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1 켄트 공작 에드워드 공자}}}[br]Prince Edward, Duke of Ken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드워드 조지 니콜라스 폴 패트릭.jpg|width=100%]]}}} || || {{{#000000 '''이름'''}}} ||에드워드 조지 니콜라스 폴 패트릭[br](Edward George Nicholas Paul Patrick)|| ||<|2> {{{#000000 '''출생'''}}} ||[[1935년]] [[10월 9일]] ([age(1935-10-09)]세) || ||[[영국]] [[잉글랜드]] [[런던]] 벨그레이브 스퀘어 || || {{{#000000 '''신장'''}}} ||185cm|| || {{{#000000 '''배우자'''}}} ||캐서린 월슬리 ,,(1961년 결혼),, || || {{{#000000 '''자녀'''}}} ||조지, 헬렌, 니콜라스 || || {{{#000000 '''아버지'''}}} ||[[켄트 공작 조지 왕자]] || || {{{#000000 '''어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 공주]] || || {{{#000000 '''형제'''}}} ||여동생 [[켄트의 알렉산드라 공녀|알렉산드라]], 남동생 [[켄트의 마이클 공자|마이클]] || || {{{#000000 '''종교'''}}} ||[[성공회]] {{{-2 ([[잉글랜드 국교회]])}}} || || {{{#000000 '''계승 서열'''}}} ||41위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왕자]]. 現 켄트 공작. [[조지 5세]]의 손자이자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켄트 공작 조지 왕자]]의 장남이다. [[엘리자베스 2세]]의 사촌동생이며[* 큰아버지가 [[에드워드 8세]]와 [[조지 6세]]이다.], [[필립 공]]에겐 5촌 조카[* 어머니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가 필립 공의 사촌누나이다.], 현 [[영국]] 국왕인 [[찰스 3세]]에게는 모계로 [[오촌|외당숙]]이고, 부계로는 6촌 관계이다. == 작위 == || [[파일:CoatofArmsofEdwardDukeofKent.svg|width=250]] || || 문장 || * 켄트의 에드워드 공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Edward of Kent (1935년 10월 9일 ~ 1942년 8월 25일) * '''켄트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Kent''' (1942년 8월 25일 ~ 현재) * 세인트앤드루스 백작(Earl of St Andrews)[* 아들의 예우경칭으로 불리고 있다.] * 다운패트릭 남작(Baron Downpatrick)[* 손자의 예우경칭으로 불리고 있다.] == 생애 == [[파일:DD721374-86EE-498C-BB42-D5DBE6E77B4A.jpg|width=400]] [[1935년]] [[10월 9일]],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켄트 공작 조지 왕자]]와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 공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큰아버지들인 [[에드워드 8세]]와 [[헨리 윌리엄 프레더릭 앨버트|헨리 왕자]]는 미혼이었고, [[조지 6세]]는 슬하 두 딸들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공주]]와 [[마거릿 로즈|마거릿 공주]]만 있었기 때문에 [[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의 첫 친손자였다. 1935년 11월 20일에 [[버킹엄 궁전]]에서 [[성공회]] [[유아세례]]를 받았다. 1942년 8월 25일, 아버지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켄트 공작 조지 왕자]]가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자 불과 여섯 살의 나이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켄트 공작 칭호를 받게 된다. [[파일:8c1008353003f48b3f38d355a6e8e024.jpg|width=400]] 1953년, 사촌누나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에서 켄트 공작으로서 국왕에게 무릎을 꿇고 충성을 다짐한 다음, 오른쪽 뺨에 키스를 하는 충성 맹세 의식을 했다.[* 이 당시 충성 맹세를 한 왕족들중에 살아있는 사람은 에드워드 밖에 안남았다. 5촌 조카인 [[찰스 3세]] 대관식에서도 충성 맹세를 했다면 두 번 연속으로 의식에 참여하는 기록을 세울 뻔 했으나, [[웨일스 공 윌리엄|윌리엄 왕세자]] 만이 충성맹세를 해서 무산되었다.] 1955년 [[샌드허스트]]를 졸업하고, 1976년까지 육군에서 정식 복무하고 중령으로 전역했으며, 1993년 [[영국군/계급#s-3.3.1|육군 원수]] 계급을 받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파일:1CE72965-56A0-4C62-B016-4C7AF526AAFC.jpg|width=400]] 1961년, 4대 월슬리 준남작의 외동딸 캐서린 월슬리와 혼인했다. 캐서린 윌슬리는 4대 월슬리 [[준남작]]의 딸이며 1933년생으로 영국 왕실 일원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인물이다. 원래 [[성공회]] 신자였으나 1990년대에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영국 왕실은 가톨릭교도 및 가톨릭교도 배우자와 결혼한 사람에게 계승권을 주지 않지만, 켄트 공작 부인이 결혼 이후 개종한거라 켄트 공작의 계승권이 박탈당하지는 않았다.[* 켄트 공작의 장남의 첫째와 둘째는 카톨릭으로 개종해서 계승권이 없다. 켄트 공작의 차남 또한 개종으로 인해 계승권이 박탈되었다.] 결혼식은 로열 웨딩으로서는 드물게도 웨스트민스터 사원이나 [[런던]]이 아닌 신부 캐서린의 친정이 위치한 [[요크]]의 민스터 교회에서 치러졌다.[* 요절한 아버지와 매우 닮았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축구협회(잉글랜드)|잉글랜드 축구협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현재 축구협회 회장은 [[웨일스 공 윌리엄]]이다.] 1983년 한영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 영국 해외무역위원회 부회장 자격으로 방한했다. 1966년 런던에 있는 [[프리메이슨]]의 United Grand Lodge of England의 차기 Grand Master로 선출되어 67년 부임한 이래 매년 연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최장수 Grand Master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아버지]]도 1939년부터 1942년 사망시까지 Grand Master였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켄트 공작 에드워드[br]{{{-2 (Prince Edward, Duke of Kent)}}} ||<|6>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켄트 공작 조지 공자]][br]{{{-2 (Prince George, Duke of Kent)}}} ||<|3> [[조지 5세]][br]{{{-2 (George V)}}} || || [[에드워드 7세]][br]{{{-2 (Edward VII)}}} || ||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br]{{{-2 (Princess Alexandra of Denmark)}}} || ||<|3> [[테크의 메리|테크의 공녀 메리]][br]{{{-2 (Princess Mary of Teck)}}} || || [[프란츠 폰 테크|테크 공작 프란츠]][br]{{{-2 (Francis, Duke of Teck)}}} || || [[메리 애들레이드|케임브리지의 메리 애들레이드 공녀]][br]{{{-2 (Princess Mary Adelaide of Cambridge)}}} || ||<|7>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br]{{{-2 (Princess Marina of Greece and Denmark)}}} || ||<|3> 그리스와 덴마크의[br] 니콜라오스 왕자[br]{{{-2 (Prince Nicholas of Greece and Denmark)}}} || || [[요르요스 1세]][br]{{{-2 (George I of Greece)}}} || ||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br]여대공]][br]{{{-2 (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na[br]of Russia)}}} || ||<|3>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로마노바|러시아의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br]여대공]] [br] {{{-2 (Grand Duchess Elena Vladimirovna[br]of Russia)}}} || || 러시아의 블라드미르 알렉산드로비치[br]대공[br]{{{-2 (Grand Duke Vladimir Alexandrovich[br]of Russia)}}}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br]여공작 마리[br]{{{-2 (Duchess Marie[br]of Mecklenburg-Schwerin)}}}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배우자/자녀''' || || '''1남''' || 세인트 앤드루스 백작 조지 윈저[* 영국 왕실은 왕의 친손자까지 HRH(전하) 경칭을 부여한다. 따라서 현 켄트 공작은 조지 5세의 손자로서 HRH 칭호를 받았으나 다음 대부터는 HRH 칭호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귀족으로 신분이 하락하게 된다. 이 경우 공작으로서의 경칭인 '''His/Her Grace'''를 사용하게 된다.][br]{{{-2 (George Windsor, Earl of St Andrews)}}} || 1962년 6월 26일 || 실바나 토마셀리[br]슬하 1남 2녀 || || '''1녀''' || 레이디 헬렌 테일러[br]{{{-2 (Lady Helen Taylor)}}} || 1964년 4월 28일 || 티모시 테일러[br]슬하 2남 2녀 || || '''2남''' || 니콜라스 윈저 경[br]{{{-2 (Lord Nicholas Windsor)}}} || 1970년 7월 25일 || 파올라 도이미 데 루피스 데 프랑코판[br]슬하 3남 || 1978년에 넷째를 얻었지만 [[사산]]했으며, 아내 캐서린은 많은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 여담 == [[파일:prince-edward-duke-of-kent-copy-1-645630beb18d3.jpg|width=400]] * 청년기때 당대 미남, 미녀 왕족으로 유명했던 부모를 닮아 미소년 외모로 큰 주목을 받았었다. == 관련 틀 == [include(틀:축구협회 회장)] [[분류:1935년 출생]][[분류:윈저 가문]][[분류:영국의 군인]][[분류:켄트 공작]][[분류:웨스트민스터 출신 인물]][[분류:이튼 칼리지 출신]][[분류:가터 훈장]][[분류:로열 빅토리아 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