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쿨롱 법칙]](Coulomb's law)을 조사한 [[비틀림 저울]]을 사용한 [[전기력]] 실험으로 쿨롱의 실험(Coulomb experiment)은 1784 및 1785년에 프랑스 물리학자이자 육군 대령인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Charles-Augustin de Coulomb; 1736~1806)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 쿨롱의 실험으로 이후 잘 알려진 전자기학의 토대를 마련한 쿨롱 법칙이 탄생했다.[* \[APS News\] June 2016 (Volume 25, Number 6)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June 1785: Coulomb Measures the Electric Force By Richard Williams[[https://www.aps.org/publications/apsnews/201606/physicshistory.cfm#1]]] 뉴턴이 먼저 발표한 만유인력 법칙과 같은 형태의 역제곱 법칙이 만들어졌다. 실험의 초기 원형은 1783년에 설계된 지구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존 미첼]]과 [[캐번디시]]가 이미 고안한 비틀림 저울(Torsion Balance)을 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 BRIEF BIOGRAPHY OF HENRY CAVENDISH [[https://cosweb1.fau.edu/~jordanrg/bios/Cavendish/Cavendish_bio.htm]]] == 쿨롱 상수 == 쿨롱 상수인 [[쿨롱 상수|쿨롱]](단위 기호 C)은 쿨롱이 1[[암페어]]의 전류가 1초 동안 운반하는 [[전하량]]를 표현하기 위해 제안한 전하량 단위이다. 이 단위는 전기 전하량의 국제단위로 사용된다. [* C. A. Coulomb, Premiere Memoire sur l’electricite et le Magnetisme, Histoir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 569-577 (1785)[[https://www.academie-sciences.fr/pdf/dossiers/Coulomb/Coulomb_pdf/Mem1785_p569.pdf]]][* C. A. Coulomb, Seconde Memoire sur l’electricite et le Magnetisme, Histoir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 578-611 (1785)[[https://www.academie-sciences.fr/pdf/dossiers/Coulomb/Coulomb_pdf/Mem1785_p578.pdf]]][* C. A. Coulomb, Quatrieme Memoire sur l’electricite et le Magnetisme, Histoir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 67-77 (1785).[[https://www.academie-sciences.fr/pdf/dossiers/Coulomb/Coulomb_pdf/Mem1786_p67.pdf]]] 쿨롬(또는 쿨롱)의 단위 값은 SI 기본단위로 기본 전하(e)을 나타내는 양성자나 전자 한 개 전하량의 절댓값 [math(1.602\,176\,634 \times 10^{-19}\,\rm C)]로부터 역으로 계산해 볼수있다. 따라서 [math(1C = \dfrac{1}{1.602\,176\,634 \times 10^{-19}}e )] 1쿨롱[math((1C))]은 약 [math(1C = \dfrac{2}{3} \times 10^{19}e )] == 비틀림 저울 == || [[파일:Coulomb_torsion2023A.svg|width=400px]] || || \[그래픽 예시\] 대전된 고정 구슬(A)과 실에 매달린 움직이는 구슬(B) || == 쿨롱 법칙과 만유인력 법칙 == 쿨롱 법칙 [math(F = k \dfrac{q_1 q_2}{r^2})] , 여기서 F는 전기력 만유인력 법칙 [math(F = G \dfrac{m_1 m_2}{r^2})] , 여기서 F는 중력 == 관련 문서 == * [[캐번디시 실험]] * [[중력상수]] [[분류: 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