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저그)]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utalisk_SC1_AnimHead1.gif|width=240]] || [[파일:zmutalid.gif]] || [[파일:Mutalisk_Cartooned_Portrait1.gif|width=240]] || ||<-3> 뮤탈리스크 쿠쿨자의 초상화[*1 전용 초상화가 없다.] || || [[파일:가디언 초상화.gif|width=250]] || [[파일:zguard.gif]] || [[파일:Guardian_Cartooned_Portrait1.gif|width=240]] || ||<-3> 수호군주 쿠쿨자의 초상화[*1] || '''Kukulza''' --[[ZZ|쿨쿨]] [[잠|자]]--[* 2000년대 초중반 한글 유즈맵들중 몇몇은 정말로 "쿨쿨자"라는 이름으로 수정되어 있기도 했다. 구버전 화성에서 살아남기 맵이 대표적.] [[스타크래프트]] [[저그]]의 [[영웅 유닛]]. 이름의 어원은 [[중앙아메리카]] 신화의 깃털달린 뱀 [[쿠쿨칸]]으로 추정된다. == 성능 == [[뮤탈리스크]]의 변종으로 [[포식자]]나 [[추적 도살자]]와 같은 부류다. 체력 300/공격력 18/방어력 3의 괴물같은 수치를 지니고 있다. 높은 능력치 때문에 [[망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망령]], [[골리앗(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골리앗]],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용기병]]은 물론이요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적선]]이나 [[발키리(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발키리]]도 그냥 턴다. 뮤짤을 안 해도 충분히 세서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병]]+[[의무관]] 조합도 우습게 발라먹는다. 이 유닛은 '''300이라는 상당히 높은 체력에 소형인데다 방어가 3이니''' 아주 무섭다. 때문에 해적선이 '''1''', 발키리는 '''발당 1.5'''의 끔찍하게 낮은 피해를 줘서 [[역관광|거꾸로 쿠쿨자에게 털린다.]] 테란은 유령, 전투순양함,[* 해병은 공격력이 6이니 DPS가 반토막나고, 망령과 골리앗은 폭발형이라 손해가 많다.] 과학선의 [[이레디에이트#s-2|방사능]]이[* 단, 쿠쿨자의 체력이 높아서 방사능만으로는 죽지 않기 때문에 바이오닉을 같이 뽑았다가는 역으로 지우개를 당할 수도 있다.], 프로토스는 [[집정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집정관]]과 [[암흑 집정관]]을 꺼내거나 [[고위 기사]]의 [[사이오닉 스톰]]이 필수다. [[토라스크]]나 [[추적 도살자]]와 같은 저그 영웅 유닛들과 달리 공식 시나리오에는 한 번도 나오지 않아 다소 지명도가 낮다. 어찌 보면 [[태사다르/제라툴]]처럼 구색 끼워 맞추기 용이었을지도. 어쨌든 뮤탈리스크의 강화판이라 [[유즈맵]]에서 많이 쓴다. [[수호군주]] 버전도 있다. 이쪽은 체력 400/공격 40/방어 4라는 무시무시한 성능 보유. 영웅 취급이라서인지 뮤탈리스크 상태에서 '''수호군주로 변태할 수 없다.''' 설정상으로는 쿠쿨자가 변태하는데, 게임에서는 불가능하다. 써 보면 알겠지만 [[이레디에이트#s-2|방사능]]에도 살고 체력은 [[울트라리스크]]와 같으며 공업을 2번만 하면 해병은 무조건 1방이고 골리앗과 용기병도 맥을 못추는 엄청나게 센 위용을 보여주며 '''[[가필패]]라는 말이 쏙 들어가게 만든다.''' 하지만 공중 공격이 불가능해서 뮤탈리스크 버전과 달리 가디언 버전은 공대공 유닛들에게 여전히 당하는 신세. 물론 체력과 방어력이 꽤 있어서 어느정도 버티긴 한다. [[김택용]]이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이영한]]과 경기에서 인구수 3배가 넘는 우위를 점하고 있다가 [[역뮤탈]]에 휘둘리며 패배하자, 사실은 이영한이 뮤탈이 아닌 쿠쿨자를 소환해서 이긴 것이라며 [[김용택(별명)|엄청나게 조롱받았다]].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