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ey)]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Kud_After_Title.png|width=80%]]||{{{#010101 '''{{{+3 {{{#CD853F 쿠}}}{{{#A6E657 드}}} {{{#F08080 와}}}{{{#87CEFA 후}}}{{{#9932CC 타}}}}}}'''[br]{{{#CD853F ク}}}{{{#A6E657 ド}}}{{{#F08080 わ}}}{{{#87CEFA ふ}}}{{{#9932CC た}}}{{{#FAE7A6 ー}}}[br]{{{#69D567 K}}}{{{#EEBF6E u}}}{{{#69D567 d}}}{{{#8A81BB -}}}{{{#69D567 W}}}{{{#EEBF6E a}}}{{{#69D567 f}}}{{{#EEBF6E t}}}{{{#69D567 e}}}{{{#EEBF6E r}}}}}}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key.visualarts.gr.jp/top_kudowaff_bg2.jpg|width=100%]]}}}|| || '''개발''' ||[[Key(브랜드)|Key]] || || '''유통''' ||[[비주얼 아츠]][br][[프로토타입(기업)|프로토타입]] ,,(PSP, PS Vita),,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Blu-ray Disc]][br][[PlayStation Portable]] | [[PlayStation Vita]] || || '''장르''' ||[[연애 어드벤처]] || || '''출시''' ||'''PC'''[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0년 6월 25일[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2013년 6월 28일 ,,(전연령판),,[br]'''Blu-ray'''[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3년 3월 29일[br]'''PSP'''[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3년 5월 9일[br]'''PS Vita'''[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2013년 12월 19일 || ||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 || ||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해외 등급''' ||'''[[컴퓨터 소프트웨어 윤리 기구|{{{#000000,#dddddd EOCS 18금}}}]]'''[br]'''[[컴퓨터 소프트웨어 윤리 기구|{{{#000000,#dddddd EOCS 전연령}}}]]''' ,,(전연령판),,[br]'''[[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C}}}]]''' ,,(Converted Edition),, || || '''관련 사이트''' ||[[http://key.visualarts.gr.jp/kudo/ex/|[[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성인판),, [[https://key.visualarts.gr.jp/ku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전연령판),,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제작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획'''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 '''원화''' ||[[Na-Ga]][br][[히노우에 이타루]] || || '''시나리오''' ||시로키리 치카(城桐央) || || '''시나리오[br]어시스턴트''' ||카이[br][[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br]하사마(ハサマ) ,,(전연령판),, || || '''음악''' ||시미즈 준이치(清水淳一) || || '''음악 감수''' ||[[마에다 준]] || || '''이그제큐티브[br]프로듀서''' ||[[바바 타카히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쿠드가 '기다린다'───.''' >'''(クドが"待ってる"───。)'''[* 성인판 캐치프라이즈.] >---- >'''──쿠드와 보내는 여름이 시작된다.''' >'''(──クドと過ごす夏が始まる。)'''[* 전연령판 캐치프라이즈.] 2010년 6월 25일에 발매된 [[Key(브랜드)|Key]]의 [[에로게]]이자 [[리틀 버스터즈!]]의 [[팬디스크]]. 같은 회사에서 2007년 7월 27일 발매한 [[리틀 버스터즈!]]의 [[스핀오프]]로, 히로인중 한 명인 [[노우미 쿠드랴프카]]를 메인 히로인으로 내세우고 있다. 제목의 유례는 쿠드의 말버릇인 "와후"와 "애프터(After)"의 합성어.[* 당시 마에다 준이 "타이틀이 (쿠드 애프터라면 싫지만) 쿠드 와후타라면 허락한다"는 말에서 비롯됐다.] 영문 표기를 따라 '쿠드 와프타'라고 읽는 사람도 있다.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세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리틀 버스터즈!]] 본편의 등장인물들 역시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본편은 Wafter과 After편으로 나뉘어져 있다. Wafter편은 쿠드를 중심으로 한 일상 스토리에 맞춰져있으며, After편은 초반에는 Wafter편에서 일부 이벤트를 추가한 정도의 차이지만 Wafter 이후의 이야기까지 다루고 있다. 컨버티드 에디션 이전에는 Wafter를 클리어한 후 After에서도 초반 스토리를 다시 봐야했지만 현재는 Wafter가 끝난 후 바로 After만의 스토리로 넘어간다. 개발 스태프 발표 당시의 원화는 [[Na-Ga]] 뿐이라고 전해졌으나, [[후타키 카나타]]와 [[아짱 선배]]의 비주얼을 [[히노우에 이타루]]가 맡게 되었다. 스태프롤에는 리틀 버스터즈!처럼 공동 원화로 표기된다. 음악 담당의 시미즈 준이치는 쿠드 와후타가 데뷔작이다. [[마에다 준]]은 음악 감수만을 맡았다. 여러 가지로 같은 회사의 [[토모요 애프터]]와 비슷하다. 팬디스크, 에로게, 메인 히로인이 주인공보다 1살 어림 등. 그러나 발매 동기에는 차이가 있다. 토모요 애프터는 마에다 준이 클라나드 작업 완료 후 남은 시간 동안 쓴 개인적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쿠드 와후타는 노우미 쿠드랴프카의 높은 인기에 힘입어서 발매되었다. 2013년 5월 9일에 '쿠드와후타 Converted Edition'이란 이름으로 PSP로 이식되었다. 이식은 본편과 마찬가지로 PROTOTYPE에 의해 이루어졌다. 6월 28일에는 PC 전연령판이 발매되었다. Key의 게임들이 늘 그렇듯이 전연령판은 H신이 삭제되었지만 전연령판만의 신규 이벤트와 신규 CG가 추가되어서 전연령판을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오리지널판은 2회차 플레이를 해야만 트루 엔딩을 볼 수 있어서 불편함이 컸는데 1회차만으로도 트루 엔딩을 볼 수 있게 변경되어 편의성이 증가하였다. 안드로이드 전용으로 성인판이 이식되기도 하였다. [[리틀 버스터즈! 카드 미션]]이나 [[Key COLLECTION]]와 같은 Key와 관련된 [[소셜 게임]]에도 출전했다. 2017년 1월, [[바바 타카히로]] [[비주얼 아츠]] 사장이 인터뷰에서 애니메이션화를 기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7월 [[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하였으며, 순식간에 목표치를 달성하여 상당한 기대를 모았다. == 줄거리 == ||
<:>뭉게뭉게 일어서는 뭉게구름에, 대양이 눈부신 여름 한창 때. 수학 여행을 무사하게 끝내 대망의 여름 방학을 맞이한 주인공의 리틀 버스터즈. 차례차례로 집으로 돌아가는 동료, 기숙사에 남겨진 '''[[나오에 리키|{{{#8B4513 리키}}}]]'''와 '''[[노우미 쿠드랴프카|{{{#1E90FF 쿠드}}}]]'''. 그러던 어느날, 남자 기숙사의 리품 중에 발생한 수도 사고 탓에 리키는 기숙사에서 쫓겨나 버린다. 어찌할 줄 모르는 리키에게 쿠드가 '''{{{#1E90FF "룸메이트, 지금도 모집중, 인 것, 이예요..."}}}''' 라고. 도움의 손길을 뻗친다.|| == 등장인물 == ||
<#ffffff>[[파일:쿠드 와후타 등장인물.jpg|width=100%]]|| * [[나오에 리키]] * [[노우미 쿠드랴프카]] * [[아리즈키 시이나]] * [[히무로 유우키]] * [[아짱 선배]] * [[후타키 카나타]] * [[아리즈키 우이]] * [[치르누시카 이바노브나 스트루가츠카야]] 노우미 쿠드랴프카의 어머니. 쿠드 와후타 홈페이지 등장인물 소개란에는 없다. 우주비행사, 유쾌한 성격으로 빈유에 대해 컴플렉스가 있는 듯하다. 쿠드 와후타의 스토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미소녀 게임, game=쿠드 와후타, vndb=3079, rate=6.96 (decent), eroge=13525, midmean=69 / 66, 5ch=14, rank1=36위, getchu=pc/2010_g_ranking, rank2=20위권 밖, moege=2010, prize=불참)] == 미디어믹스 == === [[극장판 쿠드 와후타|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장판 쿠드 와후타)] === 코믹스 === * 쿠드 와후타!(이케다 준판) 최속 비주얼 안테나에서 연재되는 4컷 만화 * 쿠드 와후타!(바쿠텐도(爆天童)판) || '''{{{#ffffff 01권}}}''' || '''{{{#ffffff 02권}}}''' || '''{{{#ffffff 03권}}}''' ||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jGBXjWpDL._SX349_BO1,204,203,200_.jpg|width=100%]]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a0TKqwVgL._SX350_BO1,204,203,200_.jpg|width=100%]]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A8sR24cpL._SX349_BO1,204,203,200_.jpg|width=100%]] || || '''{{{#ffffff 04권}}}''' || '''{{{#ffffff 05권}}}''' || '''{{{#ffffff 06권}}}''' ||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77bmfZZlL._SX348_BO1,204,203,200_.jpg|width=100%]]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j2WeH8yBL._SX350_BO1,204,203,200_.jpg|width=100%]]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nB7YWbLoL._SX350_BO1,204,203,200_.jpg|width=100%]] || 전격 G's 매거진에서 연재. 2010년 5월호부터 2014년 2월호까지의 분량. Wafter 파트만을 다루며 몇몇 부분이 생략이 되어 원작과 차이가 있다. * DNA 미디어 코믹스 쿠드 와후타 코믹 앤솔로지 || '''{{{#ffffff 01권}}}''' || '''{{{#ffffff 02권}}}''' || ||
[[파일:wafterdnacomics1.jpg|width=100%]] || [[파일:wafterdnacomics2.jpg|width=100%]] || 앤솔로지 코믹으로 전 2권. 2권의 표지는 리틀 버스터즈! 코믹스를 맡았던 [[ZEN]]이 담당했다. * 하베스트 코믹스 쿠드 와후타 앤솔로지 코믹 전 1권. 성인판 기준에 따른 묘사 * 맥시멈 코믹스 쿠드 와후타 4코마 MAXIMUM 앤솔로지 4컷 만화. 전 1권. * [[어스 스타 코믹]] 쿠드 와후타 앤솔로지 4컷 만화. 전 1권 === 소설 === * 쿠드 와후타 앤솔로지 쿠드 와후타-다-! 앤솔로지 소설. 전 4권이나 1~3권은 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가 소재. * 나고미 문고 쿠드 와후타 앤솔로지 노벨 앤솔로지 소설. 전 1권 == 주제가, o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5h5u9eR8ns)]}}}|| ||<-2><:>'''OP - one's future'''|| || '''작사'''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 '''작곡''' ||시미즈 준이치(清水淳一) || || '''편곡''' ||Manack || || '''노래''' ||[[와카바야시 나오미|스즈타 미야코]] || * one's future (오프닝곡) 작사 :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작곡・편곡 : 시미즈 쥰이치 / 노래 : [[와카바야시 나오미|스즈타 미야코]] * 별무리(星屑) (엔딩곡) 작사 : 시로키리 치카 / 작곡・편곡 : 시미즈 쥰이치 / 노래 : [[시모츠키 하루카]][* 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 삽입곡인 [[Sha La La Ecstasy]]을 불렀었다. 후에 [[Harmonia(게임)|Harmonia]] 엔딩곡인 영원의 별에게(永遠の星へ)도 불렀다.][* [[KSL Live World 2013 way to the Little Busters! ~Refrain~]]에서 [[Lia]], [[Rita]], [[키타자와 아야카]], [[스즈키 케이코]], [[스즈유]]가 단체로 부르기도 했다.] * 성수가(星守歌) (삽입곡) 작사 : 시로키리 치카 / 작곡・편곡 : 시미즈 쥰이치 / 노래 : [[와카바야시 나오미|스즈타 미야코]] 오프닝 싱글, 쿠드 와후타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앨범에 이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코믹 마켓 79 한정 발매로 쿠드 와후타 ost 어레인지 앨범인 [[히무로 유우키|Albina]] -Assorted Kudwaf Songs-을 발매하였다. == 한글패치 == [[비주얼 아츠 마이너 갤러리]]에서 2019년 7월 15일 한글패치가 공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visualarts/3207|오리지널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visualarts&no=4420|전연령판]] == 외부 링크 == [[http://key.visualarts.gr.jp/|Key 공식 사이트]] [[http://key.visualarts.gr.jp/event/lb10th/|리틀 버스터즈! 10th Anniversary 기념 사이트]] [[분류:2010년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PlayStation Vita 게임]][[분류:모바일 게임]][[분류:연애 어드벤처 게임]][[분류:에로게]][[분류:에로게 원작 콘솔 게임/휴대용]][[분류:전연령 미소녀 게임]][[분류:팬디스크]][[분류:리틀 버스터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