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코소보)] [include(틀:남유럽의 경제)] [include(틀:코소보 관련 문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Overview_of_the_Pristina_center_from_the_hill.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9px-Kosovo_in_its_region.svg.png]] |||||| 코소보의 경제 정보[* [[http://en.wikipedia.org/wiki/Kosovo]]] || ||인구 ||1,782,115 명[*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 ||[[2019년]], 세계 147위[* 유엔에서 가입하지 못한 나라이므로, 바티칸이나 팔레스타인 같은 유엔 옵서버 회원국까지 포함한 194개국 순위에는 미포함된다.] || ||경제 규모(명목 [[GDP]]) ||88억 1,000만 달러(약 10조 원) ||[[2021년]], 세계 151위[*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 || ||경제 규모([[PPP]]) ||216억 8,000만 달러(약 24조 원) ||[[2012년]], 세계 151위[*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 || ||1인당 명목 [[GDP]] ||4,856 달러 ||[[2021년]], 세계 120위[*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 || ||1인당 [[PPP]] ||11,949 달러 ||[[2021년]], 세계 136위[*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 ||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알수없음. ||[[2011년]][*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 ||[[실업]]률 ||40% ||[[2012년]][* [[http://www.imf.org/external/pubs/ft/scr/2012/cr12100.pdf]]][* [[http://www.telegraph.co.uk/news/worldnews/europe/kosovo/8106058/Kosovo-no-confidence-vote-leads-to-snap-elections.html]]] || [목차] == 개요 == 코소보는 산업화에 진입한 전체적인 유럽의 조류에서 벗어난 국가이다. 미개발된 지역이 많으며 공업적으로 낙후된 농업국이며,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몰도바]]에 버금가는 유럽 최빈국으로 꼽히는 나라다.[* 세 국가 다 1인당 GDP가 세계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명백한 후진국이다.] 2021년 UN 통계 기준으로 코소보의 1인당 GDP는 5,663$, 195개국 중 101위를 기록했는데, 우크라이나(4,596$, 112위)와 몰도바(4,468$, 115위)보다는 다소 낫긴 하나 [[콜롬비아]], [[파라과이]], [[에콰도르]][* 이들은 모두 1인당 GDP가 6000$에 육박하며, 순위도 각각 97위(6,104$), 98위(6,035$), 99위(5,965$)다.] 같은 남미 후진국들과 [[리비아 내전]]으로 경제가 쇠퇴한 [[리비아]](5,791$, 100위)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코소보 산업적 특징을 지리적으로 구분한다면 동부의 천연 광물자원과 서부의 농업이다. 서부에는 양질의 토지가 존재하여 농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기후도 매우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로 농업에는 매우 유리한 기후이다. 한편 동부는 광물과 동력자원이 풍부하고 다양하다. 고대 [[로마 제국]] 시절에도 기록이 남은 코소보의 광물자원은 당시에도 개발이 이루어졌고, 로마시대를 지나 [[중세]]시대에도 코소보의 광물자원을 기반으로 한 노보 브르도 지역의 화폐 주조 산업이 부흥했다. 때문에 주변국들은 그 이득을 독점하기 위해 국가적 분쟁을 일으켰었다. == 산업 구조 == 코소보는 농업국이기에 경제 구조는 1차 산업에 의지한다. 농업에서 탄생하는 생산품과 지역 생산물이 경제산업의 주요 품목이다. 코소보 서부 메토히야 지방은 경작지가 비옥하며, 그 주변에는 비옥한 농경지를 유지하게 만드는 강들이 존재한다. 그 강들은 농경수의 역할을 하는 소규모의 강들로 갈라져 코소보 농업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기후적인 특성도 코소보 농업에 장점 중 하나이다. 코소보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로 양질의 토지와 함께 많은 농산물을 안겨주는 코소보의 자연적 조건이다. 코소보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농산물은 곡물이며 이외에도 땅콩, 아몬드, 포도, 과일 등을 생산한다. 뿐만 아니라 축산업도 존재하는데 소와 양을 중심으로 융성해 있다. 은은 코소보의 대표적인 지하자원이다. 코소보에서 생산하는 은은 양질의 은으로 유명하여 주변 각국에서 수입하는 품목이다. 코소보의 은은 코소보의 경제적 발전을 이끄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코소보에는 갈탄 등의 지하자원도 발달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화력 발전소를 운영한다. 갈탄으로 운영되는 화력발전소는 코소보 에너지 공급 체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들은 주변국에 수출된다. 대표적인 국가가 [[세르비아]]이다. == 여담 == [[유로존]]이 아님에도 따로 자국 화폐를 발행하지 않고 [[유로]]화를 가져다 쓴다[* [[유로]]화가 생기기 전에는 [[독일 마르크]]화를 사용했다.]. [[미국 달러]]를 가져다 쓰는 [[에콰도르]]나 [[엘살바도르]]의 상황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훗날 코소보의 상황이 안정되면 그대로 유로존에 가입할수도 있다. == 관련 문서 == * [[경제학]] * [[국력]] [[분류:유럽의 경제]][[분류:코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