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스트코]][[분류:2017년 기업]][[분류:중국의 유통업체]][[분류:중국의 할인점]][[분류:미중관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코스트코)] [include(틀:코스트코)] ||<-2> '''{{{+2 开市客中国}}}[br]코스트코 홀세일 중국 | Costco Wholesale China''' || ||<-2> [[파일:开市客中国 logo.png|width=70%]] || ||<|3> '''기업명''' ||'''정식''': 开市客(中国)投资有限公司 || ||'''영어''': Costco China Investment, Ltd. || ||'''한국어''': 코스트코(중국)투자 유한공사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설립일''' ||[[2017년]] [[12월 22일]] {{{-2 ([age(2017-12-22)]주년)}}} || || '''대표이사''' ||장슈윈(章曙蕴) || ||<|2> '''주소''' ||[[상하이시]] [[푸둥신구]] 캉신공로 5178 (푸둥점)[br]上海市浦东新区康新公路5178号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开市客(浦东店), 너비=100%)]}}} || || [[#redirect 사업자등록|{{{#FFFFFF '''통일사회[br]신용코드'''}}}]] ||91310115MA1H9LKH77 || || '''자본금''' ||82,822만 달러 || || '''링크''' ||[[https://www.costco.com.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코스트코 중국법인에 대한 내용이다. 대만에서의 한자명이 好市多(Hǎo shì duō)[* 기업명을 번역할때 [[중국어#중국어화|가급적 의미를 부여하여 음역을 하는 중국어]] 특성상 직역하면 "좋은 시장이 많다"라는 뜻이 되는데, 이는 "좋은 일이 많다"를 뜻하는 "好事多"와 발음이 같은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인것과 달리 중국본토에는 开市客(Kāi shì kè)라는 한자명칭으로 진출했다. == 상세 == 대만 시장보다 17년 늦은 2014년도에 [[알리바바]](阿里巴巴)와 합작하여 온라인플렛폼인 티몰국제(天猫国际 Tmall Global)[* 우리가 아는 [[타오바오]](淘宝)와 달리 티몰은 정품만을 취급하는 플렛폼으로 입점이 매우 까다롭다.]에 [[커클랜드]](科克兰) 브랜드를 선보인바 있다. 이후 오프라인 매장은 5년 뒤인 2019년 8월 27일 [[상하이시]] 서부 외곽에 상하이민항점(上海闵行店)을 개업하였는데 개점 3일 만에 10만 명 이상의 유료 멤버십을 유치했을 정도로 시장안착에 성공했다. 30년 전인 1996년 8월 중국시장에 진출하여 맨땅에 헤딩한 끝에 42개 매장, 400만명의 회원을 확보해 창고형 매장의 대명사로 완전히 안착한 [[샘스클럽]]을 예의주시하다 적시에 진출하였다는 평. 그 후에는 [[저장성]]과 [[장쑤성]]의 1~2선도시인 [[항저우]], [[닝보]], [[쑤저우시(장쑤성)|쑤저우]]에 각각 하나씩 매장을 오픈해 [[장강]]삼각주유역을 집중 공략하다가, 2024년 1월 화남지역의 첫 매장이자 [[홍콩]]과 맞닿은 [[선전시|선전]]점(深圳店)을 개업하면서 본격적으로 다른권역으로 진출을 시도중이다. 7월경에는 장쑤성의 성도 [[난징시]]에 매장을 열 계획이다. "회원제 마트 유료 멤버십을 가진 회원"의 이미지가 중국 1~2선 도시에 살며 상당히 높은 수준의 소득과 소비를 지향하는 사람들로 형성되어 있지만, 중국 전체 인구로 봤을 땐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유료회원제에 대해 경험적,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도 [[빌리빌리]] 같은 곳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컬쳐쇼크]]로 받아들여지는지 중국의 당근마켓이라 할 수 있는 시엔위(闲鱼) 같은 플랫폼에선 코스트코나 샘스클럽의 연간 회원비는 내기 싫지만 어떤 분위기인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위해 소액만 내면 입장을 같이 해주는 게시글도 상당히 많다. 2023년 중국 설 연휴 2주 기간에 걸쳐 중국 상하이 1호점이 전 세계 코스트코 매장에서 매출액 1위를 달성한 것이 코스트코 본사 경영진에게 중국 시장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었으며 따라서 향후 코스트코의 공격적인 확장이 펼쳐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 제휴 금융기관 == 1국가 1카드 정책에 따라 1호점 개업 전인 2019년 7월, 핑안은행(平安银行)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었다. [[http://www.linkshop.com/news/2019428004.shtml|#]] 그러나 신용카드보다 양대 간편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支付宝)와 [[위쳇페이]](微信支付) 이용률이 매우 높은 [[현금 없는 사회#중국|중국 시장 특성상]] 알리페이와 위쳇페이로도 결제가 가능하므로, 1국가 1카드 정책이 큰 의미가 없다(...) == 지점 == || '''지점명''' || '''소재지''' || '''개업일''' || || 상하이푸둥점^^본사^^[br](上海浦东店) || [[상하이시]] [[푸둥신구]] || [[2023년]] [[3월 10일]] || || 상하이민항점[br](上海闵行店) || [[상하이시]] [[민항구]] || [[2019년]] [[8월 27일]] || || 쑤저우점[br](苏州店) || [[장쑤성]] [[쑤저우시]] [[후추구]] || [[2021년]] [[12월 8일]] || || 닝보점[br](宁波店) || [[저장성]] [[닝보시]] [[인저우구]] || [[2023년]] [[6월 20일]] || || 항저우점[br](杭州店) || [[저장성]] [[항저우시]] [[샤오산구]] || [[2023년]] [[8월 26일]] || || 선전점[br](深圳店) || [[광둥성]] [[선전시]] [[룽화구(선전시)|룽화구]] || [[2024년]] [[1월 1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