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바그라티온 왕조 군주)] ||<-3><#900020> '''{{{#FFF 카헤티 왕국 12대 군주}}}''' [br] {{{+2 {{{#FFF '''კონსტანტინე | 콘스탄틴 2세'''}}}}}} || ||<|4><#900020> '''{{{#FFF 제호}}}''' ||<#900020> '''[[한국어|{{{#FFF 한국어}}}]]''' ||콘스탄틴 2세 || ||<#900020> '''[[조지아어|{{{#FFF 조지아어}}}]]''' ||კონსტანტინე II || ||<#900020> '''[[라틴어|{{{#FFF 라틴어}}}]]''' ||Constantine II || ||<#900020> '''[[이란어|{{{#FFF 이란어}}}]]''' ||მაჰმად ყული-ხანი || ||<-2><#900020> '''{{{#FFF 가족}}}''' ||[[헤라클리오스 1세]](아버지)[br][[다비트 2세(카헤티)|다비트 2세]][br][[테이무라즈 2세]](이복 형제)[br]엘레네(이복 누이)[br]케테반(이복 누이)[br]마리암(이복 누이)[br]케테반-베굼(이복 누이)[br]페레얀 베쿰(아내)[br]바그라트(아들) || ||<-2><#900020> '''{{{#FFF 생몰 년도}}}''' ||미상 ~ 1732년 || ||<|4><-2><#900020> '''{{{#FFF 재위 기간}}}''' ||1722년 ~ 173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헤티 왕국]] 12대 군주. == 생애 == 카헤티 왕국 10대 군주 [[헤라클리오스 1세]]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인의 [[사생아]]이다. 이복형제로 [[다비트 2세(카헤티)|다비트 2세]], [[테이무라즈 2세]]가 있었고, 이복 누이로 엘레네, 케테반, 마리암, 케테반-베굼이 있었다. 일찍이 아버지를 따라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마흐메트 쿨리 칸(მაჰმად ყული-ხანი)이라는 이름을 받고 [[사파비 제국]]의 수도 이스파한에서 페르시아 교육을 받았다. 1703년 아스파한의 지사로 임명되어 수년간 활동했다. 1722년 이복 형제인 [[다비트 2세(카헤티)|다비트 2세]]가 사망한 뒤 카헤티 왕으로 선임되었다. 이와 동시에 카라바흐, 간자, 예레반의 통치를 맡았다. 그는 사파비 제국의 충실한 가신이었으나, 이웃 나라인 [[카르틀리 왕국]]의 [[바크탕 6세]]가 사파비 왕조의 통치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에 갈등을 벌였다. 1723년 바크탕 6세가 폐위되었을 때, 그는 카르틀리 왕이라는 칭호를 얻고 카르틀리에 진군해 [[트빌리시]]를 공략했지만, 바크탕 6세와 아들 바카르 1세가 카르틀리 상부 일대를 장악하고 항전하는 걸 막지 못했다. 얼마 후 [[오스만 제국]]이 동부 조지아를 침공하자, 그는 경쟁자 바크탕 6세와 화해하고 공동으로 오스만 제국에 맞섰다. 바크탕 6세는 1724년 오스만 제국의 공세에 못 이겨 바카르 1세와 함께 러시아로 망명했지만, 그는 끝까지 항전했다. 1725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협약을 맺고 카헤티 왕을 이어가되 [[수니파]]로 개종하기로 했다. 그러나 1730년경 [[나디르 샤]]가 오스만 제국을 물리치고 코카서스 일대에 대한 이란의 지위를 회복하기 시작하자, 그는 오스만 제국과 결별했다. 1732년 12월, 오스만 제국군 사령관 유수프 자켈리가 카헤티 왕국을 침공한 뒤 협상을 요구했다. 그는 이에 응해 그를 만나러 갔다가 도중에 암살당했다. 사후 이복 동생 [[테이무라즈 2세]]가 뒤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생전에 이란 귀족 여인 페레얀 베굼과 결혼하여 바그라트를 낳았다. 그가 죽은 뒤 페레얀 베굼과 바그라트가 어찌 되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분류:바그라티온 가문]][[분류:카헤티 국왕]][[분류:1732년 사망]][[분류:암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