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ecwfrenchtribute.free.fr/The_Texas_Tornado_-_Kerry_Von_Erich_08.jpg]] Kerry Von Erich [목차] [clearfix] == 개요 == [[1960년]] [[2월 3일]] ~ [[1993년]] [[2월 18일]] 188cm, 115kg [[프리츠 폰 에릭]]의 넷째아들로, 본명은 케리 진 애드키슨(Kerry Gene Adkisson)이다. [[뉴욕 주]] 출생으로 한바퀴 돌아서 상대를 주먹으로 공격하는 토네이도 펀치(디스커스 펀치)와, 아버지의 기술인 [[아이언 클로]]를 주 기술로 사용했다. 육상 종목으로 장학금을 받으며 휴스턴 대학에 입학했지만 1학년 때 중퇴하고 프로레슬러가 된다. == 커리어 == 케리 폰 에릭을 링네임으로 해 아버지의 단체 WCCW(WORLD CLASS CHAMPIONSHIP WRESTLING)에서 활동할 때 형인 케빈과 데이비드보다 스타성이 있다고 평가받았다. 당시 릭 플레어, 마이클 헤이즈와의 명경기들을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가 선정하는 올해의 경기 10위 안에 올렸다. 한편 친형제인 케빈 폰 에릭&마이크 폰 에릭과 함께 더 폰 에릭스로서 더 프리버즈[* 버디 로버츠, 테리 고디, 마이클 헤이즈로 구성된 패뷸러스 프리버즈]와 대립해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에서 선정한 1984년 올해의 경기를 남겼다. 차기 월드 챔피언으로 유력했던 형 데이비드 폰 에릭이 젊은 나이에 요절하자 대신 도전해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1984년 5월 6일에 [[릭 플레어]]를 이기고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했다. 1986년 6월 4일에 오토바이 사고를 당하는데, 이후 상태가 악화된 오른쪽 발목 아래를 의족으로 대체한다. 그 이후에도 [[AWA]],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 여러 단체에 출전해 프로레슬러로서 좋은 기량을 선보이지만, 사고의 후유증으로 약물중독에 시달렸다. [[WWE|WWF]]에서는 텍사스 토네이도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하며 [[WWF 섬머슬램(1990)]]에서 '미스터 퍼펙트' [[커트 헤닉]]을 이기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 등극했다. 하지만 동생들이 연이어 자살하고, WWF와의 계약이 해지되었으며 마약을 소지한 걸 수차례 들켜 실형을 선고받는 등 불운이 겹치자 끝내 1993년 2월 18일에 권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쏴서 자살함으로써 33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 단 한 번의 불운 == 오토바이 사고 이전 1986년까지는 [[육상]]선수 출신 답게 신체능력도 뛰어났고 드롭킥도 높은 타점으로 잘 사용했으며 브롤러 타입으로써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오토바이 사고 이후 그의 프로레슬링 인생은 제대로 꼬이기 시작하는데 몇 차례의 수술에도 도저히 다리가 회복될 기미가 안 보이고 심지어 엄청난 격통에까지 시달리게 되자 결국 오른쪽 다리를 무릎 아래로 절단하고 의족을 착용해야만 했다. 물론 사고 이후 불굴의 의지로 재활하고 복귀에 성공했지만 당시 단체에서는 케리 폰 에릭이 다리를 절단한 사실이 외부에 절대 알려지지 않도록 업계의 프로레슬러들에게 입단속을 철저히 시켰으며, 그래서 당시 프로레슬링 팬들은 케리의 오른쪽 다리가 의족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케리는 이때부터 부츠도 환부가 안 보이도록 무릎 위까지 올라오고 솔이 달린 부츠를 신었으며 사고를 당해 전과 같지 않은 상황에 처한 자신이 싫었는지 샤워할 때도 양쪽 부츠를 절대로 벗지 않았다고 한다. 복귀 후의 그는 사고 이전의 스피디한 브롤러 타입의 파이팅과 링을 뛰어넘어 입장하던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움직임도 사고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느려져 상대 선수가 그의 움직임에 맞춰 경기를 해야 했다. [[유튜브]]에서 케리 폰 에릭의 86년 이전 경기 모습과 86년 이후 경기 모습을 비교해보면 일반 라이트팬들이 보기에도 확연할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심지어 [[제리 롤러]]와 경기 때는 롤러가 운동능력이 쩔어주는 타입도 아니고 반칙을 섞은 얍삽한 스타일의 선수임에도 그 롤러보다 훨씬 움직임이 굼뜨다는 걸 알 수 있다. 거의 스탠딩 상황에선 [[더치 와이프]] 수준. 그러다가 위기에 빠졌을 때 토네이도 펀치로 연타를 날리는게 유일한 옵션이었을 정도. 실제로도 당시 경기는 거의 롤러의 리드로 이뤄지다시피 했다. 거기다 사실 케리는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격통에 시달렸고, 이를 견디기 위해 엄청난 양의 [[마약성 진통제]]와 심지어는 [[모르핀]], [[헤로인]]까지 복용하다가 [[마약]]에 중독되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완전히 피폐해지고 만다. 훗날 프로레슬링 팬들은 케리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을 겪었던 게 아니냐고 추정하기도 한다. 이 격통은 이 후 마약소지를 사유로 징역 선고까지 받고, 이로 인해 레슬링 업계에서 쫓겨나고, 이 후 자살이라는 최악의 결말로 이어지게 되었다. 안 그래도 폰 에릭 가문의 형제들이 한 명만 제외하고 모조리 자살, 사고로 조기에 생을 마감하는 등 가문에 저주라도 있는게 아니냐는 팬들의 말까지 나온 상황. 폰 에릭 가문 형제들 중에서도 가장 재능이 뛰어났고 사고만 없었더라면 오랫동안 선수생활을 하며 은퇴한 뒤에도 레전드로 대우 받으며 [[WWE]] 무대에 초청도 받고 간혹 이벤트 매치도 뛰었을 법 했건만 불의의 사고 한번이 인생을 꼬아버린 불행한 케이스. == 여담 == * 친딸 [[레이시 본 에릭]]이 2007년에 WWE[* 레이시 본 에릭을 레슬러로 전향시킨 인물은 당시 WWE에서 선수영입을 담당했던 [[쟈니 에이스]]. 레이시 본 에릭은 레슬링 경력도 없는 모델출신이었다.]와 계약맺고 레슬러로 데뷔하며, FCW에서 수련생으로 활동하다가 반년도 안 된 채 WWE를 이탈하면서 [[TNA]]로 가서 활동한 바 있다. 폰 에릭 형제들 중에서도 가장 뛰어났던 아버지와 달리 레이시의 실력은 아이캔디형 여자 레슬러들 중에서도 최악의 수준이었다. * 공교롭게도 [[레슬매니아 7]]에서 경기 상대였던 [[디노 브라보]]랑 같은 해에 사망했다.[* 다만 그쪽의 사인은 [[타살]]이다.] * 케리 폰 에릭과 폰 에릭 가문의 전기 영화 [[디 아이언 클로]]가 2023년 개봉할 예정이다. == 둘러보기 == ||||||||||<#fff><:>
[[파일:WWEHOF.jpg|width=100%]]|| ||||||||||<:><#1054b5> {{{#e5b827 '''[[2009년|{{{#e5b827 2009년}}}]]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선역'''}}} || ||<:><#fff>{{{#000000 [[지미 스누카]][br](1983)}}}||<:>{{{+1 → }}} ||<#FFFFA1><:>'''{{{#000000 케리 폰 에릭[br](1984)}}}'''||<:>{{{+1 → }}} ||<:><#fff>{{{#000000 [[헐크 호건]][br](1985)}}}||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 1984년 || 5월 6일[br]데이비드 폰 에릭 메모리얼[br]퍼레이드 오브 챔피언스 ||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케리 폰 에릭'''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60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미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자살한 운동선수]][[분류:나이아가라폴스(뉴욕) 출신 인물]][[분류:프로레슬러 자녀]][[분류: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