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케일라 뮬러}}}[br]Kayla Muell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일라 뮬러.jpg|width=100%]]}}} || || '''출생''' ||[[1988년]] [[8월 14일]][br][[미국]] [[애리조나 주]] [[프레스콧]]|| || '''사망''' ||[[2015년]] [[2월 16일]] (향년 26세)[br][[시리아]] [[라카]] || || '''국적'''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학력''' ||노던 아리조나 대학 {{{-2 (졸업)}}}[br]|| || '''소속''' ||[[국경없는 의사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경없는 의사회]] 소속 자원봉사자였다. [[2013년]] [[시리아]] [[알레포]]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통신장비설치를 마치고 철수를 하던 중에 [[ISIL]]에게 납치당했다. == 납치 == [include(틀:사건사고)] [[2013년]] [[8월]] [[시리아]] 알레포에서 터키 국경으로 이동하던 중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 대원들이 외국인 납치를 위해 매복해 있던 곳을 지나가면서 뮬러와 시리아인들 모두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에게 납치되었다.[* 참고로 시리아 현지인은 이후 '''살아서''' 석방되었다.] 이후 미국은 [[2014년]] [[델타포스]]와 [[제75레인저연대]]의 합동작전으로 [[라카]]의 한 버려진 정유소를 급습하였다. 하지만 성과는 없었다.[* 정확히는 얼마 전까지 인질이 있었다는 정보만 얻었다.] 이후 이제 선택지가 없다고 생각한 가족은 [[버락 오바마|오바마]] 대통령에게 미 연방교도소에서 86년형을 선고받은 아피아 시디디키와 교환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지만 거절당했다.[* 한국에서는 이 테러리스트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IS는 이 테러리스트의 석방을 자주 요구했다.] 이후 2015년 2월 미-[[요르단]] 합동폭격에 휘말려 사망했는데 이때 뮬러가 있었을 곳으로 추정되는 건물에 폭격한 조종사가 '''[[무아트 알 카사스베]]'''다. [[파일:케일라 뮬러 마지막사진.jpg]] 그녀의 생전 마지막 사진이 남아있다. 얼굴의 탄 자국, 공포에 질린 듯한 눈에 약간의 멍자국, 그리고 위의 사진과 다르게 많이 야위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지속적으로 끔찍한 고문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19년 10월 26일 미국 [[델타 포스]]가 알 바그다디 사살작전을 펼쳤을 때 작전명을 그녀의 복수라는 의미로 '케일라 뮬러 작전'으로 칭했으며, 알 바그다디는 델타 포스가 풀어놓은 [[군견]]에게 쫒기다 자폭하여 심판을 받았다. [[분류:미국의 테러 피해자]][[분류:1988년 출생]] [[분류:2015년 사망]][[분류:프레스콧(애리조나)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살해된 인물]][[분류:폭발물에 죽은 인물]][[분류: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