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E81018> ''' 미합중국 연방 하원의원 [br]{{{+1 켈리 마이클 암스트롱}}}[br]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 || ||<|2> '''{{{#ffffff 출생}}}''' ||[[1976년]] [[10월 8일]] ([age(1976-10-08)]세) || ||[[미국]] 노스다코타 주 디킨슨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fff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ffffff 학력}}}''' ||노스다코타 대학교 {{{-1 ([[심리학]] / B.A.)}}}[br] 윌리엄 & 메리 대학교 로스쿨 {{{-1 ([[법학]] / 편입 )}}}[br]노스다코타 대학교 {{{-1 (법학 / J.D.)}}} || || '''{{{#ffffff 종교}}}''' || || || '''{{{#ffffff 가족}}}''' || || || '''{{{#ffffff 경력}}}''' ||노스다코타 주 상원의원 ^^(2012~2018 / 제36선거구)^^ [br] 노스다코타 주 공화당 의장 ^^(2015~2018)^^ [br] '''연방 하원의원 {{{-2 (2019~ / 노스다코타 광역구 )}}}'''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2 ||<|2> 미국 노스다코타주 상원의원 선거 ||<|2> 노스다코타 36구 ||<|5> [include(틀:공화당(미국))] || '''5,234 (74.64%)''' ||<|5> '''당선 (1위)''' || '''초선''' || || 2014 || '''7,020 (99.11%)''' || '''재선''' || || 2018 || [[20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3> [[노스다코타 광역구]] || '''193,568 (60.20%)''' || '''초선''' || || 2020 ||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45,229 (68.96%)''' || '''재선''' || || 2022 || [[202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48,399 (62.20%)''' || '''3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제116대 하원의원)] [include(틀:미국 제117대 하원의원)] [include(틀:미국 제118대 하원의원)] [[분류:1976년 출생]][[분류:스타크 카운티(노스다코타)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노스다코타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