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장비류/보조무기)] [include(틀:모던 워페어 III)] [include(틀:워존 2.0)] [목차] == 개요 == 모던 워페어 III의 런처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 MWIII == 본작 전용 런처는 레벨 업으로만 해금 가능한 RGL-80 유탄발사기가 끝이며, 기본 사용 가능한 항공기 격추용 런처는 전작에서도 나온 PILA가 제공된다. === RGL-80 === 1편부터 꾸준히 모습을 비췄으나 워존과 같은 다른 게임 모드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유탄발사기로 본작에서 드디어 멀티플레이에 등장하였다. [[모던 워페어 3]]의 XM25, M320 이후로 모던 워페어에는 간만에 등장하는 스탠드얼론 유탄 발사기이다. 반자동으로 6발의 유탄을 쏴갈길 수 있는 유탄발사기인데, 차탄 발사까지의 텀이 길고 재장전할 여분의 탄을 주지 않아 6발로 끝이다. 거리가 조금만 멀어져도 두발 킬은 커녕 3발킬이 뜨고 EOD 패딩을 입은 적 상대로는 더욱 더 위력이 떨어지는 처참한 위력을 지닌다. 적에게 정통으로 맞추는 것은 사거리 불문 일격필살이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이것을 맞고 죽으면 굉장히 기분이 더럽게 된다. == MWII == === [[베르바#러시아군의 맨패즈 9К333 «Верба»|PILA]]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PILA.png|width=100%]]}}}|| ||<-5> ''자유 발사가 가능한 휴대용 적외선 지대공 미사일 발사기 입니다. 고속 비행이 가능한 자체 추진 미사일을 사용하며, 폭발 반경은 보통입니다. '' || 스투보 탁티체스킴제 대공 미사일 발사기. 실제 모델은 [[러시아군]]의 [[맨패즈]] 중 하나인 [[베르바#러시아군의 맨패즈 9К333 «Верба»|9K333 베르바]]. 본작은 신규 로켓 발사기가 없다보니 MWII를 하지 않았더라도 PILA는 기본으로 제공된다. 맨패즈가 원본이지만 지상 목표도 타격이 가능하다. 락온 없이도 바로 발사가 가능하고 폭발 범위까지 준수한 게 장점. 그러나 조준부터 발사까지 걸리는 사격 시간이 매우 길어 대인용으로 무작정 쏘기에는 부담스럽다. 조준경의 배율은 무척이나 높은데, 탄속이 있는 미사일이라서 이걸로 저격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쓸데없이 목표물을 포착하는 데에 장애요소만 된다. 게다가 대부분 필라를 쓸 상황이면 더 좋은 게 많다 보니 장점에 비해 단점이 너무 세서 중화기 중 입지는 가장 최악이다. 따라서 UAV 격추 셔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심지어 마스터 챌린지는 전작에 이어 여전히 킬스트릭 격추가 아닌 사람 사살이라서 UAV 격추에 맛들린 것이 아니라면 더더욱 들 이유가 없다. === [[FGM-148 재블린|JOKR]]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JOKR.png|width=100%]]}}}|| ||<-5> ''JOKR로 이동 수단의 장갑이 취약한 곳을 노리십시오. 자유 유도 방식의 런처로 휴대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강력한 화력을 투사 할 수 있습니다.'' || 전작에서도 등장한 크로넨제 미사일. 실제 모델은 [[FGM-148 재블린]]이다. PILA보다 긴 3틱 유도시간에 항공기 상대로 직접 사격을 지원하지 않고 탑 어택으로 내리꽂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경전차의 체력의 3분의 1을 날려버리는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거기다 보병들이 밀집한 지역에 수동으로 발사하여 박격포처럼 운용해도 문제가 없다. === [[RPG-7]]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RPG-7.png|width=100%]]}}}|| ||<-5> ''보병대의 발사기로 큰 피해를 주는 로켓 추진식 유탄을 발사합니다. 수동으로 조준해야 합니다.'' || 스투보 탁티체스킴(Barrel Tactical, Ствол Тактическим)제 로켓포. 실제 모델은 [[RPG-7]]이다. 매 시리즈에 개근하는 알라의 요술봉으로, 전작과 달리 탄두를 꽂고 방아쇠 뒤의 공이를 당기는 재장전을 충실하게 재현한 덕분에 재장전 속도가 느려저 여러 발을 빠르게 쏘는 건 불가능해졌다. 다만 특유의 넒은 폭발범위와 근거리전에 적합한 무배율 기계식 조준기는 어디 안 가서 아직도 대인용으론 이만한 게 없다. 단점으로는 정확도. 제대로 조준하고 쏘더라도 이상한 데로 휘는 탓에 엉뚱한 벽을 맞춰 킬각을 놓치거나, 내 바로 앞의 벽에 맞는 등의 억까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난다. ===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칼 구스타프 M4|스트렐라-P]]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Strela-P.png|width=100%]]}}}|| ||<-5> ''무반동 라이플에서 피해량은 낮지만 이동 수단에 강력한 파괴력을 발휘하는 고속 초정밀 미사일을 발사합니다.'' || 크로넨제 무반동총. 실제 모델은 [[스트렐라]]-P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사브#사브 SAAB AB|사브-보포스 다이내믹스]] 사의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칼 구스타프 M4|칼 구스타프 M4]]이다. 폭발범위가 극도로 작아 사실상 저격포로 사용해야 한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더블 킬 챌린지를 깰 수가 없어 한 명을 근접 공격으로 때려잡고(…) 재빨리 다른 한 명을 쏘는 방법이 정석으로 통용될 정도이다. 거기에 킬스트릭 대상 대미지도 형편없고[* 대표적으로 호버젯을 격추하는 데에는 6발이나 요구된다.] 명색이 발사체가 아닌 포탄을 쏘는 무반동총인데도 트로피 시스템에도 막히는 등 너프란 너프는 모조리 먹었다. 여전히 포지션은 저격포로써, 거리가 멀어지면 낙차를 잘 계산해서 쏴야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보조무기, version=360)] [[분류:콜 오브 듀티 시리즈/장비류]][[분류: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분류:콜 오브 듀티: 워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