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yer_20230317.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194996 70%, #194996 80%, #FFFFFF 80%, #FFFFFF 90%, #E71A0F 90%, #E71A0F);font-size: 0.95em" '''{{{#ffffff 수원 삼성 블루윙즈 No. 81}}}'''}}} || ||<-2> {{{#074ca1 '''{{{+1 코즈카 카즈키}}}[br]小塚和季 | Kozuka Kazuki'''}}} || || '''K리그 등록명''' ||'''카즈키''' || ||<|2> '''출생''' ||[[1994년]] [[8월 2일]] ([age(1994-08-02)]세) || ||[[니가타현]] [[미쓰케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신체''' ||173cm, 64kg || ||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 '''주발''' ||오른발 || || '''소속 구단''' ||[[알비렉스 니가타]] (2013~2017) [br] {{{-1 → [[J리그 U-22]] (2014 / ^^임대^^) [br] → '''[[레노파 야마구치]] (2014~2015 / ^^임대^^)''' [br] → '''[[레노파 야마구치]] (2017 / ^^임대^^)''' }}} [br] '''[[방포레 고후]] (2018)''' [br] [[오이타 트리니타]] (2019~2020) [br] [[가와사키 프론탈레]] (2021~2023)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3~ )''' || || '''국가대표''' ||2경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U-18]] / 2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축구 선수]]. [[수원 삼성 블루윙즈]] 소속 미드필더다. == 선수 경력 == === [[J리그]] ===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2년 고향 구단인 [[알비렉스 니가타]]에 특별 지정 선수로 영입되었다. 하지만 거의 출전하지 못하다가 2015년에 임대된 J3리그 [[레노파 야마구치]]에서 33경기 6골 10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J2리그 승격을 이끄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니가타에서는 여전히 자리가 없었고 2017년에 J2리그 야마구치로 다시 한 번 임대되어 이번에도 39경기 8골 6도움을 기록하며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시즌 종료 후 계약 연장 없이 니가타를 떠나 J2리그의 [[방포레 고후]]로 이적한다. 2018시즌 동안 35경기에 출전해 8골 12도움을 기록하며 J2리그에서는 확실히 통한다는 점을 드러냈고 이 활약을 바탕으로 J1리그 승격팀 [[오이타 트리니타]]로 이적한다. 2019시즌에는 35경기에 출전하며 중용받았고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줬으나 1골 2도움에 그치며 아쉬운 스탯을 남겼고, 2020시즌에는 출전 기회까지 줄어들며 8경기 출전 1골 1도움에 그친다. 2021 시즌을 앞두고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이적한다. 2021 시즌에는 주로 로테이션 멤버로 뛰면서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광저우 FC전에서 득점하며 데뷔골을 터트린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중용받지 못하며 9경기 1골 3도움에 그친다. 2022 시즌에는 이전 시즌보다는 중용됐으나 17경기 출전에 그쳤다. 다만 공격 포인트는 1골 3도움으로 출전 시간 대비 준수했다. 2023 시즌에는 등번호를 49번으로 바꿨다. J리그컵에서 4경기에 출전해 1도움을 기록했으며, J1리그에서는 5경기, 천황배에서 1경기 출전했다. 리그 18라운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전에서 투입 4분 만에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며 7월 3일 경기까지 결장한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23년 7월 2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한다는 단독 기사가 일본에서 나왔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ed1758993fc26ca361b3cc414a9a939538d0ce7c|#]] [[다카하라 나오히로]], [[사이토 마나부]] 이후 수원에서 뛰게 되는 3번째 일본 선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 미드필더 선수로써 수원에서 뛰는 건 최초다. 그 전에 뛰었던 [[다카하라 나오히로]], [[사이토 마나부]]는 공격수였다.] 7월 8일 수원은 카즈키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등번호는 81번을 배정 받았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2023년|2023 시즌]] ==== 21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서 선발 출전하며 바로 [[K리그1]]에 데뷔했다. 수비적으로는 아쉬웠으나[* 애초에 J리그에서도 수비력에서 지적을 많이 받았다.] 장점인 패스 능력을 잘 보여줬으며 무난하거나 꽤 괜찮았다는 평가를 받고 81분 [[유제호(2000)|유제호]]와 교체되었다. 팀은 2:2 무승부. 22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압도적인 키패스로 포항을 위협하였는데, 후반전 [[전진우(축구선수)|전진우]]에게 향한 쓰루패스가 [[하창래]]의 퇴장을 유도했고, 이 때 얻은 프리킥을 [[페이살 뮬리치|뮬리치]]가 깔끔하게 선제골로 마무리하였다. 하지만, 이후에 포항의 일방적인 공격에 수원 수비진이 흔들렸고 결국 PK를 내주면서 [[제카(축구선수)|제카]]에게 PK동점골을 내주어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 경기 결과와 별개로 수원 팬들은 현재 카즈키의 MVP급 활약에 감탄하고있다. 현재 수원에서 유이하게 전진 패스를 뿌려줄 수 있는 선수가 카즈키이며, 카즈키의 체력 상태가 곧 수원 경기력의 중요 포인트가 되고 있다. 23라운드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수원의 공격을 진두지휘하며 3:1 승리를 이끌었다. 특히 전진우의 선제골 기점이 되는 킬패스를 넣어주었고[* 사실 빈공간에 절묘하게 찔러넣긴 했지만 패스 강도 조절 실패로 라인 아웃 되기 직전이던 볼을 정승원이 뛰어들어가 잘 살려낸것이었다.] 이후에도 수원의 공격찬스를 대부분 만들어내며 올 시즌 수원의 시즌 판도를 바꿀만한 성공적인 영입이라는 찬사를 듣고 있다.[* 당장 이 경기 이후로 카즈키의 마킹지가 품절되었고 마킹 신청자의 9할이 카즈키 마킹이었다는 팬샵 직원의 정보가 있었다. 입단한지 불과 10일 남짓 된 선수임에도, 그만큼 영향력이 어마무시하다는 뜻.] 24라운드 강원 원정에서는 상대의 맨투맨 마크에 여러차례 봉쇄당하며 이전 경기에 비해서는 활약상이 다소 줄었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파트너로 나온 고승범이 프리롤처럼 미쳐날뛰는 효과로 이어졌고, 결국 팀은 2:1로 승리하였다.[* 고승범이 박투박 형태로 움직이며 공격에 가담한 결과, 결승골까지 넣었다.] 고승범과 짝을 이루면서 영입 초반부터 훌륭한 시너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의 경기력도 기대해 볼만한 모습을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4경기에서 보여준 활약에 힘입어, 입단한 지 불과 한달 만에 팬들이 뽑은 '''도이치모터스 7월 MVP'''에 선정되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18&aid=0005542587|#]] 25라운드 [[수원 더비]]에서는 전반 초반 이승우의 도발 작전에 휘말린 데다가, 경기 내내 패스 루트를 차단당하며 사실상 아무 활약도 하지 못 했다.[* 이승우가 옐로카드까지 감수하고 도발을 했다. 더군다나 이 전 카드가 3장이던지라 다음 경기 5장 트러블까지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에서 그랬단 것은 단순 개인의 판단이 아닌 벤치의 지시로 보인다.] 또 카즈키가 막히자 수원은 제대로 된 공격작업은 거의 하지 못 했고 전체적인 경기력 또한 매우 무기력했기에, 카즈키가 봉쇄당했을 때의 플랜B를 하루빨리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26라운드 [[전북 현대]] 원정에서는 전반 30분 코너킥 상황에서 정확한 크로스를 올려 [[한호강]]의 선제 헤더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27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경기에서는 수원 더비보다 낫긴 했지만 여전히 압박에 맥을 못 추는 모습이었으며, 그래도 몇 차례 킬패스를 보여주며 제 몫은 했다. 28라운드 [[광주 FC]]원정에서는 팀이 경기 내내 반코트 경기를 당하는 등 맥을 못 추면서 카즈키 역시 별다른 존재감을 보이지 못 했다. 팬들도 이젠 고승범과 카즈키 중원 조합에 대한 파훼법이 나온 것 같다며,[* 심지어 고승범이 이날 후반에 안면에 충격을 입고 교체아웃되는 큰 부상을 입어, 당분간 이 조합을 보는 것 자체가 어려워졌다.] 새로운 중원 조합을 구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31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선 후반 12분에 [[이종성(축구선수)|이종성]]의 패스를 받아 강력한 슈팅으로 때려넣으며 추격골이자 '''K리그 데뷔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더 이상 추격하지 못한채 경기 막판에 티아고에게 쐐기골을 맞고 참패했다. 그리고 이 경기 후 김병수 감독이 갑작스레 지휘봉을 내려놓게 되면서 카즈키의 골이 김병수 체제의 마지막 골이 되었다. 경기가 끝난 이후 서포터석에서 팬들에게 미안했는지 눈물을 흘리고 락커룸으로 돌아갔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LGCm-aE0imM)] 전형적인 일본인 플레이메이커 스타일의 선수다. 공격형 미드필더, 세컨드 스트라이커 자리에서 주로 뛰었지만 그보다 낮은 볼란치 위치에서도 뛸 수 있다. 장점은 패스 능력이 꼽히며, 노룩패스나 반대전환 패스 등 팀의 공격작업에 있어 창의성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이때 스피드는 미드필더 치고 평범한 수준이지만, 팀에 방해될 정도는 아니다. 관건은 173cm에 64kg라는 왜소한 피지컬로, 몸싸움과 압박이 J리그와는 비교되지 않는 K리그에서 템포 적응을 할 수 있느냐가 문제다. 일단 패스는 J리그에서도 수준급 이상임을 증명했으니 문제 없어 보이지만 전에 한국에 왔던 마나부도 한국의 몸싸움과 템포를 적응하지 못하고 재계약에 실패했는데 카즈키가 과연 마나부를 선례로 삼아 적응할지 미지수.[* 같이 뛰게 될 고승범은 작은 몸에 비해 피지컬이 좋아 부딪히는 걸 마다하지 않는다.] 다만 마나부보다는 키가 크고[* 반대로 체중은 마나부가 더 나간다.] 나이도 젊기 때문에 벌크업을 통해서 체격을 키우면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은 있다. 단점은 수비력으로, 포백 보호를 맡기는 볼란치를 맡기면 좋은 모습이 아니며 대인수비 또한 아쉬운 모습이라는 것. 이런 문제 때문에 J1리그 팀에서는 보통 로테이션으로 후반에 교체 투입되는 선수로 자리잡았지만, J2리그에서는 주전으로 뛰었다.[* 수원 삼성의 경우 김주원, 한호강이라는 좋은 커맨더들이 있지만 당시에는 커맨더들이 모자랐거나 지금보다 훨씬 수비적인 임무를 맡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에서도 좋지 못했던 수비가 한국이라고 나아질 리는 없다 보니 일단 김병수가 수비 부담을 없애 준 것으로 보이나, 경기를 자세히 보면 여전히 티가 날 정도로 수비력은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한다. 또 다른 단점은 거센 압박에 대단히 약해, 조금만 압박이 들어오면 바로 지쳐 버린다는 것이다. 본인은 일본보다 한국이 패스 주기 더 편하다고 한다.[[https://v.daum.net/v/20230818080003025|#]] 아무래도 패스 길을 끊는 조직적인 축구를 하는 일본에 비해서는 편할 수밖에 없다. 단 분석이 된 이후에는 어떻게 될 지 모르는 상황.[* 거센 압박에 맥을 못 추며 패스길이 다 막힌다.] == 여담 == * 동생 코즈카 유키는 [[일본 지역 축구 리그]] 간사이 리그 소속 구단인 오코시야스 교토 AC에서 뛰고 있다. * 같은 수원 소속의 [[고승범]]과 매우 닮았다. 심지어 나이도 같고 키도 1cm 차이이며 포지션까지 유사하다. * 목소리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lEcDHOhQhGc|#]] * 카즈키가 입단하기 전인 2023년 [[K리그 2]]에서 [[부천 FC 1995]]에 [[타카하시 카즈키(축구선수)|이름이 같은 축구 선수]]가 입단했다. 다만 부천의 카즈키는 등록명이 키를 뺀 '''카즈'''이다.[* 심지어 둘의 주 포지션도 매우 유사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원 삼성 블루윙즈/로스터)] [[분류:1994년 출생]][[분류:미츠케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2013년 데뷔]][[분류:알비렉스 니가타/은퇴, 이적]][[분류:J리그 U-22 선발/은퇴, 이적]][[분류:레노파 야마구치/은퇴, 이적]][[분류:방포레 고후/은퇴, 이적]][[분류:오이타 트리니타/은퇴, 이적]][[분류:가와사키 프론탈레/은퇴, 이적]][[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현역]][[분류:K리그/역대 아시아 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