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京葉車両センター}}}[br]Keiyō Depot / 케이요 차량센터}}} || ||<-2> '''위치''' || ||<-2> [include(틀:지도, 장소=京葉車両センター, 너비=100%, 높이=300px)] || ||<-2> '''기본 정보''' || || '''위치''' || [[치바현]] [[치바시]] [[미하마구]] 하마다2초메 44[br](千葉県千葉市美浜区浜田二丁目44) || || '''철도[br]사업자''' ||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3ea343 JR 동일본}}}]] || || '''귀속 조직''' || 치바 지사 || || '''약칭''' || 치케요 (千ケヨ) || ||<-2> '''소속 량수''' || || '''전동차''' || 608량 || || '''총합''' || 608량 || [목차] == 개요 == [[치바현]] [[치바시]] [[신나라시노역]] - [[카이힌마쿠하리역]] 중간에 있는 JR 동일본의 차량기지며, 치바 지사 관할이다. 입출고선은 신나라시노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신나라시노에서 회송 열차가 출입고선에 입선하여 차량기지에 들어온다. 본 차량센터는 [[케이요선]], [[무사시노선]]에 운용되는 차량을 혼자서 도맡고 있다. 도쿄 메가 루프를 형성하는 두 라인의 거점이 되는 차량기지이도 하다. 여기서는 하치오지 지사의 히가시토코로자와 전차구에 대해서도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 히가시토코로자와 전차구 == * 위치: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히가시토코로자와4초메 23 (埼玉県所沢市東所沢四丁目23) [[무사시노선]] [[히가시토코로자와역]] 북쪽에 있는 하치오지 지사 소속 차량기지다. 검수공장은 따로 없고, 유치선만 약 20개 정도 된다. 무사시노선 열차들의 주박을 담당하고 있다. 히가시토코로자와역 2,3번선이 차량기지 입고선과 연결되어 있다. == 연혁 == * 1986년 3월 3일: 케이요선 니시후나바시~치바미나토 간 여객 영업 실시에 따라 츠다누마 전차구 신나라시노 파견소가 개설. 동시에 [[103계 전동차]] 70량이 배치됨. * 1986년 9월 1일: 조직 재개편으로 인해 츠다누마 전차구 검수부문이 나라시노 전차구로 개편됨에 따라 나라시노 전차구 신나라시노 파견소로 개칭.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JR 동일본의 소속이 됨. * 1988년 12월 1일: 케이요선 신키바-미나미후나바시, 이치카와시오하마-니시후나바시, 치바미나토-소가 간 개업. 차량기지 구내 선로 증설 및 검수 창고, 검수 사무소 추가설치. 동시에 103계 30량 추가반입. * 1989년 10월 1일: 케이요선 도쿄-신키바 간 개업을 앞두고 케이요 준비 전차구로 개칭. * 1990년 3월 10일: 케이요선 도쿄-신키바 간 개업에 따라 케이요 전차구로 개칭. 차량기지 구내 선로 추가증설. 동시에 205계 120량 추가반입, 103계 130량 추가반입. * 2004년 4월 1일: 케이요 차량센터로 개칭. * 2005년 7월 28일: 2005년 효고현에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가 일어남에 따라 무사시노선의 103계 E38편성이 JR 서일본에 이적함. * 2005년 12월 8일: 무사시노선의 103계 운용 종료. * 2006년 3월 27일: [[E331계 전동차]]가 본 차량센터에 배치됨. * 2011년 6월 20일: [[201계 전동차]]의 운용 종료. * 2014년 4월 2일: E331계 14량을 [[나가노 종합 차량센터]]에 회송. * 2015년 2월 2일: 난부선 [[나카하라 전차구]]에서 무사시노선용 205계 8량이 전입함. * 2017년 9월 14일: [[미타카 차량센터]]에서 무사시노선용으로 개조한 E231계 8량이 전입함. == 배치 차량 == 2020년 10월 30일 기준 [[케이요선]], [[무사시노선]] 차량들을 담당하고 있다. === 케이요선용 === * [[209계 전동차]] (1편성 10량) * 500번대 10량 편성 1개(34)가 배치되어 있다. * [[케이힌토호쿠선]]에서 운행되던 차량으로 E233계의 도입에 따라 2개 20량이 2008년에 전입하였다. * 9월 20일 전입한 전동차가 33편성, 11월 6일 전입한 전동차가 32편성으로 번호를 부여받고 배치됨에 따라 12월 1일부터 운용이 시작되었다. * 2009년 1월 13일과 27일에 2편성 20량이 추가전입하였다. 전자는 34편성, 후자는 31편성을 부여받았다. * 2010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에 따라 우치보, 소토보선 직통 운용에도 충당되었다. * 아래 E233계 투입으로 인하여 31, 32, 33편성은 8량 편성으로 바꿔져서 무사시노선에서 뛰고 있다. 10량 완편성은 34편성이 유일. * 2016년 12월에 신형 IGBT로 추진제어장치가 개조되었다. 동시에 아래 무사시노선 운행분 역시 마찬가지로 2017년 말에 전 차량이 IGBT로 개조되었다. * [[E233계 전동차]] (28편성 240량) * 5000번대 10량 완편성 20개(501~520 200량)과 10량 분할편성 4개(F51~F54+551~554 40량)이 배치되어 있다. * 2010년 7월 1일에 영업운전을 개시했으며, 240량 모든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었다. 따라서, 케이요선의 201계와 205계는 전폐했으며, 205계중 일부는 8량화 조정을 거쳐 현재 무사시노선에서 운용되고 있다. * 모든 편성이 [[소토보선]], [[우치보선]]의 노선 연장 운용에 충당되고 있다. === 무사시노선용 === * 209계 전동차 (11편성 88량) * 500번대 8량 편성 11개 (M71~M77, M81~M84 88량)이 배치되어 있다. * 위의 E233계 5000번대 투입에 따라 209계 500번대 3편성이 8량으로 재조정되었고 편성번호도 재부여 받았다. * 2010년 12월 4일부터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 2018년 4월에 츄오-소부선 C516편성이 M74편성으로, 5월에 C506편성이 M81편성으로 개번되어 추가로 들어왔다. * [[E231계 전동차]] (34편성 272량) * 0번대, 900번대 8량 편성 34개 편성(Mu1~Mu22, Mu31~ Mu39, Mu41~Mu43편성)이 배치되어 있다. * 205계를 대차하기 위하여 [[미타카 차량센터]] 소속 차량을 [[아키타 차량센터]], 나가노 차량센터, [[모리오카 차량센터]] 아오모리 파출소로 회송, 아오모리 현지에서 개조를 한후, 다시 도쿄로 상경하여 본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 Mu22편성은 조반선 출신이다. * 2017년 11월 1일에 영업운전을 시작하였다. == 관련 문서 == * [[JR 동일본]] * [[차량사업소/일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R 히가시니혼/차량기지, version=24, paragraph=6.2)] [[분류:JR 동일본]][[분류:일본의 차량사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