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 }}}[br]{{{-1 [[라틴어]]: Quintus Marcius Rex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아버지)[br][[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기원전 68년 집정관)|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18년 || ||<#800080> {{{#ffffff '''전임''' }}} ||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달마티쿠스]][br][[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기원전 119년 집정관)|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 ||<#800080> {{{#ffffff '''동기''' }}} ||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기원전 118년 집정관)|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 ||<#800080> {{{#ffffff '''후임''' }}} ||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br][[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아우구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기원전 4세기에 평민들이 집정관에 선임되는 것이 허용된 이래로 많은 집정관을 배출한 [[노빌레스]] 가문인 마르키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아버지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는 기원전 144년 [[법무관]]을 역임했다. 현대 학자들은 기원전 180년 최고 행정관 간의 취임 간격을 규정한 빌리우스 법에 따라 기원전 121년 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했으리라 추정한다. 기원전 118년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기원전 118년 집정관)|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이후 제비 뽑기 결과 이탈리아에서 내정을 돌봤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그는 이 시기에 젊은 나이에 뛰어난 능력과 인성을 갖춰 세간의 기대를 받았던 아들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지만, 슬픔을 가라앉히고 장례식을 주관한 뒤 원로원 회의를 주관하는 등 업무에 충실했다고 한다. 집정관 임기가 끝나갈 무렵 [[알프스 산맥]] 서부에 거주하는 스탠 족과 전쟁을 치러 승리한 뒤 기원전 117년 로마로 귀환하여 [[개선식]]을 거행했다. 또한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에 나르본 시를 새로 건설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19세기 독일의 역사학자 프리드리히 뮌처에 따르면, 그는 2번째 결혼을 해서 자식을 낳았으며, 기원전 68년 집정관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기원전 68년 집정관)|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가 기원전 118년 집정관의 또다른 아들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