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아르헨티나]]의 주와 그 중심도시 코르도바를 다루는 문서 == 코르도바 주 == [include(틀:아르헨티나의 행정구역)] ||||<#77AADB><:>{{{#gold {{{+3 코르도바 (아르헨티나) [br] Provincia de Córdoba}}}}}}|| ||<-3><:> [include(틀:지도, 장소=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주)] || 출처:[[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3/Provincia_de_C%C3%B3rdoba_-_localizaci%C3%B3n_en_Argentina.svg|#]] 코르도바 주(Córdoba)는 아르헨티나 북동부의 주로, 산타페 주와 엔트레리오스 주와 더불어 이 주는 소위 중앙 지역이라는 경제ㆍ정치적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면적은 165,321 ㎢로 [[대한민국|남한]]의 1.7배에 달하지만, 인구는 겨우 3,308,876여명로 [[부산광역시]]보다도 적다. [[이베코 트래커]]를 생산하는 공장이 존재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주의 주도 === [include(틀:아르헨티나의 세계유산)]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코르도바의 예수회 수사 유적과 대목장 || || 영어 || Jesuit Block and Estancias of Córdoba || || 스페인어 || Manzana y estancias jesuíticas de Córdoba || || 프랑스어 || Ensemble et les estancias jésuites de Córdoba || |||| 국가·위치 ||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Alcázar de los Reyes Cristianos,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00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995|995]] || ||||<#77AADB><:>{{{#gold {{{+3 코르도바 (코르도바) [br] Córdoba}}}}}}|| ||<-3><:> [include(틀:지도, 장소=아르헨티나 코르도바 코르도바)] || 코르도바 시는 아르헨티나에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다음가는 두번째로 큰 도시다. 동시에 코르도바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약 130만 명이다. 1573년 스페인 정착민에 의해 세워진 도시로서 [[스페인]] 남부의 [[코르도바(스페인)|코르도바]]에서 이름을 따왔다. 코르도바에는 천주교 성당을 위주로 한 스페인 식민 시절의 많은 건축물이 남아있다. 특히 예수회 수사 유적(Manzana Jesuítica)은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산 마르틴 광장 근처의 중심부의 예수회 성당이 유적 중에서 특히 유명한데, 이 성당 내부의 모든 장식물은 [[금]]으로 만들어졌다. 성당 옆에는 식민 총독부 건물이 있는데 이 역시 역사적인 유적이다. 고대 로마부터 천년고도인 스페인의 오리지널과 비할바는 아니지만 여기도 신대륙 기준으론 만만찮게 유서 깊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taGracia.jpg]] 예수회 구역.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File:AltaGracia.jpg|위키피디어]] [[코르도바 국립대학교]]는 1613년에 예수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아르헨티나에서 최초로 설립된 대학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아르헨티나가 다 그렇듯 원주민보다는 백인계가 많다. 인구 중 이탈리아계와 스페인계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코르도바는 [[유럽]]으로부터 이민을 무지하게 받아들였던 도시로서, 이민이 가장 많았던 1910년대에는 주민의 43%가 새로 이민 온 사람이었을 정도였다.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이며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Cfa에 해당한다. 겨울이 별로 춥지 않아서 6,7월의 최저 기온 평균이 6°C 이고, 그에 비해 여름도 아주 덥지는 않아서 한여름인 1월의 최고 기온 평균이 31 °C. 참고로 [[남반구]]다 보니 우리나라와 계절이 반대다. 1955년의 해방 혁명으로 이어진 항명운동의 근원지였는데, 그 혁명으로 인해 당시 집권 중이던 [[후안 페론]]이 축출되었다. 그리고 1969년의 격렬한 노동자 및 학생 시위의 무대이기도 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르도바, version=93)] [[분류:아르헨티나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