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include(틀:러시아 남부 연방관구의 행정구역)] |||| || ||||<:>'''케르치'''[br][[우크라이나어]]: Керч[br][[러시아어]]: Керчь[br][[크림 타타르어]]: Keriç/Керич[br][[영어]]: Kerch || || 인구 ||<(> 149,566 (2017) || || 면적 ||<(> 108 ㎢[* 같은 [[크림 반도]]에 있는 [[심페로폴]]보다 아주 약간 더 크며 [[창원시]] [[진해구]]보다 조금 더 작다.] || || 인구밀도 ||<(> 1,464.49명/㎢ || || 시간대 ||<(> UTC+3 || ||<-2> 국가 || || 법률상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사실상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행정구역 || 크림 공화국 || ||<-2>[include(틀:지도, 장소=Kerch)]|| [목차] [clearfix] == 개요 == '''케르치'''는 [[크림반도]] 동부에 위치한 케르치 [[반도]] 중심 [[도시]]이며 [[인구]] 14만명의 [[아조프해]] 입구에 위치한 동부크림의 주요 [[항구도시]]다. 기원전 7세기에 [[고대 그리스]] 식민지로 세워진 오래된 도시다. [[1920년대]] 급속한 성장을 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크림반도 전역의 주요 [[전투]]가 일어났다. 케르치 반도와, [[타만 반도]] 사이의 [[바다]]에 케르치 [[해협]]이 위치한다. 이 사이에 [[케르치 대교]]가 개통했다. == 역사 == 케르치의 기원은 고대 기원전 7세기에 [[밀레투스]]의 [[그리스인]]들이 세운 판티카파이온(Pantikapaion)이다. 판티카파이온은 [[보스포로스 왕국]] 및 [[폰토스 왕국]]의 수도가 되기도 하였다. [[파일:79773C22-3323-4416-83D1-A827F3526822.jpg]] 고대 판티카파이온은 도기 생산으로 유명했으며, 고고학자들은 [[https://en.m.wikipedia.org/wiki/Kerch_style|케르치 스타일 병 장식]]이라고 따로 분류하는 편이다. 이후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하자르 칸국]], [[테오도로 공국]] 등을 거쳐 [[크림 칸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예카테리나 2세]]때에 크림 칸국이 정복되면서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나치 독일]]이 크림 반도를 점령할 때 케르치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다리를 세우려고 했지만, 실행하지는 못했다. [[소련]]시절에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고 [[영웅 도시]]로 지정되기도 했다. 소련 해체 이후, 잠시 [[우크라이나]]의 땅이 되었지만, 2014년에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합병하면서 러시아의 도시가 되었다. == 교통 == 케르치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다리가 건설되었고 2010년대 후반에 [[케르치 대교]]가 완공되면서 현재는 러시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 사건 사고 == * [[2018년]] [[10월 17일]] 케르치 기술대학에서 [[케르치 기술대학 총기난사 사건|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하여 20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을 입었다. * [[2019년]] [[1월 22일]] 케르치 해협에서 탄자니아 소속 연료 탱크선에 [[케르치 해협 탄자니아 소속 연료 탱크선 폭발 사고|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면서 17명이 사망하였다. * [[2022년]] [[10월 8일]] 오전 8시경 [[크림 대교]]에서 [[크림 대교 붕괴 사건|폭발 및 교량 붕괴 사건]]이 발생하였다. [[분류:우크라이나의 도시]][[분류:러시아의 도시]][[분류:크림 공화국]][[분류:러시아의 옛 수도]][[분류:소련의 영웅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