)[br] 피터 코넨시[* 혼인상태는 아니다.] || ||슬하: 4명 || ||<-2> '''경력''' ||유럽회계감사원 에스토니아 대표 || ||<|2><-2> '''재임기간''' ||제5대 대통령 || ||[[2016년]] [[10월 10일]] ~ [[2021년]] [[10월 11일]] || ||<-2> '''서명''' || || ||<-2> '''SNS''' ||[[https://www.facebook.com/KerstiKaljulaid/|[[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erstikaljulaid/, 크기=24)] [[https://www.instagram.com/kerstikaljulaidontuu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스토니아]]의 現 제5대 [[대통령]]. 에스토니아의 최초 여성 대통령이자 최연소 대통령이다. 포브스에 영향력 있는 인물 100위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에스토니아인]]이기도하다. 모어인 [[에스토니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 출처는 [[https://en.wikipedia.org/wiki/Kersti_Kaljulaid|영어 위키백과]].] == 일생 == 1969년 당시 [[소련]]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타르투]]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스웨덴계라고한다. 어머니는 미생물 연구소에서 근무하였으며 아버지는 어릴적에 이혼하여 보지못했다. 당시 가정환경은 TV도 없을만큼 열악했다고하지만 그녀는 과학잡지에 기사를 작성하고 영재반에 진학하는등 모범적인 학교생활로 고등학교를 우수하게 졸업하여 1987년 타르투 대학 생물학과에 입학하였다. 1992년 석사학위로 졸업한뒤에는 잠깐 타르투 대학 분자생물학연구소에서 근무하였으나 당시 그녀는 임신중이어서 연구소를 떠나게 되었다. 이후에는 가정주부로 생활하다가 통신업체 사원으로 입사하였고 영업매니저를 거쳐 에스토니아의 거대은행인 호이우팡크(Hoiupank)에서 매니저로 근무하였다. 이후 1999년부터 에스토니아를 IT강국으로 키워내었다고 평가받는 마르트 라르(Mart Laar) 총리의 경제고문으로 일한 후 이후에는 게놈프로젝트 대표로 활동하다가 에너지 회사의 이사로 재직하여 발전소 프로젝트를 이끌기도 하였다. 2004년부터는 유럽 회계 감사원에서 활동하였으며 타르투 대학 총장을 지낸뒤 정책연구센터에서 근무하였다. 2018년에 칼률라이드 대통령은 2차례 방한하였는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에 한차례 내한하였고[* 같은 [[발트 3국]]인 [[리투아니아]], [[라트비아]]의 대통령도 방문.] 6개월후 에스토니아의 전자정부를 알리기 위해 다시 방한하였다. [[유엔]]이 칼률라이드 대통령을 유엔의 여성·아동 복지 권리를 위한 글로벌 책임자로 지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576763|#]] [각주] [[분류:1969년 출생]] [[분류:에스토니아 대통령]] [[분류:에스토니아의 여성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