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코린 스토다드}}}[* 본인은 애칭인 Corie(코리)로 불리는 걸 선호한다.][br]Corinne Stoddar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rinne Stoddard.jpg |width=100%]]}}} || ||<|2> '''출생''' ||[[2001년]] [[8월 15일]] ([age(2001-08-15)]세) || ||[[워싱턴주]] [[시애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종목''' ||[[쇼트트랙|[[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width=20]]쇼트트랙]][br]{{{-1 주종목: 1000m[* 월드컵 시리즈에서는 1000m 성적이 가장 좋지만, 특출나게 성적이 좋은 종목은 없다.]}}} || ||[[인라인 스케이트|인라인 스케이팅]][br]{{{-1 주종목: 10km, 20km}}}|| || '''국가대표''' ||2018-19~2022-23(쇼트트랙, 5시즌)[br]2016~2019[* 2020 세계선수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로 인해 열리지 않았고, 주니어 세계선수권만 4번 참가했다.](인라인 스케이팅) || || '''SNS''' ||[[https://www.instagram.com/c0rie8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여자 [[쇼트트랙]] & [[인라인 스케이트|인라인 스케이팅]] 선수다. == 선수 경력 == 쇼트트랙에서의 기량은 그렇게 좋지 않지만, 인라인에서는 동나이대 세계 최정상급 실력을 갖고 있다. 어릴 때부터 스케이팅 유망주로 촉망받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인라인 스케이팅 부문에서 모두 주니어 전미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오히려 국제대회 경험은 쇼트트랙보다 스피드 스케이팅이 더 빠른데, 2018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 때 미국 국가대표로서 참가한 경험이 있다.] 그렇게 세 종목을 병행하던 도중 쇼트트랙과 인라인 스케이팅을 선택했다. 보통 인라인 스케이팅과 [[스피드 스케이팅]]을 병행하는 선수는 많은데[* 매스스타트 종목에 출전하는 대다수 선수들이 인라인 스케이팅을 병행한다.], 본인은 쇼트트랙의 짜릿함이 마음에 들어 쇼트트랙을 선택했다. === [[인라인 스케이트|인라인 스케이팅]] 선수 경력 === ==== [[2016년]] ==== 만 14세의 나이에 주니어 전미선수권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선발되었다.[* 이 때 미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브리트니 보가 다가와 축하해주는 모습이 잡혔다.] 15km 서바이벌 레이스 14위, 10km 포인트 + 서바이벌 레이스 15위를 차지했다. 참가 선수 중 최연소였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했지만 나이에 비해 좋은 기량을 보여주었다. ==== [[2017년]] ==== 주니어 전미선수권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15km 서바이벌 레이스 10위, 20km 서바이벌 레이스와 계주 4위를 차지하며 전년도에 비해 엄청난 실력 상승을 이루어냈다. ==== [[2018년]] ==== 주니어 전미선수권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10km 포인트 + 서바이벌 레이스 3위, 20km 서바이벌 레이스 2위, 10km 포인트 레이스 4위, 1000m 6위, 5km 서바이벌 레이스 5위를 차지하며 본인의 인라인 세계선수권 첫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콜롬비아]]가 강세를 보이는 인라인 스케이팅에서 콜롬비아 선수들에게 유일하게 대적할 수 있는 선수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 [[2019년]] ==== 쇼트트랙에서의 첫 시즌을 끝낸 뒤에 인라인 훈련에 집중하기 위해 세계선수권 참가 자격을 포기하고 독일로 출국하여 훈련을 시작했다. 인라인 세계선수권 시작 전에 열린 대회들에서 나오는 대회마다 모두 우승하면서 그녀의 활약이 주목됐다. 그 기대에 부응하듯 10km 포인트 레이스 2위, 10km 서바이벌 레이스에서 1위를 차지하며 마침내 본인의 첫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차지했다.[[https://youtu.be/QzaswPF_E8k|#]] 나이 상 이번 년도가 주니어 대회 마지막 참가 기회였고, 이 때문인지 초반 종목들이 흔들리기도 했지만 결국 메달을 차지했다. 이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집중하기 위해 인라인 스케이팅 대회는 참가하지 않고 있다. 올림픽이 끝난 2022 인라인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할 예정이다. === [[쇼트트랙]] 선수 경력 === ==== 2018-19 시즌 ====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2위를 기록하며 본인의 첫 쇼트트랙 시니어 국가대표 자격을 얻었다. 하지만, 월드컵 시리즈에서 전 종목 예선 탈락을 하며 큰 활약을 하지 못했다. 다만 [[2019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9 주니어 세계선수권]] 500m에서 파이널 B 1위를 통과하며 5위를 기록하며 본인의 이름을 알렸다. 코너에서 왼팔을 짚을 때 오른팔을 위로 크게 뻗는 폼을 가지고 있었는데 2019년 초반부터 그 폼이 어느 정도 교정되면서 약간의 실력 상승을 이루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좋은 결과를 내며 세계선수권 개인전 참가 자격을 얻었지만, 상술했듯 인라인 세계선수권 준비를 위해 [[마미 비니]]에게 세계선수권 자격을 양보하고 시즌을 끝냈다. ==== 2019-20 시즌 ==== 인라인 세계선수권을 타고 귀국한지 3일 만에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대회에 참가했다. 너무 휴식 기간이 짧고 인라인에서 쇼트트랙으로 넘어갈 때 적응해야 하는 기간도 있어 부진이 걱정되었으나, 지난 시즌보다 훨씬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 대회에서 특별하게 열린 2000m 레이스[* 쇼트트랙에선 정말 흔치 않은 종목이다.]에서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에 이은 2위를 차지하며 본인이 인라인 장거리에서 터득한 체력 안배 방법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쇼트트랙 훈련을 제대로 하지 않았음에도 지난 시즌보다 좋은 모습을 보여 기대를 받았다. 부상 때문에 불참한 [[크리스틴 산토스]]가 빠진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했다. ===== 월드컵 시리즈 ===== 1500m 예선전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선수들을 만나면서 예선 통과 가능성이 매우 희박했으나, 자이델과 장이쩌가 충돌한 틈을 타 3위로 들어오면서 본인의 첫 예선 통과를 이루어 냈고 파이널 B까지 진출했다. 이후 1500m에 자신감이 생겼는지 계속해서 예선에서 통과하고, 3차 월드컵 땐 1500m 준결승전에서는 [[김아랑]], [[서휘민]]과 같은 조가 편성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끌면서 끝까지 떨어지지 않는 레이스를 보여주었다. [[마미 비니]]가 컨디션 난조를 보이면서 계주 1번 주자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자 스토다드가 1번 주자를 맡았는데, 4번 주자 줄리 레테이 --트롤러-- 에서 벌어진 간격을 빠른 랩타임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계속해서 해주었다. 다만 다른 종목에서는 예선에서 계속 탈락했다. ===== [[202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0 주니어 세계선수권]] ===== 1500m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넘어지면서 7위를 차지했다. 500m는 동메달을 차지했고, 1000m에선 은메달을 차지함과 동시에 미국신기록을 세웠다. ==== 2020-21 시즌 ====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3위를 차지하였으나, [[마미 비니]]가 세계선수권 참가를 포기하면서 첫 세계선수권 개인전 참가 자격을 얻었다. 1500m와 1000m는 예선전에서 패널티를 받았고 500m는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 다만 1500m 예선전을 스타트부터 2바퀴가 남았던 시점까지 빠른 랩타임으로 끌면서 본인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 번 휘청이면서 속도가 죽었는데 이 때 휘청이지 않았다면 끝까지 선두를 유지했을 가능성도 있었기에 본인도 아쉬운 심경을 토로했다. ==== 2021-22 시즌 ==== 국내대회에서 본인의 500m 신기록을 세웠다. ==== 2022-23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 1차 1000m(1) 예선에서는 이소연을 제치고 조 1위, 2000m 혼성 계주에서는 중국을 제치며 큰 간격을 벌렸으며 500m 예선에서는 [[심석희]]와 [[다나에 블레]]를 제치고 1위로 조를 통과하였다. 이번 시즌 기량이 상승했다는 평이 많은데, 실제로 이전까지는 결승은 물론이고 준결승 진출도 어려웠으나 1000m(1)에서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해 4위를 기록했고 그 이후 월드컵에서도 꾸준히 결승에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3차 1000m 결승에서 [[심석희]], [[코트니 사로]], [[하너 데스멋]], [[아나 자이델]] 등 과 만나며 결코 쉽지 않은 경기가 예상되었고, 실제로 마지막 순위에서 경기를 펼쳤지만, 마지막에 자이델이 데스멋과의 충돌로 레이스에서 뒤쳐지고 데스멋도 실격을 받으면서 스토다드가 동메달을 받게되었다. * 5차 1000m 준결승에서 스타트를 하는 과정에서 날이 빙판에 걸려 넘어졌으나 재경기 없이 그대로 레이스가 진행되었다. 이후 경기를 마치지 않았으나 중국의 공리가 페널티를 받아 스토다드가 4위를 기록하게 되어 파이널 B에 진출했다. ==== [[202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23 세계선수권]] ==== 개인전 전 종목에 출전했으며 1500m와 500m 모두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각각 7위와 5위를 기록했다. 1000m는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인라인 스케이팅'''}}} || ||<-3>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9 바르셀로나 || 10km 서바이벌 || || 은메달 || 2018 헤르데 || 20km 서바이벌 || || 은메달 || 2019 바르셀로나 || 10km 포인트 || || 동메달 || 2018 헤르데 || 10km 포인트 + 서바이벌 || ||<-3>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width=23]] {{{#white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ffffff 사대륙선수권}}} || || 금메달 || [[202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3 솔트레이크시티]] || 혼성 2000m 계주 || || 동메달 || [[2023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23 솔트레이크시티]] || 3000m 계주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은메달 || [[202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0 보르마이오]] || 1000m || || 동메달 || [[2020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20 보르마이오]] || 500m || [각주] [[분류:미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분류:미국의 인라인 스케이트 선수]][[분류:2001년 출생]][[분류:시애틀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