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미국 대표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luge_TOR_2023.png|width=100%]]}}} || ||<-2> {{{#fff '''오버워치 월드컵 미국 국가대표 No.7'''}}} || ||<-2> '''{{{+1 Coluge}}}''' || ||<-2> {{{#fff '''콜린 아라이 (Colin Arai)'''}}} || || '''출생''' ||[[1999년]] [[12월 1일]] ([age(1999-12-0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ID''' ||'''Coluge''' Higan Arai Colugeisback Cucumber BO0G3RSN0T FortniteFish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TANK || || '''주 영웅''' ||[[D.Va|[[파일:D.Va 초상화.png|width=30]]]] [[자리야|[[파일:자리야 초상화.png|width=30]]]] [[시그마(오버워치)|[[파일:시그마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wiki style="margin: 0 -10px -1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AnimeIsReal (2017) Fractal Esports (2018) GOATS (2018.??.?? ~ 2018.06.24) GOATS (2018.08.18 ~ 2018.10.13) [[Second Wind|[[파일:SECONDWIND.png|height=20]] Second Wind]] (2018.11.16 ~ 2018.12.18) GOATS (2019.03.19 ~ 2019.03.26) Wave Check (2019.04.01 ~ 2019.07.30) ''은퇴'' (2019.07.30 ~ 2020.01.10)}}}}}} [[Second Wind|[[파일:SECONDWIND.png|height=20]] Second Wind]] (2020.01.10 ~ 2020.06.28) [[파일:American Tornado.png|height=20]] American Tornado (2020.08.14 ~ 2021.02.18) ''은퇴'' (2021.02.18 ~ 2021.03.19) spackle academy (2021.03.19 ~ 2021.03.29) [[파일:Ardour 2020.svg|height=20]] Ardour (2021.03.29 ~ 2021.04.16) [[파일:Darkmode_black.png|height=20]] DarkMode NA (2021.04.17 ~ 2021.05.21) [[파일:Darkmode_black.png|height=20]] DarkMode NA (2021.07.09 ~ 2021.08.12) [[파일:Bobby Wasabi logo.png|height=20]] Bobby Wasabi (2021.08.26 ~ 2022.01.14) [[파일:Maryville Esports logo.png|height=20]] Maryville Esports (2022.01.14 ~ 2022.04.10) [[샌프란시스코 쇼크|[[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20]] '''샌프란시스코 쇼크''']][br]'''(2022.03.28 ~ 2022.11.12)'''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br](2023.01.25 ~ 2023.10.16) || || '''국가대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ucumberColuge, 크기=20)] [[https://twitch.tv/higanow|[[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컬러지11.jpg|width=100%]]}}} || || {{{#a5acaf '''Colin "Coluge" Arai'''}}} || [[토론토 디파이언트]] 소속 탱커. '33 메타'의 창시자인 GOATS의 주역으로 활동했으며, 여러 컨텐더스 팀을 전전하다 슈퍼의 대체자로 영입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처음엔 우려가 상당히 컸는데, 리그 경력도 제로인 루키인데다 순수 서브탱커 출신인 탓에 제아무리 프로급이라도 그 넓은 폭을 1인 소화로 메꾸기엔 개인 요소와 별개로 개성적인 스타일은 물론이오 갈고 닦아온 고유의 역량이 아주 강한 팀원들 사이에서 낙오되진 않을까 하는 시선이 있었으나 '''그것은 단순한 기우였다(...).''' 자리야가 필요한 스테이지에서는 자리야, 일리오스가 걸리진 않았으나 필요하면 D.Va도 얼마든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윈스턴 실력은 스탯 상 상위권이라 전혀 나쁘지 않다. 러쉬에서도 라인하르트 실력은 무난할 것으로 점쳐질 만큼 범퍼, 마블이 1세대라면 오버워치 2에서는 Someone, Hanbin, Smurf와 더불어 2세대 올라운더 탱커의 지평을 열어준 4대 선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단점으로 전임자인 슈퍼와 스머프를 대신해 급히 투입된 선수인 탓에 진입각 면에서 상당히 불안정성이 두드러지는데 공격적 딥다이브 탓에 힐러진과의 이격이 잦아 죽는 빈도가 높고 쇼크가 무너지면 보통 콜루지의 진입 미스가 대부분일 만큼 다소 빈틈이 존재한다. 특히 핀이 콜루지를 구하려다 겨우 살아돌아가거나 Viol2t이 이속 구출 후 힐 전환을 하려다 잘리는 그림이 나오는 면에선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정커퀸 메타에서도 수준급의 정커퀸을 보여주면서 썸머 쇼다운 우승을 차지하는가 했으나... 같은 서부리그의 [[최한빈|어나더레벨 정커퀸]]에게 그야말로 서열정리를 당하며 준우승에 머무르게 된다. 콜루지도 부진했던 것은 아니었고 상당히 좋은 정커퀸 폼을 보여주었으나 한빈의 퍼포먼스가 워낙 넘사벽 수준이었기에... 콜루지와 쇼크로서는 아쉬운 준우승이 되었다. == 수상 경력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22 오버워치 리그/미드시즌 매드니스|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준우승''' || || [[필라델피아 퓨전]][br] [[댈러스 퓨얼]]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서울 다이너스티]][br]'''샌프란시스코 쇼크''' || ||<-5>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준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2 오버워치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 || [[애틀랜타 레인]]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