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룸 술탄국 술탄)] ---- 이즈 앗 딘 카이카우스 [[페르시아어]], [[아랍어]] : {{{+1 عز الدين كيكاوس پور كيخسرو }}} [[영어]] Izz ad-Din Kaykaus ibn Kayhkusraw [[터키어]] I. İzzeddin Keykâvus 생애 1180년 11월 6일 ~ 1220년 1월 7일 재위 1211년 6월 ~ 1220년 1월 7일 [목차] == 개요 == [[룸 술탄국]]의 9대 술탄. 내전을 극복하고 [[시노프]]를 점령, [[타우루스 산맥]] 이북을 수복하는 등 여러 전공을 세웠다. 비록 9년에 불과한 치세였지만 후계자이자 동생인 [[케이쿠바트 1세]]의 전성기의 기반을 이루었다. == 생애 == === 내전과 즉위 === [[케이휘스레브 1세]]의 장남으로, 1211년 [[메안데르의 안티오키아 전투]]에서 부왕이 전사하자 [[콘야]]에서 술탄에 추대되었다. 다만 두 동생인 [[안탈리아]] 총독 케이페리둔 이브라힘과 [[토카트]] 총독 알라엣딘 케이쿠바트가 반란을 일으켰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및 [[다니슈멘드]] 등의 외세와 형제의 숙부이자 [[에르주룸]]의 아미르인 무기트 앗딘 토그릴샤가 그들을 지원하였다. 이브라힘의 경우 [[키프로스 왕국]]의 십자군 세력에 도움을 청하기까지 하였다. 반군이 콘야를 장악하자 케이카우스는 [[말라티아]]로 피신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아미르들이 여전히 그를 지지했기에 케이카우스는 곧 [[카이세리]]를 탈환하였고, 이브라힘을 설득하여 항복시켰다. 동시에 케이카우스는 아르메니아 국왕 레오 1세와 협상하여 헤라클레아 (에레을리) 및 울루클르샤를 할양하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었다. 이에 케이쿠바트는 [[앙카라]]로 도주하여 [[카스타모누]]의 튀르크 부족들과 연대하여 버텼으나 결국 사로잡혔다. 케이카우스는 두 동생들을 용서하였고, [[라틴 제국]]과 맞서느라 여념이 없던 서쪽의 [[테오도로스 1세]]와도 부왕에 대한 복수 대신 평화 협상에 나서 양측의 대립을 끝내었다.[* 다만 니케아 제국에 대한 튀르크 부족들의 개별 공격은 이어졌다] === [[시노프]] 점령 === 내부를 안정시킨 케이카우스는 남쪽으로 영토를 팽창한 부친에 이어 북쪽 방면의 영토 확장에 나섰다. 1214년 [[트레비존드 제국]]의 [[알렉시오스 1세]]가 시노페 외곽에서 사냥하던 중 튀르크 부족들의 포로가 되어 케이카우스에게 인계되었다. 케이카우스는 알렉시오스의 석방을 대가로 시노페 할양과 트레비존드 제국의 복속을 조건으로 걸었고, 그해 11월 수일 간 이어진 성대한 연회와 함께 이행되었다. 케이카우스는 점령 후에도 시노프에서 서방인 / 동로마 상인들의 왕래를 허가하였고, 아르메니아인 라이스 헤이톤에게 행정을 맡겼다. 다만 시내의 성당들은 모스크로 개조되었고, 1215년 4월-9월간 그리스인 건축가 세바스토스의 설계 및 아미르 15인의 투자 하에 성벽이 재건되었다.[* 지금도 시노프 성벽 서문 옆의 성탑에 이를 기념하는 그리스어와 아랍어 명문이 새겨져 있다] === [[킬리키아]] 원정 === 치세 초엽의 내전 도중 아르메니아 국왕 레오 1세는 케이카우스에게서 할양받은 에레을리 및 울루클르샤 외에도 라란데 ([[카라만]])까지 점령하며 콘야를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1216년, 반격에 나선 케이카우스는 우선 세 도시들을 수복하였고 카이세리에 군대를 집결시킨 후 아이유브령 알레포의 아미르 앗 자히르 가지에게 킬리키아 협공을 권하였다. 다만 후자는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로 같은해 사망하였고, 케이카우스는 대신 [[마라쉬]]의 아미르 누스렛딘 하산과 함께 아르메니아 영토로 진격하였다. 당시 아르메니아는 [[안티오크 공국]] 계승 전쟁에 참가, 레몽 루벤을 도와 안티오크를 점령하였다. 이에 트리폴리로 피신한 보에몽 4세는 케이카우스와 동맹하였다. 룸 셀주크 군은 친친, 한친 성채를 연이어 포위하였고, 두 성채 모두 항복하였다. 케이카우스는 저항하지 않는 자들은 용서, 보급품을 취하고 수비대를 배치한 후 남하하였다. 고령의 레오 1세는 램프론 가문의 콘스탄티노스에게 군대를 주어 일전을 벌이게 하였고, 케이카우스는 부관 무바리즈 앗 딘 바흐람샤에게 3천 선발대를 주어 대치하게 하였다. 그동안 술탄의 본대는 케반 성채를 포위했는데, 성주 레온이 역습에 나서 포위측 투석기를 태워버리는 등 강하게 저항하자 포위를 풀고 선발대와 합류하였다. 1217년 케이카우스는 아르메니아 군을 격파하고 콘스탄티노스를 사로잡았다. 이후 레오 1세가 배상금을 납부, 콘스탄티노스의 석방과 현상 유지의 휴전을 청하자 이를 수용하였다. === [[알레포]] 원정과 죽음 === 킬리키아 원정 도중 사모사타 영주 [[알 아프달 이븐 살라흐 앗 딘]]이 케이카우스에 접근하여 술탄위를 되찾게 해준다면 알레포를 할양하겠다 약속하였다. 당시 알레포의 아미르 알 아지즈 무함마드는 불과 5세에 불과하였고, 5차 십자군이 [[팔레스타인]]을 위협하고 있었기에 아이유브 술탄 [[알 아딜]]도 손발이 묶인 상태였다. 따라서 케이카우스는 알 아프달과 [[아이유브 왕조]]를 침공했으나 두개의 거점을 점령한 후 다툼이 벌어져 후자가 연합에서 이탈하였고, 알레포와 이웃한 [[자지라]]의 아미르 알 아슈라프 무사가 개입하여 룸 셀주크 군을 격퇴하였다. 이후 케이카우스는 [[모술]]의 아미르 바드르 앗 딘 룰루와 동맹하여 아이유브 조에 맞서려 하였으나 1220년에 사망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 기타 == 1220년 케이카우스는 앙카라에 마드라사를 세웠고, 1217년에는 [[시바스]]에 의학 대학의 성격을 지닌 시파이예 마드라사를 세웠다. 시파이예 마드라사는 지금도 잘 보존되어 있으며, 케이카우스의 영묘 역시 후자에 위치한다. [[분류:십자군 전쟁/관련인물]][[분류:룸 술탄]][[분류:1180년 출생]][[분류:122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