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越中 詩郎''' [br] サムライ シロー[* 사무라이 시로] || || 본명 || 越中 詩郎 || || 생년월일 || [[1958년]] [[9월 3일]] || || 출신지 || [[일본]] [[도쿄도]] [[고토구]] || || 신장 || 185cm || || 체중 || 105kg || || 별명 || 侍戦士[* 사무라이 전사] [br] 孤高の侍[* 고고한 사무라이] [br] ド演歌ファイター[* 도엔카 파이터] [br] エッチューさん[* 에츄상]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 || 주요 커리어 ||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 1회 [br] AJPW 루 테즈 컵 리그 우승 (1983년) [br]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3회 [br]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태그팀 챔피언]] 3회 [br] TOP OF THE SUPER Jr. 우승 (1988년) [br] NJPW 뉴 이어즈 태그팀 토너먼트 우승 (1990년) [br] NJPW 원 나잇 태그팀 토너먼트 우승 (1996년) [br] WAR 월드 6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KO-D 태그팀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힙어택''' [br] '''사무라이 파워밤''' [br] '''사무라이 드리이버 '84'''[* 변형 피셔맨 버스터.] [br] '''월중식 재패니즈 레그롤 클러치''' [br] 저먼 수플렉스 [br] 드래곤 수플렉스 [br] 머슬 버스터 [br] 파일드라이버 [br] 카와즈오토시[* 河津落とし. 상대방의 왼발에 자신의 오른발을 휘감으면서 상대 오른쪽 어깨에 자신의 오른팔을 얹고 함께 뒤쪽으로 넘어져 상대의 뒤통수부터 내리친다. 자이언트 바바가 전수해준 기술이다.] || || 테마곡 || SAMURAI [br] FORTUNE [br] バイオレント・サタデーのテーマ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초등학교 시절 당시 TV로 본 프로레슬링 경기를 통해 충돌의 박력에 아이 마음에 압도되었고, 중학교때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보고 프로레슬링 팬이 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전기공사 관련 회사에 취직해도 프로레슬러의 꿈은 포기할 수 없어 고등학교 시절 야구부 감독으로부터 레슬링 감독을 통해 [[자이언트 바바]]를 소개받고 견습을 거쳐 1978년 7월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한다.[* 야구부 감독과 상의하기로 결심했을 때는 '못할 것이다'라고 도장에의 소개를 거부당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생각을 털어놓자 감독도 과거 프로레슬러 지망생이었기 때문에 꿈을 응원해 주었다.] 훈련기간 중에는 [[점보 츠루타]]에게 훈련을 받아 수동을 매일 500개 가까이 잡고 기초 팔굽혀펴기나 스쿼트를 해냈다.[* 혹독한 연습이었지만 모처럼 감독에게 소개받은 앞으로 내던질 수는 없어 평생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뛰어든 이상 해내기로 했다고 한다.] 입문을 정식으로 인정받고 데뷔전을 가지며 소노다 카즈하루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1개월이나 2개월 경과했을 무렵, 당시 순업으로 매일같이 개최된 배틀로얄에 출전하고, 모모타 요시히로로부터 슈즈를 빌려 출전한 이 배틀로얄에서는, 단지 얻어맞고 내동댕이쳐졌을 뿐이었다, 줄곧 싱글 연패를 하다가 1981년 2월 19일에 벌어진 경기에서 입문한지 늦은 고토 마사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연패에서 탈출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던 중 멕시코 원정을 가게되면서 링네임을 '''사무라이 시로'''로 활동했었고, 사카구치 세이지의 권유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으로 이적한다.[* 1985년 당시에 같이 원정갔던 [[미사와 미츠하루]]는 바바의 호출로 일본에 복귀하며 1990년까지 타이거 마스크로 활약하게 된다.] 아직까지 챔피언 벨트 한번 따보지 못한 코시나카 시로는 1986년에 코브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둬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이후로 [[타카다 노부히코]]와 대립을 형성하며 패해 챔피언 벨트를 뺏기다가 재도전해 탈환하며 통산 2회를 기록한다. 1987년에 공석이 된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두고 [[무토 케이지]]와 팀을 이뤄 리그에 출전해 결승전에서 타카다 노부히코 & [[마에다 아키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IWGP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면서 해외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다른 단체들과도 잠시 연을 맺는다. 2003년 1월에 신일본 프로레슬링과의 계약만료로 인헤 퇴단하고, 그 후로도 FA 신분으로 신일븐 프로레슬링을 포함해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도 경기를 갖는다. WJ에서도 경기를 갖고, [[프로레슬링 NOAH]], ZERO-1에서도 활동하다가 2007년에 멕시코의 [[CMLL]]에서도 경기를 가진다. FA 신분이라 일본에 있는 프로레슬링 단체에는 어디에든 출연이 가능했고, [[DDT 프로레슬링]]에서 6인 태그팀 챔피언 경력을 만든 후로는 챔피언 벨트를 따내지 못하고 다닌다. 그 후 [[레슬링 돈타쿠 2022]]에서 [[타카기 신고]], [[BUSHI]]와 팀을 이뤄 스즈키 군([[잭 세이버 주니어]], [[타이치]], [[타카 미치노쿠]]) 태그팀 경기를 치르기로 한 [[후지나미 타츠미]]가 코로나 19로 인해 출전이 불가능 해지면서 그를 대신해 출전하여 경기장에 나오는데 63세의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정정한 모습 및 노익장의 면모를 보이는데 경기는 타카기가 허를 찔려 패배하였다. 경기 후 같은 팀 선수들 및 관중들의 호응을 받고 퇴장하였다. 2022년 12월 1일, 드라디션에서 DRAGON EXPO 1971이라는 명칭으로 후지나미 타츠미 데뷔 50주년 흥행 경기를 하는데 본인도 출연하여 AKIRA, [[신자키 진세이]]와 함께 [[모치즈키 마사아키]], [[타카이와 타츠히토]], 다나카 마사토를 상대하여 다시 한번 정정한 모습을 보이고 경기 또한 승리하였다. 경기 후 관중의 호응을 받고 퇴장하였다. == 기타 == * [[자이언트 바바]] & 소노다 카즈하루(하루 소노다) & 사카구치 세이지의 제자이다. * 중학교 시절에는 음악에도 열중하고 있었지만, 곡 만들기에 필요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아 음악의 길은 단념했다. * 고등학교 시절에는 야구부에 들어가 2년째는 퍼스트, 3년째는 포수와 레귤러가 되어도 고시엔에 갈 수 없었고, 야구는 단체 경기라서 코시나카 시로는 자기 혼자 경기를 치러 스스로 경기를 책임지는 것을 하고 싶다는 월중의 지향에는 부합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 다인실 시절에 별로 좋아하지 않는 술에 어울려 술에 취해 날뛰는 동료들과 같은 장소에 있게 되었고, 몸집을 키우기 위해 선배의 명령으로 여관 밥통을 무리하게 먹은 것 등 스케줄도 가혹해 심할 때 히로시마 흥행이 끝난 다음날 아키타 링에 오르기도 했다. 데뷔하고 나서라고는 하지만 탈영하고 싶은 일이 몇 번이나 있어, 역의 홈에서 '이동의 전철을 기다릴 때에, 도쿄로 도망가면 얼마나 편할까'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도망치자마자 발견될 것이 뻔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탈주에 이르지 못했다고 했다. * [[점보 츠루타]]가 퇴숙사했을 당시에 선배의 상당수가 해외원정을 가버려 선배들로부터 기숙사를 정리해 달라는 말을 들었고,그 월중에도 잠시동안 목표없이 자이언트 바바를 따라다녔는데 체중 100㎏에 달하면 해외원정을 보내주겠다고 자이언트 바바로부터 약속받고 그를 향해 정진했다. * 프로레슬러 중에서는 양식이 있는 상식인으로 알려져 있다. == 둘러보기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1987년''' [br] 3월 20일 || [[신일본 프로레슬링]][br]스프링 플레어 업 ||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태그팀 챔피언십]] 결정 도전자 결정전[br][[무토 케이지]] & '''코시나카 시로'''(O) vs [[마에다 아키라]] & [[타카다 노부히코]](X) || ||<-5>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width=80]]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노력상}}}]]'''}}} || ||<:> 이시카와 타카시 [br] [[마에다 아키라]] [br] 애니멀 하마구치 [br] (1981) || → ||<#FFFFA1><:> {{{#000000 [[후지와라 요시아키]] }}} [br] '''{{{#000000 코시나카 시로 [br] (1982) }}}''' || → ||<:> [[후치 마사노부]] [br] [[타카다 노부히코]] [br] (1983) || ||<-5>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s-2.6|{{{#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최우수 태그팀 상}}}]]'''}}} || || 학용 콤비 [br] ([[점보 츠루타]] & [[텐류 겐이치로]]) [br] (1983 & 1985) || → || '''월경 태그''' [br] ([[타카다 노부히코]] & '''코시나카 시로''') [br] (1986) || → || 류겐포 [br] ([[텐류 겐이치로]] & 아슈라 하라) [br] (1987) || || 초세대군 [br] ([[미사와 미츠하루]] & [[카와다 토시아키]]) [br] (1991) || → || '''반선수회동맹''' [br] ([[사이토 아키토시]], 키무라 켄고,[br]아오야기 마사시, '''코시나카 시로''') [br] (1992) || → || 초세대군 [br]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 [br] (1993 & 1994)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58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고토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