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_gGl3LJ7vHc)] Effecto Kuleshov / Kuleshov Effect [[소련]]의 [[영화 감독]]이자 이론가인 레프 쿨레쇼프가 [[몽타주]] 기법에 관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진행한 실험과 그 결과를 지칭하는 말. 프랑스의 [[미장센]]에 대응하는 영화 이론을 필요로 했던 [[소련]]의 영화 이론가들은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D.W. 그리피스]]의 영화들을 연구하고, 그를 통해서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다름 아닌 [[편집]]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당시 [[소련]]의 감독이자 이론가였던 레프 쿨레쇼프는 편집에서 미학을 도출할 방법을 연구했고, 그 결과로 [[몽타주]]라는 개념에 도달한다. [[몽타주]]란 하나의 쇼트가 그 자체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앞뒤 쇼트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나 감정을 만들어낸다는 내용의 이론이었으며, 레프 쿨레쇼프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한다. 1. 한 배우의 무표정한 얼굴을 찍는다.[* 이반 모주힌(Ivan Mozzhukhin)이라는 배우의 얼굴을 사용했다.] 2. 다른 대상들을 촬영한다. 3. 각각의 대상과 배우의 얼굴을 이어지게 편집해서 붙인다. 4. 각기 다른 대상과 편집한 얼굴들을 각각 다른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5. 관객들에게 배우가 연기하는 감정이 무엇인지 설명하도록 한다. 실험에 사용된 대상들은 따뜻한 스프, 관 속의 아이, 소파 위의 여인이었으며, 각각 허기짐, 슬픔, 사랑을 느꼈다고 답했다. 레프 쿨레쇼프는 이 대답을 통해 편집을 통하면 배우의 연기마저 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몽타주]]의 기본 개념을 확립하였다. 이 실험은 후대에 '''쿨레쇼프 실험''' 또는 배우의 이름을 따 '''이반 모주힌 실험'''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후 러시아의 감독이자 이론가인 푸도푸킨과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은 쿨레쇼프의 뒤를 이어 [[몽타주]]를 더욱 깊이있게 발전시켜 나간다. 이 실험은 현대 영화 편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된다. [[분류:영화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