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CostDown-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코스트 다운'''|| || 일어판 명칭 ||'''コストダウン'''|| || 영어판 명칭 ||'''Cost Down'''|| ||<-2> 일반 마법 || ||<-2>패에 있는 몬스터 카드의 레벨을 2레벨 줄인다. 이 효과는 1턴만으로 한다.|| [[유희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의 준결승 듀얼에서 [[카이바 세토]]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준결승 듀얼 중 사용. [[클론 복제|클론 토큰]] 1마리를 제물로 바쳐 레벨 6이 된 [[푸른 눈의 백룡]]을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결승전 직전에 치러진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역시 푸른 눈의 백룡의 제물을 줄이는 데에 사용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부터는 OCG 효과로 등장하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상대한 듀얼 컴퓨터가 사용하여 [[천공기사 파샤스]]를 제물없이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에 발동하여 [[희생의 제물]]과의 콤보로 [[푸른 눈의 툰 드래곤]][* 에라타 전이라 [[툰#툰 쌍둥이 자매 엘프|툰 쌍둥이 자매 엘프]]를 제물로 바쳐서 소환했다.], [[툰 블랙 매지션 걸]], [[툰 데몬]] 등을 연속 소환했다. 이 때 페가수스가 이 카드의 효과를 설명하려다가 카이바가 설명은 필요없다면서 거부하고 자신이 설명을 대신했다. [[유희왕 R]]에서는 역시 카이바가 [[카드 프로페서|윌라 메트]]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또다시 백룡의 제물을 줄이는 데에 쓰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제넥스(유희왕 GX)|제넥스 대회]]에 참여한 [[오딘(유희왕)|오딘 왕자]]가 [[사이오 타쿠마]]와의 듀얼에서 [[새털라이트 캐논]]을 제물 없이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다. [[유희왕 5D's]]에서는 [[히무로 진]]이 [[야나기 텐젠]]과의 듀얼에서 [[도깨비소]]를 릴리스없이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으며, 이후 [[잭 아틀라스]]가 [[다크 시그너]]가 된 [[우시오 테츠]]와의 듀얼에서 덱 파괴를 당했을 때 묘지로 보내지는 것으로도 나왔다. 그 외에도 [[트라고에디아#s-2.1|퍼즐 듀얼에서]] [[신금왕 알렉터]]의 레벨을 낮추는 키 카드로 쓰였다. [[유희왕 VRAINS]]에서는 [[어스(유희왕)|어스]]가 [[G 골렘#G 골렘 록해머|G 골렘 록해머]]의 레벨을 6에서 4로 낮춰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한다. 그리고 록 해머는 OCG화되면서 정말로 이 카드의 효과를 내장하게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コストダウ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코스트 다운, 일어판 명칭=コストダウン, 영어판 명칭=Cost Down,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 패의 몬스터의 레벨을 2개 내린다.)] 최상급 몬스터의 레벨을 낮춰, 릴리스에 필요한 몬스터 숫자를 낮추는 역할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레벨 7, 8은 릴리스 1장. 레벨 5, 6은 릴리스 없이 소환 가능해진다. 재정상 레벨이 내려간 몬스터를 필드에 소환해도 레벨이 둘 내려간 채로 턴 종료시까지 유지된다.[[http://yugioh-wiki.net/index.php?cmd=read&page=%A1%D4%A5%B3%A5%B9%A5%C8%A5%C0%A5%A6%A5%F3%A1%D5&word=%A5%B3%A5%B9%A5%C8%A5%C0%A5%A6%A5%F3|관련재정]] 이 카드가 처음 등장한 DM시절엔 그럭저럭 유용은 했지만 [[사이버 드래곤]]처럼 순식간에 특수 소환하는 카드가 판을 치고, 거기에 어드밴스 소환보다 더 강력한 [[싱크로 소환]]의 등장으로 쓰일 일이 없어지고 있다. 더구나 사실상 상위 호환인 [[고대의 룰]]이 나오면서 그냥 버려지는 신세.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라면 노 코스트로 할 수 있지만 그다지 효율적인 전술은 아니다. 필드에 있던 몬스터가 다시 패로 되돌아간 경우, 그 몬스터의 레벨도 마찬가지로 2개 내려가게 된다. [[이중소환]]이나 [[소환 체인]], 그리고 바운스 카드를 조합시키면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효과를 발동하는 상급 몬스터의 효과를 릴리스 없이 써댈 수 있다. 다만 [[제왕(유희왕)|제왕]] 덱의 경우엔 [[빛의 제왕 크라이스]] 정도를 제외하면 어드밴스 소환을 발동 조건으로 요구하므로 통하지 않는다. [[툰]] 시리즈의 경우, 제 9기에서 재정이 변경되기 전까지 레벨에 따라 [[어드밴스 소환]]처럼 특수 소환시에 필요한 릴리스 수가 정해졌기에 2장 이상의 상급 툰에 이 카드를 적용시키면 본전을 찾을 수 있었고, 3장 이상에 적용시키면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재는 카드마다 릴리스 수가 고정되어버려 이 방법은 쓸 수 없게 되어 후술할 [[빛의 피라미드]]에서 사용하던 전법은 재현이 불가능해졌다. 비슷한 카드로 [[스타 블래스트]]가 있는데 이쪽은 LP가 코스트이며 1장만 가능하다. 이 카드의 일러스트상에서 별이 찔리는 카드는 [[외눈 거인#s-1]]이다. 어차피 레벨 4 몬스터라 쓰는 의미는 없다.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를 이 카드로 레벨을 낮추고 [[청천벽력(유희왕)|청천벽력]]으로 소환한다면?'이라는 생각을 해볼 수도 있겠지만, 아쉽게도 청천벽력은 원래 레벨을 따지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펜듈럼 소환]]의 매커니즘이 공개된 후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카드가 되었다. 패의 카드 레벨을 전체적으로 낮춰 스케일 조정이 쉬워 고레벨 몬스터를 쉽게 뽑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상위 호환인 [[소인의 장난]]이 나오면서 망했다. == 관련 카드 == === 능력조정 === [[파일:card10025848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능력조정, 일어판 명칭=能力調整(パワー・チューン), 영어판 명칭=Level Tuning,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내린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7632|(2014.07.10)]]''' ||'''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레벨 제한 B구역]]이나 [[그레비티 바인드]] 따위의 레벨한정 락 계열 카드를 피하는 용도로는 쓸 수 있다. 그 외에는 싱크로 소환하기에도 엑시즈 소환하기에도 레벨을 맞추기 힘들어서 비추천. 상대가 덱에 레벨 락 카드만을 신뢰한다고 확신할 수 있다면야 넣어서 아쉬울 건 없겠다. 하지만 다른 용도로 눈을 돌려 봐야 쓸데가 없는데, 상기했듯이 싱크로 소환시 레벨조정용으로 쓰려고 해도 죄다 내려버리고 엑시즈 소환도 같은 이유 때문에 쓰기 매우 어렵다. === [[스타 블래스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코스트 다운, version=65)]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