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아랍에미리트]]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을 기록한 문서이다. [[2020 두바이 엑스포]]를 준비하던 아랍에미리트에는, 이번 코로나19는 '''그야말로 청천벽력 같은 사태'''이다. 2020 두바이 엑스포 준비를 망친 데다, 결국 엑스포를 [[2021년]]으로 연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엑스포 흥행이 매우 불투명하다'''. 아랍에미리트는 2020 두바이 엑스포에 공식 비용만 '''1천억 [[미국 달러]]'''(한국 돈 120조 원), [[두바이]] 시내 [[재개발]], [[두바이 메트로]] 확충 등 엑스포 공식 비용에 들어가지 않는 비공식적 비용까지 합치면 '''4000억 미국 달러'''(한국 돈 약 500조 원)를 쏟아붓는 중인데 코로나19로 인해 엑스포 흥행 참패가 우려되고 있다. 2021년 4월 기준 확진자 수 약 50만 명과 사망자 수 약 1500명이다. == 상세 == === 2020년 === * [[아랍에미리트]] 보건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함에 따라 이를 방지하는 방법의 하나로 '아랍식 코인사'(카슘-막)를 하지 말아 달라고 권고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375491?sid=104|#]] 이는 아예 아랍에미리트의 풍토병이자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종류인 [[메르스]]를 막기 위해서도 좋은 권고다. * [[아랍에미리트]] 역시 [[메르스]] 발원지 중 하나로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인 이 바이러스를 매우 예의주시하고 있고[* 위에 말했듯 토착 메르스와 교잡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메르스는 걸프 연안 아랍국가들에서 현재진행형이라 이 바이러스까지 퍼지면 손도 발도 못 쓴다.] 실제로 확진자도 자국 내 5명[* 모두 [[중국 대륙]] 관광객들이다.]이 나왔으나 [[중국 대륙]]으로 가는 항공편이나 중국인의 입국을 따로 통제하진 않고 있었다. 그러나 2월 5일부터 UAE 정부에서 베이징 외 중국 본토행 항공편 운항을 모두 금지하여 [[에미레이트 항공]], [[에티하드 항공]]의 중국 노선이 거의 사라졌다. * 태국, 이란의 자국민 여행을 금지하였다. * 에티하드항공은 3월 14일부터 로마, 밀라노 노선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471852|#]] * [[2020 두바이 엑스포]]를 실시할 예정인 [[아랍에미리트]]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피해 복구 및 [[엑스포]] [[관광]] 활성화 등의 예산에 자국 [[국내총생산]]의 7%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할 예정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472780|기사]] * 아랍에미리트는 3월 1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비자면제국 72개국 국민의 입국을 막는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482690|#]] * 에미리트 항공은 3월 25일부터 모든 여객기를 중단한다고 홈페이지에서 밝혔다가 한국 노선을 포함한 일부 노선은 유지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770634|#]] 하지만 공지가 원래대로 다시 수정되면서 에미리트와 에티하드 항공 모두 24일에 두바이, 아부다비로 귀환하는 항공기를 끝으로 25일부터 일단 2주간 화물기를 뺀 여객기의 운항을 전면 중단하고, 더불어 두바이, 아부다비 공항 역시 여객업무 중단에 들어갔다. * 3월 23일, 아랍에미리트 보건부는 3월 25일부터 모든 쇼핑몰을 2주 동안 문 닫는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492756|#]] * 3월 28일, 아랍에미리트에서도 '[[드라이브 스루]]' 검사가 시작되었다. 처음 문을 연 검사소에서 오전 8시부터 12시간 동안 600명의 검사가 가능하다고 한다. 아부다비 왕세제인 셰이크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흐얀이 이곳에서 처음으로 검사를 받았으며, 왕세제는 차에서 검사받는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확진자와 접촉했거나 임신부, 기저 질환자, 노인인 사람은 무료이고, 증상이 없지만 감염 여부를 알고 싶은 시민은 370디르함(약 12만 원)을 내야 한다.[[https://www.yna.co.kr/view/AKR20200329038200111|#]] 그리고 정부의 위생·방역 수칙을 위반하면 범칙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05968|#]] * 3월 30일, 아랍에미리트 한인회에서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현지 주재 교민과 주재원의 한국 귀국을 위한 특별기 수요조사를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10142|#]] * 왕세자가 에미레이트항공을 재정 지원 제공한다는 발표했다.[[https://www.ft.com/content/352974af-77bf-407d-93fd-afe449c7d0cc|#]] * 두바이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현지시간 4일 오후 8시부터 2주간 24시간 통행금지령을 시행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814592|#]] * 4월 16일, 두바이 정부는 통행금지령을 더욱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56776|#]] * 4월 17일,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은 공지문을 통해 은행 부문 사업장에서 자국민의 임금을 줄이거나 구조조정을 해선 안된다고 지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57256|#]] * 4월 20일, 파트와위원회는 2020년 라마단에 의료진은 금식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60788|#]] * 4월 27일, 정경두 장관은 아랍에미리트의 알 보와르디 국방특임장관과 전화 통화를 하고, 코로나19 상황을 공유하고 협력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75146|#]] * 5월 4일, 두바이 엑스포 2020 세계박람회가 코로나19 유행으로 2021년 10월 1일로 연기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846176|#]] * 두바이에서 한국인 1명이 코로나19으로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87648|#]] * 5월 6일, 아랍에미리트에서 가족모임 뒤 30명이 코로나19에 집단감염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94340|#]] * 5월 7일, 에티하드 항공은 거주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에 한해 입국할 수 있도록 일부 노선을 비정기로 운항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94737|#]] * 5월 8일, 아랍에미리트의 삼성엔지니어링 석유 플랜트 공사 현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97144|#]] * 5월 10일, 아랍에미리트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자 아랍에미리트에선 다음 학기도 온라인 수업으로 검토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599158|#]] * 코로나19로 인해 두바이 항공의 이용객수가 급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862883|#]] * 두바이 공보청은 코로나19 치료하는 외국인 의사들에 10년간 유효한 황금 거주비자를 발급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09506|#]] * 두바이는 27일부터 제한적 활동에 들어간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633023?sid=104|#]] * 에미레이트항공은 6월 15일부터 두바이-인천 노선 등 국제선 16개를 다시 운항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56954|#]] * 아랍에미리트 교육부는 등교는 8월 30일에 시작되지만, 등교전까진 온라인 수업이 실시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64081|#]] * 아부다비 당국은 6월 9일부터 일주일간 이동금지령을 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904831|#]]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는 기업인 신속입국 제도의 도입을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79647|#]] * 6월 15일 아랍에미리트는 일일 확진자 곡선을 꺾는 데 일단 성공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679983|#]] *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6월 23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41개국을 코로나19 저위험국으로 분류하고 이들 국가에 대한 여행 제한을 해제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11&aid=0003755785|#]] * 7월 7일부터 외국인 관광객 입국을 허용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693595?sid=104|#]] 두바이 국제공항을 통해 관광 또는 단순 방문 목적으로 입국하려는 외국인은 여행자 보험에 가입해야 하고 출발 전 96시간 이내에 발급된 코로나19 음성 확인서를 입국 심사 시 제출하면 된다. * 7월 15일부터 에미레이트 항공은 두바이-런던, 두바이-파리 여객 노선에 탑승객 수가 가장 많은 대형 비행기를 투입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01639|#]] * 6월 25일, 아랍에미리트 외무부의 헨드 알오타이바 공보국장은 아랍에미리트와 이스라엘 민간 회사 각 2곳이 코로나19 연구 협력과 관련해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04869|#]] * 에미레이트항공은 항공기를 개조해서 화물기로 만들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07076|#]] * 6월 29일,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파키스탄발 국제선을 이용한 입국과 공항경유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11549|#]] * 코로나19봉쇄해제 이후, 다시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30399|#]] * 탐지견을 투입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36230?sid=104|#]] UAE 국내 공항에 경찰견을 배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85231?sid=104|#]] * 아랍에미리트 외교·국제협력 장관이 코로나19으로 한국과의 우호가 더 강화되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35486|#]] * 에미레이트 항공은 코로나19로 인해 직원의 15%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39584|#]] *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시험에 셰이크 압둘라 빈 무함마드 알하미드 보건청장이 첫 접종자로 자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51831?sid=104|#]] * 5개월만에 테헤란 노선을 재개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53953|#]] * 7월 23일, 에미레이트항공은 에미레이트항공편을 이용해 여행한 이들이 여행 기간 코로나19 확진을 받아 치료를 받을 경우 의료지원금 15만유로(약 2억원)를 지급할 것이라며 14일간 [[자가격리]] 지원금도 준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15&aid=0004386645|#]] * 두바이는 코로나19가 있는 상황에서 관광이 재개되었지만, 손님들은 적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771100|#]] * 재확산의 집단 감염 원인이 결혼식과 장례식이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75950?sid=104|#]]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간의 신속입국제가 8월 초부터 실시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11159|#]] * 중국 코로나19 시노팜 백신을 1만 5천 명에게 접종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15962?sid=104|#]] * 51일만에 확진자가 최대로 발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43384|#]] * 아부다비 정부는 8월 27일부터 다른 지역에서 아부다비로 오려면 사전에 코로나19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45195?sid=104|#]] *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9월 2일에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이는 곳의 학교는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54725|#]] * 에미레이트 항공은 반년 동안 환급한 여객 요금의 총액이 50억 디르함(약 1조 7천억 원)이 넘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66723|#]] *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가 완치된 학생을 학교에서 괴롭히거나 따돌리면 가해 학생이 정학 처분을 받을 수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71369?sid=104|#]] * 재확산 조짐이 보이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872096|#]] * 중국 제약사 시노팜(중국의약그룹. CNBG)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83547?sid=104|#]] * 9월 28일, 두바이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실상 야간 유흥 활동을 금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102023|#]] * 11월 3일, 아랍에미리트의 총리, 부통령 겸 두바이 지도자인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이 코로나19 백신을 맞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1993102|#]] === 2021년 === * 2월 9일, 아랍에미리트가 이스라엘에 앞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장 빠른 국가가 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277&aid=0004845390|#]] * 각국의 재벌, 정치인들이 인맥을 활용해 아랍에미리트에서 백신 접종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23&aid=0003600776|#]] * 중국과 아랍에미리트 측이 중국산 백신의 아랍에미리트 생산에 대해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417661|#]] * 아랍에미리트 당국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동에 제약이 있을 것이라고 밝히자 논란을 빚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305135|#]] * 아랍에미리트에 정박중인 일본 선주 선박에서 한국인 3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1명은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392629|#]] * 한편 영국의 더 타임스지는 UAE의 백신 접종률이 50%가 넘어가는데도 코로나 확진자가 줄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중국산 백신 효능문제에 대해 지적했다.[[https://news.v.daum.net/v/20210509142148329|#]] *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하는 중국인 입국자에게 시노팜 백신을 제공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421&aid=0005371583|#]] * 6월 22일, 아부다비시는 아부다비를 방문하는 여행자들에게 코로나19 백신 무료 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566269|#]] 그러다가 아부다비시는 24일에 단기체류 관광객들은 무료 접종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571981|#]] * 6월 24일, 한국 외교부는 이헌 재외동포영사실장이 아부다비에서 파이살 루트피 외교부 영사차관보와 제1차 한-UAE 영사공동위원회를 했다고 밝혔고 회의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증명서를 상호 인정하는 제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481225|#]] 단순 거주 비자를 받은 학생도 화이자 백신을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 7월부터 확산세가 가라앉기 시작했다. 8월 24일부터 신규 확진자 수가 1000명 아래로 내려가더니 10월 말부터는 100명 아래로 내려갔다. === 2022년 === * 1월 10일부터는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미접종한 자국민의 출국을 금지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892213|#]]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 version=1498, paragraph=4.17)]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아랍에미리트]][[분류:아랍에미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