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영향]][[분류:대한민국의 문화]]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영향)][include(틀:관련 문서, top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영향/문화)]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가격리]] 등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 활동인 게임의 이용량이 대폭 증가했다. 현재 코로나 사태에서 제일 수혜를 많이 입은 산업이 게임산업이다. 그러나, 그런 게임 마저도 사람 손으로 만들어지기에 게임 제작사들은 [[재택근무]]가 시행되면서 [[크런치 모드]]가 줄어들고 그만큼 게임 개발일정이 길어지면서 일부 [[AAA 게임]] 제작사는 신작 출시/신규 업데이트 일정에 차질이 생기며 설령 나온다 하더라도 퀄리티에 문제가 생기는데 일조했다. 게임 제작사의 부족해진 수입으로 인해 잦은 현질 팩 판매로 수입을 보완하는 등 [[과금 유도]]가 증가하기도 했다. 또한, 밖에 진행되는 게임 행사와 [[e스포츠]]는 대부분 취소되고 연기되거나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게임 방송]]도 칸막이를 두거나, 게스트없이 인원수 최소한으로 하며, 다수가 나오더라도 화상회의로 하는 경우가 증가했다. == [[Plague Inc.]] 관련 == * [[CNN]] 보도에 따르면 2020년 1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세계 곳곳으로 퍼지면서 [[Plague Inc.]]같은 바이러스 관련 게임 앱 다운로드가 급증했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460095|링크]] 또한 이 게임의 인기가 급상승했다. '''사실 이 게임은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전염병이 돌면 인기가 급상승하긴 한다.''' 커뮤니티 등지에서 코로나19사태 같은 각종 전염병 유행 사건들이 현실판 전염병 주식회사라는 평을 자주 볼 수 있다. * 이에 대해 전염병 주식회사의 제작사 엔데믹 크리에이션즈는 SNS를 통해 게임은 게임일 뿐이니 과학적인 모델이 아니라며 게임이 아닌 지역 및 세계 보건 당국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권장했다. [[https://twitter.com/NdemicCreations/status/1220737944018964480|트위터]]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0510|기사]]. 물론 이런 유입들은 대부분 전염병 유행 사건이 얼추 정리되면 죄다 빠져나가는 경향이 있다. * 그런데 2월 2일 연합뉴스 TV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전염병 관련 영화, 게임의 소비가 늘고 있다는 [[https://www.yna.co.kr/view/MYH20200202002500038|보도]]([[https://youtu.be/5kn1noN50xo|유튜브]])에서 그 예로 등장했다. [[게임규제|아니나 다를까]] 영화는 경각심을 주지만 게임은 질병을 단순한 흥미나 오락거리로 삼게 한다는 요지인데 이 게임을 예로 드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2&aid=0000412725|비판(댓글)]]을 받고 있다. * 마침 [[파이낸셜뉴스]]에서 [[https://www.fnnews.com/news/202002051507141668|바이러스 영화는 되고 게임은 안된다? 도넘은 게임 혐오]]라는 사설에서 이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자문을 얻어 개발한 게임으로 해외에선 전염병 전파 과정을 익힐 수 있는 유용한 시뮬레이터로 평가받고 있으며, 위생과 보건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주는 순기능을 인정받아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와 연계한 업데이트를 진행한 데다, 한국에서도 콘텐츠진흥원을 통해 [[기능성 게임]]으로 분류됐음을 알리면서, 관계자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가혹할 정도로 변하지 않고 있다", "게임은 하나의 문화라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역부족", "게임 산업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도구임을 알리고 있지만 힘이 빠지는 건 사실"이라고 밝힌 인터뷰가 실려있다. * 그래도 국내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게이밍 유튜버들과 인터넷 방송인들도 이러한 현상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일부는 해당 게임의 플레이를 요구하는 시청자들에 대해서 가차없이 밴 조치를 내리고 있다. * 2020년 2월 27일, 중국 공산당 정부에서 해당 게임을 [[중국/문화 검열|검열]] 처분하였다. 애플에서는 중국 정부의 요청을 받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434207|기사]] 3월 3일에 스팀 커뮤니티에도 관련 글이 올라왔다. [[https://steamcommunity.com/gid/103582791435192667/announcements/detail/1723128189771746868|관련 글(영어)]]. 해당 글에는 중국어로 번역된 페이지로 가는 링크도 첨부되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Plague Inc., version=1422)] == 한국에서 운영 중인 [[중국 게임]] == 국내에 서비스되는 [[중국 게임]]들도 영향을 받고 있다. * [[어비스 호라이즌]]의 설날 떡국 이벤트의 창이 사라졌는데[* 2020년 2월 10일 23시 59분까지 하는 이벤트다.] 그 이유가 신종 코로나 때문인 걸로 알려졌다.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9510208/articles/7432?fromList=true|#]] 이후 2020년 2월 21일 GM 베네토가 복귀하면서 광개토대왕의 한복스킨과 지룽의 치파오 스킨을 게임내 메일로 보내줬다.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9510208/articles/7468?fromList=true|#]] 이후 2020년 3월 20일 오전 8시에 대만과 국내서버가 접속이 안됐는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로 인원이 부족해 처리하지 못한거 때문에 오후1시에 보상을 메일로 보내줬다.[[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9510208/articles/7543?fromList=true|#]] * [[강철의 왈츠]]는 2020년 2월 1일부터 버프가 지급되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신종 코로나 때문인 걸로 알려졌다. [[https://m.dcinside.com/board/metalwaltz/447020|#]][* 버프는 2020년 2월 9일까지 지급된다고...] * [[소녀전선]]은 대형 이벤트 [[편극광]]의 4.5지역 공개가 늦춰졌고, 전 세계 서버에서 일주일간 이벤트 기간이 연장됐다. 그 이후 또 일주일 추가연장이 발표되었다. 그 외에도 [[G36(소녀전선)|G36]]의 일러스트레이터 [[이모코]]가 감염되었다는 루머가 발생했지만, 본인이 부정하면서 일단락되었다. 웨이보에 신종 코로나에 대한 언급을 했던 것이 본인이 격리되었다는 루머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한국 서버에서는 이벤트가 2주나 질질 끄는 바람에 '''이벤트가 끝나자마자 바로 화이트데이 특별 이벤트가 시작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원래는 이벤트 종결 3주 후에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4지역 공개가 2주 지연되고, 그 이후에 미카팀에 의해 원래 4지역과 함께 공개되었어야 했을 5지역 공개가 1주일 뒤에 되는 바람에 이벤트 2개가 연달아 진행되어 유저들은 상시이벤트라는 농담을 주고받을 정도. 게다가 단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준비만전|온리전]]까지도 결국 취소되었다. * [[방주지령]]은 2월 28일부터 3월 8일까지 코로나바이러스 19 위기극복 이벤트를 진행한다. [[https://m.cafe.naver.com/ca-fe/web/cafes/29735751/articles/52998?fromList=true|#]] == [[3N]] == * [[3N]]은 각각 20억원 가량 [[https://news.joins.com/article/23720380|기부]]했다. * 넥슨 * 넥슨의 자회사 엔미디어플랫폼은 추가로 영남지역 PC방 가맹점에 무인선불기 관리비를 2개월간 면제하기로 했다. * 2019년 10월 경 [[https://web.archive.org/web/20191112162515/http://act.mxd.sdo.com/project/20191104event/|중국 메이플스토리(CMS)]]와 [[https://web.archive.org/web/20191112162729/https://tw.hicdn.beanfun.com/beanfun/promo/MapleStory/E20191101/index.html|대만 메이플스토리(TMS)]]에서 BGM([[https://www.youtube.com/watch?v=LeVuQMIp8LU|Corona Festival]], [[https://www.youtube.com/watch?v=uacIrAAFoUg|Corona Festival 2]], [[https://www.youtube.com/watch?v=Rum7J6MVrEk|Corona Festival 3]])까지 따로 있는, 각각 [[메이플스토리/BGM/해외#코로나 축제(2019.10)|일식제전(日冕庆典)과 일식경전(日蝕慶典)]]이라는 이벤트를 진행했고 그것이 2020년 1월 말 경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싱가포르·말레이시아 메이플스토리(MSEA)]]에 Corona Festival([[http://www.inven.co.kr/board/maple/2299/2961761|코로나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http://www.maplesea.com/updates/view/v192_emergence_event_notes/|들어왔는데]] 하필이면 이 시기 쯤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 도는 사태가 벌어졌다.[br][[파일:coronainsideyou.png]][br]이 때문에 한 NPC의 [[https://blog.naver.com/hurucin/221789936713|"Can you feel it? The Corona inside you?"]] 등의 대사가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등 [[https://theqoo.net/index.php?mid=square&document_srl=1308729915|유머화]]가 되었다. [[메이플스토리/BGM/해외#코로나 축제(2019.10)|해당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퍼지기 전부터 이 이벤트는 기획되어 있었다. 이 이벤트는 해외 전용 이벤트이기 때문에 [[메이플스토리|본서버]]에서는 플레이할 수 없다. * 이후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싱가포르·말레이시아 메이플스토리(MSEA)]]에서는 상황이 심각해지자 페이스북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https://www.facebook.com/MapleSEA/posts/10163057236900612|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때 몇몇 유저들이 댓글에 [[메이플스토리/NPC/빅토리아 아일랜드#s-4|마야]][* 단, [[메이플스토리/NPC/빅토리아 아일랜드#s-4|마야]]는 10여년 넘게 집에서 자가격리(?) 중이라서 괜찮지만, 파괴된 헤네시스에서는 밖에 있고 포션을 팔아서 위험하다는 한국 유저의 드립이 있다.]와 [[메이플스토리/NPC/빅토리아 아일랜드#s-4|장로 스탄]]이 기침하는 이미지를 올리고는 헤네시스가 위험하다는 드립을 쳤다. *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중국 메이플]](CMS) 측에서는 공짜로 [[http://www.inven.co.kr/board/maple/2299/3643082|캐시 마스크 아이템]]을 유저들에게 나눠줬다. * 이 시기 쯤에 [[커닝시티 대참사]] 관련 영상이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에 뜨기 시작했다. 아마도 주니어 발록의 박쥐 날개+떼죽음 때문인 듯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version=580)] * [[엔씨소프트]]는 자택근무를 연장하고, 가맹 PC방 사업주에 3월 엔씨 게임 이용 요금의 절반을 보상한다. == 아케이드 게임 == 외출을 해서 오락실에 가야 할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 특성상 가는 것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위배되기도 하고, 확진자 동선에 있는 경우[* 실제로 울산 10번의 동선에 [[짱오락실]] 대구 1호점이 있었고, 동대문구 23번의 동선에 짱오락실 강남점([[https://m.blog.naver.com/seocho88/221858359344|출처인 구청 발표 포스팅]]), 양평 거주 동작구 확진자는 정인게임장([[https://news.zum.com/articles/60414495|#]])이 있기도 했다.]나, 동선에 없더라도 코로나 여파로 영업을 중단 하는 경우[* 예: 미국 [[ROUND1|라운드원]] [[https://twitter.com/Round1USA/status/1242511133501612043|#]], [[부산대 보우게임랜드]] [[https://gall.dcinside.com/rhythmgame/11024856|#]], 구미 빅게임랜드 [[https://twitter.com/Gumi_BGL/status/1242634489676697600|#]] ]도 있어서 이벤트 진행에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기간 한정 이벤트가 연장되거나 연기되었으며, 오락실 또한 실내 공간에 사람들이 모여 있는 만큼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가 잘 되는 환경이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비마니 시리즈]] * 전 기종 공통으로 기존 진행 이벤트의 연장이 되었고, 4월 15일부터는 상시 기간 컨텐츠(이 주의 추천곡, jbox selection 등)의 갱신이 중지되었다. 또한 비상사태가 해제된 이후에 개최되는 이벤트에는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종료 기간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문: 今後の状況によっては、終了期間を変更する可能性がございます。]라는 메시지가 붙는다. * [[DanceDanceRevolution A20]]은 [[DanceDanceRevolution A20#s-5.2|GOLDEN LEAGUE]] 11회에 한해 승급만 하고 강등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2회차는 개최되지 않고 있다. 또한 [[FLOOR INFECTION]]과 [[POLICY BREAK]]는 3월 16일 오전 10시까지 였으나 30일 오전 10시까지로, 그리고 2차적으로 4월 12일까지 연장되었다. [[https://twitter.com/DDR_573/status/1235476906654355456|#]]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는 3월 5일 기준 진행중인 모든 기간한정 이벤트[* VOLTE FACTORY, [[사운드 볼텍스/VOLFES]] 3회차, [[POLICY BREAK]] 46탄, [[FLOOR INFECTION]] 38탄, [[The 9th KAC]] 개최기념 [[e-amusement pass/한정판 카드|e-amusement pass 스탬프 캠페인]],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25만표 공약 특전]를 3월 29일까지[* 일부는 다음날 오전 10시]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http://eam.573.jp/app/web/post/detail.php?post_id=16877056|#]] 그리고 여전하자 [[http://eam.573.jp/app/web/post/detail.php?post_id=16964310|4월 12일로 다시 연장.]] 또한 매년 열어온 만우절 이벤트를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코나스테 버전]]에서만 진행했으며, 4월 28일까지 코나스테 뮤직팩 1~3편과 이용권을 50% 할인했다.[[https://eacache.s.konaminet.jp/game/eacsdvx/iii/p/images/cm/cm_sdvx5_200408b.jpg|#]] * 동시기에 [[beatmania IIDX INFINITAS]]도 뮤직팩 1~2번을 할인하고 플레이 티켓 3개와 무료 해금곡 5개를 추가로 제공했다.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의 캐릭터 등신대 이벤트도 3월 30일까지로 연장되었다. [[https://twitter.com/IIDX_OFFICIAL/status/1237256890364465152|#]] * [[GITADORA NEX+AGE]]는 [[GITADORA NEX+AGE/이벤트 및 해금#s-3.6|21주년 기념 이벤트]] 기간이 [[http://eam.573.jp/app/web/post/detail.php?post_id=16960214|4월 12일까지로 연장되었다]]가 무기한 연장한 다음 종료일 추후 공지로 변경 되었다. 당시 넥스타디움도 골든 리그와 달리 강등까지 적용되는데 연장 없었고, [[GITADORA NEX+AGE/이벤트 및 해금#s-3.1.7|진행 직전에 실수로 다른 이벤트가 하루 일찍 끝났을때도 기간 연장없이 그날 플레이한 기록 전체로 집계해서 줬다보니]][[http://eam.573.jp/app/web/post/detail.php?post_id=16876122|#]] 연장 없는게 아니냔 우려가 많았으나 연장되었다. 그래서 다음날에 사볼에서도 이벤트 기간 연장이 발표되기 전부터 플인펙 연기와 연관이 있다고 추정되기도 했었다. * [[jubeat festo]]는 2020년 3월부터 T-emo Store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해금에 필요한 아이템인 T-emo는 원래 달마다 바뀌었으나 3월자 T-emo를 4월 이후에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라인업에는 신규 해금곡 없이 기존에 등장했던 해금곡들을 추가시키고만 있다.[* 신곡 부재 현상은 2월부터 있었으나 당시에는 [[The 9th KAC]] 준비와 플래그 랠리 등 다른 사유가 있었다.]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는 주기대로라면 4월 2일에 업데이트해야 할 부활곡이 한 주 앞당겨진 3월 26일에 부활이 진행되었고, 4월부터는 다른 기종과 마찬가지로 부활곡 업데이트가 중지되었다. 다만, 다른 기종이 업데이트 재개된 6월 이후에도 중지 상태. * [[DANCERUSH STARDOM]]은 [[사랑제일교회 집단감염]]으로 인해 국내 [[사회적 거리두기]]가 격상했는데도 불구하고 스탬프 캠페인 두 개랑 SPARK FESTIVAL 2020 이벤트 기간을 연장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유저들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상황. * 신규 전기종 연동 이벤트인 [[이치카의 BEMANI 초 가위바위보 대회 2020]]은 기존처럼 게임 플레이로 실적을 올리는 방식 대신 온라인으로 스탬프를 모으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 2020년 2월 22~24일 진행 예정이었던 [[The 9th KAC]] Day 4~6일차에 있는 비 BEMANI 게임들의 결승전의 일정이 잠정 연기되었다. * 2020년 5월 개최 예정이던 [[BEMANI PRO LEAGUE]] 일정이 1년 연기되었다. 2020년에는 대신 무관중 프리시즌인 [[BEMANI PRO LEAGUE ZERO]]를 개최할 예정이다. * [[BEMANI 좋아요 랭킹]]은 원래 1개월 단위로 집계되는데, 신곡 업데이트가 적었던 2020년 4~6월은 통합 집계되었다. * BEMANI esports Championship[*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공식 대회. 9th kac에서는 일부 종목에 우승자 시드권 지급이 있었으며, 8th kac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The 8th/결승 라운드#s-5|결승 2일차에선 우승자에 시상]]을 KAC 무대에서 하기도 했다.]은 [[https://www.facebook.com/bemani.asia/photos/a.734728406634388/3435791703194698/?type=3&theater|2020년 개최가 취소되었다고 한다.]] * 2021년 3월 개최 예정인 [[The 10th KAC]]은 일본 거주자만 참가 가능하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결승전은 무관중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그마저도 긴급사태 발령으로 인해 일정이 연기되어 1년 꿇어서 2022년 2월에 개최되었다. 그마저도 회장에는 선수들 외에는 MC만 나와 있고 해설을 맡은 게스트들은 화상회의 형태로 참여했다. * 2021년 1월 비상사태가 발령되어 [[GITADORA NEX+AGE]]와 [[유비트 페스토]]의 기간한정 이벤트 기간이 연장되었다. * [[유비트 페스토]]는 당시 스탬프 챌린지중 신년 챌린지 해외 미적용이던 문제도 겹쳤는데, [[https://gall.dcinside.com/m/jubeat/33005|추후 재개최한다고 했으나]], 연장 이후에 합쳐서 진행하였다. * [[세가 인터랙티브|세가 (구)세가 인터랙티브]] 해당 업체에서 운영하는 게임의 이벤트 또한 기간이 연장되거나 개최가 연기었다. 추가로, 일본 국내의 일부 지역에 비상사태가 선포되자 앞으로 개최될 이벤트를 모두 연기하였고, 코로나 기간에 끝난 이벤트는 재개최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 [[온게키 SUMMER PLUS]]: [[https://twitter.com/ongeki_official/status/1235083078705401857|온게키 SUMMER PLUS의 신종 코로나로 인한 이벤트 연장 안내 트윗]], 그외에도 기간 한정 오리지널 미션은 [[https://ongeki.sega.jp/news/20200303/?cate=&page=3|'''시작전부터 추후 복각할 예정이라고''' 공지 하기도 했고]], [[역시 내 청춘의 러브 코미디는 잘못됐다. 속]] 콜라보 랭킹 이벤트는 아예 개최를 연기해서 2주가량 뒤에 열렸다. * [[maimai DX PLUS]]의 일본 이벤트도 연장되었다. [[https://twitter.com/maimai_official/status/1235445417933864960|maimai DX PLUS의 신종 코로나로 인한 이벤트 연장 안내 트윗]] * 국제판 [[maimai DX]] * [[maimai DX/디럭스 투어|디럭스 투어]]의 한정 지방인 '동방 프로젝트 지방' 개최 기한이 6월 4일로 연장되었다. [[https://www.facebook.com/maimaiDX/posts/195991218508192|#]] * 한국,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국가에서 이용률이 나오지 않자 [[https://www.facebook.com/maimaiDX/posts/202158551224792|4월 업데이트 예정인 신곡 업데이트를 잠정 연기했으나]] [[https://maimai.sega.com/download/2020-05-22/|5월 22일에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 [[CHUNITHM CRYSTAL]]은 일부 이벤트를 4월 15일까지 연장했다. [[https://twitter.com/chunithm/status/1235369893798629376|#]] 그리고 만우절 기간 한정 패턴 수록과 경품 이벤트도 연기되었다가 6월 18일부터 재개.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Zero Ver.2]] * 한국 예선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 또한 제 1탄이 끝나자마자 진행하려던 [[동방 프로젝트]] 콜라보 2탄 개최 일자가 연기되었다. *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공식 대회를 중지하였다. [[https://initiald.sega.jp/inid0/event/saisoku2020/|#]] * 기타 회사 * [[그루브 코스터]]는 코로나 여파로 매년 만우절마다 수록된 [[怪談「カーナビ」]]을 2020년에는 수록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 * [[WACCA]]는 기간한정 이벤트 종료를 연장했다. [[https://info-wacca.marv.jp/article/9810|#]] 그리고 [[https://info-wacca.marv.jp/article/9900|5월 8일자로 5월에 업데이트 예정이던 곡들의 업데이트를 연기한다고 한다.]] * [[신 태고의 달인]] 역시 만우절 곡들을 복각하지 않았다. * [[EZ2AC : FINAL EX]]는 총판의 독선으로 2020년 8월에 발매 강행하였지만, 판매량이 역대급 최악으로 처참하여 2020년 9월 기준 즐길수 있는 오락실은 20~30곳 이 넘지 않았던걸로 사료된다. * [[펌프 잇 업]]은 차기작의 개발과 출시가 잠정 보류되어, 공식 업데이트가 종료된 [[펌프 잇 업 XX]]의 추가 업데이트를 하면서 아케이드 시장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 발표했다. [[http://www.piugame.com/bbs/board.php?bo_table=global_notice&wr_id=376|#]] == 콘솔 게임 == 한국, 일본에서 발매되는 콘솔 게임기는 중국에서 생산되나, 해당 공장이 코로나19로 폐쇄되어 이 또한 타격을 받고 있다. 그러나 XBOX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20]]과의 콜라보로 폰으로 콘솔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됨으로서 이에 대한 타격이 조금이나마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닌텐도 스위치]]로 발매되는 [[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에디션 제품의 한국 예약 일자가 3월 12일로 연기되었다. 또한, 일본은 사전 예약을 진행했으나 물량에 차질이 있어 3/9 20:59 기준 현재 마이 닌텐도 샵에서 예약이 불가능하다. * 중국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해 [[링 피트 어드벤처]], [[Nintendo Switch]] 구형, 신형을 불문하고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오픈 마켓에서는 신품 보다 더 비싸게 폭리를 취하고 있다. * 일본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만 판매중인 Nintendo Switch Customize[* 닌텐도 스위치의 조이콘을 내가 원하는 색으로 맞춰 주문하는 것]의 주문이 막혀 있다. 4월 상순 물량에 대한 예약은 추후 닌텐도에서 공지 예정. * 2020년 3월 19일에 [[일본]]에서 발매될 예정인 [[PC 엔진#s-10|PC 엔진 미니]]는 2020년 3월 6일 이후에 예약구매를 한 사람들에게는 수령이 늦어질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 [[배틀필드 V]]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명령까지 겹치면서 정예병 2종, 신규 전차 장식물 등 4월 패치로 추가될 예정이었던 콘텐츠가 [[https://www.reddit.com/r/BattlefieldV/comments/fpzy8w/community_broadcast_an_update_on_updates/|5월로 미뤄졌다.]] * [[인엑자일 엔터테인먼트]]의 출시 예정작인 [[웨이스트랜드 3]]가 2020년 5월 19일에서 8월 28일로 연기되었다. [[https://twitter.com/Wasteland/status/1245002745037221896|#]]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는 PS4 독점작인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와 아이언맨 VR의 출시 일자를 무기한 연기하였다. [[https://www.polygon.com/2020/4/2/21205818/the-last-of-us-part-2-delayed-iron-man-vr-coronavirus-covid-19-pandemic|#]] *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의 경우, 개발이 완료된 상태에서 물류문제를 이유로 들었지만, 인게임 영상 유출 사고가 일어난 후 바로 다음날인 4월 27일에 발매일을 6월 19일로 공식 발표했다. [[https://blog.us.playstation.com/2020/04/27/release-date-updates-for-the-last-of-us-part-ii-ghost-of-tsushima/|#]] * 6월 3일에 발매 예정이었던 PC판 [[데스 스트랜딩]]이 7월 14일로 미뤄졌다. [[코지마 프로덕션]] 직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견되면서 재택근무로 전환되었고 [[https://twitter.com/KojiPro2015_EN/status/1252545842575142913|트위터]]를 통해 "재택근무에 돌입했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라고 전하면서 출시 연기를 발표하였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3/?category=2&n=103708|국내 관련 기사]]) * 5월 21일에 발매 예정이었던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리코리스]]가 코로나 19로 인한 제작 차질로 인해 7월 9일로 발매일이 연기되었다. *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에서 2020년 5월에 예정된, [[알바트리온]] 참전을 위시한 무료 DLC 4차 업데이트가 2020년 7월 초로 연기되었다. * 2021년 발매 예정이었던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V]]이 코로나 19로 인한 제작 차질로 인해 2022년 1분기로 발매 시기가 연기되었다. == 모바일 게임 == [[Supercell|슈퍼셀]], [[나이안틱]] 또한 코로나19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다. * [[클래시 오브 클랜]] 월드 챔피언십 예선 일정을 기존 3~8월에서 5~10월로 변경하였다. 이마저도 확정된것이 아니고 상황을 봐가며 결정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s://clashofclans.com/ko/blog/esl-clash-championship/changes-to-qualifiers.html|공식 사이트 게시글]] * [[2020년|2020]] [[브롤스타즈]] 챔피언십의 경기 규정이 일부 변경되었다. 기존 월별 파이널 경기에 온라인 규정이 추가되고 규정에 따라 앞으로의 챔피언십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https://blog.brawlstars.com/ko/blog/e-sports/%EB%B3%80%EA%B2%BD%EB%90%9C-%EA%B2%BD%EA%B8%B0-%EA%B7%9C%EC%A0%95%EC%9D%84-%ED%99%95%EC%9D%B8%ED%95%98%EC%84%B8%EC%9A%94.html|상세 규정내용]] *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East) 시즌 일정이 변경되었다. 4월 3일 중국 정부가 4월 4일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국가 애도일 지정을 발표함에 따라 이날 중국에서 진행되는 많은 행사들은 중지되어야 하며,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도 그 중 하나로 지정됨에 따라 스페셜 시즌 개막일을 다음 날인 4월 5일로 변경되였다. * [[클래시 오브 클랜]] 월드 챔피언십 예선 일정 중 1차 ~ 3차[* 1차 예선 - 온라인 - 6월 26일~28일 / 2차 예선 - 온라인 - 7월 24일~26일 / 3차 예선 - 온라인 - 8월 28일~30일]까지의 예선을 온라인 예선전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그 이후 예선들도 비공개로 전환하여 유튜브에서만 시청하게끔 해놨다. * 코로나19로 인해 여러 대회가 취소또는 연기되며 수입이 안들어오는지 인게임내 상점에서 현질 팩을 자주 팔고 있다. * 11월 21일, 22일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리는 [[2020년|2020]] [[브롤스타즈]] 월드 파이널 대회는 현장에 필수로 있어야 하는 진행자를 제외하곤 모두 화상연결로 진행된다. 물론 경기관람은 유튜브 공식채널로 한정된다. * 강남구 압구정동에 위치한 슈퍼셀 라운지는 코로나19로 현장 행사 대신 온라인에서 슈퍼클래스, 슈퍼패밀리, 슈퍼스페셜이라는 이름으로 인터넷 예능이 올라온다. * 밖에 나가서 플레이 해야 하는 [[증강현실]]게임도 각종 이벤트를 통해 유저들을 유지시키려 하고 있다. 다만 신규 유저 유입이 확 줄어들었다. * [[포켓몬 GO]]에서는 알의 부화거리를 반으로 줄여주거나, 소모성 아이템의 사용 시간을 늘려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후 많은 사람들과 모여서 진행해야 하는 레이드 시스템에 손을 볼 계획이라고 하며, 리모트 레이드 패스라는 아이템을 추가하여 원격으로 레이드 배틀에 참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추가했다. 다만 직접 레이드 배틀에 돌입하는 것 보다는 데미지가 줄어들기 때문에 조금 난이도가 올랐다. 또한 업데이트를 통해 매일 1번 '''자동적으로''' 리서치를 추가시킨다. * 사이게임즈에서 개발한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는 코로나 여파로 더빙이 중단되었고, 해당 게임의 국내 운영사인 카카오게임즈에서는 2020년 11월 30일 업데이트 된 드래곤 익스플로저스 이벤트의 미니게임인 끝말잇기에 박쥐와 관련된 단어에 '코로나'와 '전파'를 넣는 패기를 보여준다. == 게임 행사 == * 2020년 3월 12일 자정 경, 세계 최대의 게임 행사인 '''[[E3 2020]]의 개최 취소가 확정되었다.''' [[https://www.gamespot.com/articles/e3-2020-officially-canceled/1100-6474647/?ftag=GSS-05-10aab8e|기사]] * 대신, 6월에 게임 업계 발표와 소식을 선보이기 위해 온라인 이벤트 마련을 계획중이라고 하였다. 다만, [[베데스다 소프트웍스]]는 대유행으로 인해 겪고있는 많은 어려움을 감안하여 온라인 이벤트에 참가하지 않기로 하였다. [[https://opencritic.com/news/1299/bethesda-will-not-hold-an-online-press-conference-in-june|#]] * 주요 업체가 코로나-19로 인해 불참이 이어지자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열릴 예정이었던 [[GDC]] 2020이 여름으로 개최 연기되었다. 일부 발표 내용 및 인디게임 페스티벌, GDC 어워드는 그대로 3월에 진행하나 [[트위치]] 스트리밍으로 대체된다. [[https://www.gdconf.com/news/important-gdc-2020-update|공지]]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18229|국내 기사]] * 2020년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개최 예정이었던 [[게임스컴]]도 2020년 4월 17일에 [[https://twitter.com/gamescom/status/1250815640400773120|트위터]]를 통해서 독일 정부의 조치[* 모든 스포츠 행사와 콘서트, 축제 등의 대규모 집회를 8월 31일까지 금지했다.]에 따라 오프라인 개최를 취소하고 [[E3]]와 비슷하게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6/?n=103548|#]] * 2020년 도쿄 게임쇼도 5월에 오프라인 개최 취소가 확정되었다. 개최지인 마쿠하리 멧세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야전병원으로 개조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 G-STAR 2020은 전시장이 사용 가능한 관계로 예정대로 개최하되, BTB는 온라인 화상회의 형식으로 하고 BTC는 입장인원 제한을 두면서 빡빡하게 방역을 할 예정이다. * [[Warframe]]도 코로나19로 인해 올해에 열기로 했던 자체 오프라인 행사인 [[텐노콘]]을 취소하고 온라인 이벤트로 전환하기로 했다. * [[포트나이트]]는 2020년에 개최되는 모든 오프라인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알리며 2020 [[포트나이트 월드컵]] 또한 취소됨을 알렸다. [[https://twitter.com/FNCompetitive/status/1255927722397896705|#]] * 각종 게임 쇼가 취소되자 [[더 게임 어워드]]의 호스트이자 캐나다의 게임 저널리스트 제프 케일리는 5월부터 8월까지 디지털 쇼케이스 방식의 온라인 게임 행사인 [[Summer Game Fest]]를 개최했다. * 2020년 [[PlayX4]]가 취소되었다. 2021년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할 예정이였으나,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결국 온라인으로만 개최했다.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사 게임 신작이나 업데이트 내용을 발표하는 것으로 유명한 [[블리즈컨]] 2020이 취소되었다. * [[스타시티즌]] 최대의 행사인 [[시티즌콘]] 역시 취소되었다. * [[Minecraft Live#s-2.4|마인크래프트 페스티벌]]이 2022년 가을[* 원래 2021년으로 1년만 연기되었으나, 코로나 19가 종식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1년을 추가 연기하였다.]로 연기되었다. 단, 온라인 마인콘은 그대로 진행한다. * [[메이플스토리]]는 이 시기 대형 업데이트인 [[AWAKE(메이플스토리)|AWAKE 업데이트]]를 별도의 오프라인 쇼케이스 없이 업데이트 예고 영상만을 공개하였다.[* 메이플은 최근 몇년간 여름 대형 업데이트는 항상 오프라인 쇼케이스로 공개하였다.] * 중견 인디 퍼블리셔인 [[디볼버 디지털]]은 각종 게임 쇼의 취소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아예 자사가 발매예정인 [[Shadow Warrior 3]]의 개발사인 와일드호그에게 의뢰해 디볼버 부스 체험 1인칭 어드벤처인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283220/Devolverland_Expo/|Devolverland Expo]]>를 개발케해 스팀 등으로 무료배포했다. 물론 홍보성이기 때문에 아주 약간의 퍼즐성만 제외하고는 사실상 걷는 시뮬레이션 정도로 가볍게 즐길수있는 가상 부스 체험이다. * 2021년 2월 개최 예정이었던 [[JAEPO]] 2021 역시 개최 취소가 확정되었다. 그 다음 해 개최 예정이었던 JAEPO 2022 역시 일찌감치 개최 취소가 확정되었다. == 기타 == * [[크래프톤]]은 10억을 기부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23720380|#]] * 아이덴티티게임즈[* [[던전스트라이커]] 개발사]는 업계 최초로 확진자가 나왔다.[[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20776|#]] * 일부 게임사는 자택근무 기간을 연장했다. [[http://game.donga.com/94634/|#]] * 일부 게임은 이벤트의 연장 혹은 연기가 나오기도 한다. * [[오버워치]]는 2020년 2월 29일부터 3월 12일까지 한국에서만 PC버전 무료 체험을 열었다. 이 기간 중 플레이한 정보는 차후 정식판을 구매해도 그대로 남는다. [[https://playoverwatch.com/ko-kr/news/23321069/2-29-3-12-pc|공식 공지]] * [[라이엇 게임즈]]는 대한의사협회에 방호복과 수술복을 각각 1만벌 씩 기부했다.[[https://m.sport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41368|기사]] * 프로젝트 문에서 개발중인 [[Library of Ruina]]의 얼리엑세스가 2020년 4월 30일에서 2020년 5월 15일로 잠정 연기되었다. * 중국정부의 주도 하에 2020년 4월 4일 중국에선 코로나와 사투하다 희생된 의사들에 대한 전국적인 추모 행사가 진행된다. 이 영향으로 중국 내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온라인 게임이 하루동안 서버 운영을 잠시 중단했다.[* 그러자 [[Steam|스팀]] 같은 해외 게임 플랫폼을 통해 우회하여 들어온 흔적이 보고되고 있다. 사례로 2020년 2~3월 기준으로 평균 50~60만의 동접자를 기록하고 있는 스팀판 [[배틀그라운드]]가 4월 4일만 동접자가 92만명을 기록하여 평균치를 웃도는 수치를 나타내 주었다. [[https://steamdb.info/app/578080/graphs/|#]]] [[https://www.sohu.com/a/385363231_114760|기사(중국어)]] * 2020년 4월 14일 비디오 게임 [[팀 포트리스 2]]의 캐릭터 [[스나이퍼(팀 포트리스 2)|스나이퍼]]를 맡은 성우 존 패트릭 로우리(John Patrick Lowrie)는 [[솔저(팀 포트리스 2)|솔저]]를 맡은 성우 [[릭 메이]](Rick May)가 [[https://www.facebook.com/johnpatricklowrie/posts/3695585787179521|코로나-19로 타계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원래부터 후두암 후유증 등으로 인해 건강이 좋지 않았는데 코로나19가 결정타였다고 한다. 이로 인해 팀 포트리스 커뮤니티 전체에 큰 혼란이 빚어졌으며 곳곳에서 애도 물길이 이어졌다. * 2020년 11월 10일 발매된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중 2020년을 배경으로 하는 현대파트의 기록에 코로나 19가 현실과 똑같이 퍼졌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여기서는 현실보다도 한 술 더 떠서 지진, 전염병, 지구 어디에서든 볼 수 있는 오로라 등 지구가 멸망하는 전 지구적 재앙 중 하나로 취급되는 중. * [[WCG]] 2020은 당초 전년도 대회와 비슷한 규모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사상 최초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인터넷 인프라 등을 감안해 한국과 중국 두 나라만 초청 형식으로 참가한다. * [[Steam]]에서는 스팀 심사 판매 페이지에 심의에 걸리는 기간이 늘었다고 안내하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m/ez2on/5325|원래는 3일~1주였는데, 최대 1개월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 [[어몽어스]] 게임이 국내 뿐만 아닌 전세계적으로 유행하여 모바일이나 스팀 순위에서 무려 연속적으로 1위에 차지했다. [[임포스터]] 밈 포함한 각종 패러디와 애니메이션 또는 컨텐츠들이 많이 생겨났다. * 추억의 게임들도 역시 유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임은 [[파인딩 블루]]인데 구글 무료 게임 차트에서 무려 5위에 차지했다. 그 외에도 다른 추억의 게임 역시 [[바운스볼]], [[서브웨이 서퍼]] 게임이 갑자기 시대를 역행하는 인기를 보이는 중이다. * [[마인크래프트]]는 [[마인크래프트/자바 에디션/업데이트/정식판/1.17|동굴]]과 [[마인크래프트/자바 에디션/업데이트/정식판/1.18|절벽]] 업데이트 도중에 [[모장 스튜디오]]의 본사가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유럽#s-2.13|스웨덴의 코로나 상황]]이 심각해지자 업데이트 명칭을 동굴과 절벽 업데이트를 파트로 변경되어 1.17~1.18 버전 방식으로 나오게 되었다. == [[게임 중독 질병코드 등록 논란]] == 2019년 5월 24일, [[세계보건기구]]가 [[게임 중독|게임 이용 장애]]의 질병코드 등록이 '''만장일치'''로 통과되는 사건으로 WHO는 게임중독은 질병이라고 단정지었으나 WHO [[테워드로스 아드하놈|현 사무총장]]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사회적 거리두기|거리두기 운동]]'으로 게임을 적극 권장하는 모순[[https://twitter.com/DrTedros/status/1241110858694000643|#]]을 보인것도 모자라 게임 회사와 협력하여 캠페인[[http://m.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4530|#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70898&memberNo=873146&navigationType=push|#2]] 진행까지 해 WHO의 [[이중잣대]] 논란이 있다. 다만 중독이 질병인거지 [[향정신성 의약품]]이 치료용으로 쓰이듯 거리두기를 위해 게임을 권장하는게 꼭 모순된건 아니란 견해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영향/문화, version=222, paragraph=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