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계획취소)] [include(틀:적자 83선)] [include(틀:특정지방교통선)] [[파일:코힌선.png]] [목차] == 개요 == 1985년 폐선된 일본 홋카이도 코힌 만을 종단할 예정이던 선로이다. 당초에는 종단노선을 계획하였지만 코힌난선과 코힌호쿠선으로 분단된 채 폐선에 이르게 되었다. == 역사 == 1935년에 코힌난선이, 1936년에 코힌호쿠선으로 개업했지만, 태평양 전쟁의 격화에 의한 1944년 11월에 [[불요불급선]]으로서 휴지됐다. 종전 후인 1945년 12월에 휴지 구간은 복구 후 영업이 재개되었다. 미완성 구간 중, 오무-키타미 간은 거의 노반이 완성되어 있었고, 나머지 구간도 일부는 착공해서 시공중이었고, 그 외 일부 구간에 대해서도 "신칸센의 내한성 시험선로"로 2년간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후 재래선으로 전용하는 식으로 건설하려 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호쿠선과 난선 모두 그 상태에서 승객 수는 계속 줄어만 갔다. 결국 1980년의 국철재건법 시행에 따라 호쿠선과 난선 모두 [[특정지방교통선]]에 선정되었다. [[미성선]]이던 오무-키타미에사시 간의 건설도 동결 및 중지되고 이미 건설된 구조물도 방치되었다. 연선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오호츠크 해]] 종관 철도 구상" 등으로 전 구간 개업을 통한 존속을 시도했지만, 수익성이 없다 보니 결국 포기하고 1985년 7월에 폐지 후 버스로 전환되었다. 호쿠선·난선이 운행하던 당시는 남북 양선의 끝인 [[오무역]]과 [[키타미에사시역]] 사이 빈 공간을 소야 버스가 연결해주고 있었다. 그리고 이 두 노선과 연결되어 있던 호쿠선측의 [[텐포쿠선]] 및 난선 측의 [[나요로 본선]] 모두 [[특정지방교통선]]에 다같이 선정되었고, 1989년에 이들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역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코힌호쿠선의 역 목록에 대한, 문서명=코힌호쿠선)]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코힌난선의 역 목록에 대한, 문서명=코힌난선)] ||<-5><:>{{{#ffffff '''일본국유철도 코힌나카선'''}}}|| ||<:>{{{#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 [[키타미에사시역|키타미에사시]][br]北見枝幸 || 0.0 || [[일본국유철도]] [[코힌호쿠선]], [[비코선]] ||<|8> 에코시군[br][[에사시초]] || || [[미나미에사시 신호장]][br]南枝幸信号場 || 3.0 || [[비코선]]과의 실제 분기점 || || [[오카시마역|오카시마]][br]岡島 || 9.1 || || || [[토쿠시베츠역|토쿠시베츠]][br]徳志別 || 12.7 || || || [[키타미야마우스역|키타미야마우스]][br]北見山臼 || 16.7 || || || [[옷츄베역|옷츄베]][br]乙忠部 || 21.9 || || || [[후렛푸역|후렛푸]][br]風烈布 || 27.1 || || || [[키타미오토시베역|키타미오토시베]][br]北見音標 || 33.0 || || || [[에다에사시역|에다에사시]][br]枝枝幸 || 38.8 || ||<|5> 몬베츠군[br][[오무초]] || || [[키타미호로나이역|키타미호로나이]][br]北見幌内 || 41.1 || || || [[키타미오토이넷푸역|키타미오토이넷푸]][br]北見音稲府 || 44.5 || || || [[모토이넷푸역|모토이넷푸]][br]元稲府 || 48.7 || || || [[오무역|오무]][br]雄武 || 51.5 || [[일본국유철도]] [[코힌난선]] ||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1985년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계획이 무산된 일본의 철도 노선]][[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