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감찰관]]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include(틀:역대 로마 감찰관)] ||||<#800080> {{{#ffffff {{{+3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발레아리쿠스''' }}}[br]{{{-1 [[라틴어]]: Quintus Caecilius Metellus Balearic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증조부)[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06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조부)[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아버지)[br][[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남동생)[br][[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남동생)[br][[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남동생)[br][[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기원전 98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아들)[br]카이킬리아 메텔라(딸)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23년 || ||<#800080> {{{#ffffff '''전임''' }}} ||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br]가이우스 섹스티우스 칼비누스 || ||<#800080> {{{#ffffff '''동기''' }}} ||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 || ||<#800080> {{{#ffffff '''후임''' }}}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br]가이우스 판니우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감찰관]]. == 생애 == 라치오 인근의 팔레스트리나(Palestrina) 시를 건설했다는 전승이 전해지는 불카누스(Volcanus, 불의 신)의 아들 카이쿨루스의 후예로 전해지는 카이킬리우스 가문의 일원이다. 이 가문은 기원전 3세기부터 로마에서 출세가도를 달려 집정관 계급까지 오른 평민 귀족([[노빌레스]]) 집안으로, 증조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51년 집정관)|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251년과 기원전 247년에 집정관을 맡았으며, [[파노르무스 전투]]에서 카르타고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조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기원전 206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206년 집정관이었으며, 아버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는 기원전 143년 집정관, 기원전 131년 [[감찰관]]을 역임했으며,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과 [[아카이아 전쟁]]에서 활약했다. 첫째 동생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는 기원전 117년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둘째 동생 [[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는 기원전 115년 집정관을 역임했고, 셋째 동생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카프라리우스]]는 기원전 113년 집정관을 역임했다. 이름이 카이킬리아인 두 여자형제가 있었는데, 각각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와 결혼했다. 기원전 129년 메텔루스 마케도니쿠스의 정적이었던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사망했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마케도니쿠스는 아이밀리아누스의 죽음을 공개적으로 애도하고 그를 비롯한 자식들에게 장례식에 참여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현대 학자들은 기원전 180년 최고 행정관 간의 취임 간격을 규정한 빌리우스 법에 따라 기원전 126년 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했으리라 추정한다. 기원전 123년 티투스 퀸크티우스 플라미니누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된 뒤, 서부 지중해에서 [[해적]] 행위를 일삼고 있는 [[발레아레스 제도]] 주민들을 토벌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플로루스]]에 따르면, 로마군은 섬에 상륙하는 동안 발레아레스 투석병들의 공격을 받고 상당한 손실을 입었지만 뒤이은 근접 전투에서 쉽게 이겼다고 한다. 그 후 2년 이내에 모든 섬을 정복했다. [[파울루스 오로시우스]]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섬 주민들이 살해되었다고 한다. 메텔루스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정복한 뒤 팔마와 플렌티아 등 여러 도시를 세웠다. 기원전 121년 로마로 돌아와 [[개선식]]을 거행하고 '발레아레스 정복자'라는 의미의 발레아리쿠스(Balearicus)를 칭호로 수여받았다. 기원전 120년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프루기와 함께 [[감찰관]]에 올랐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메텔루스'라는 인물이 [[가이우스 마리우스]]가 [[호민관]]이 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나중에 마리우스가 제시한 법률이 마음에 들지 않아 이를 막으려 했다가 일시적으로 체포되었다고 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인물이 발레아리쿠스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기원전 117년 집정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라고 주장한다. 기원전 115년 원로원이 그리스 도시 아드라미티온에 대한 법령을 제정할 때 이에 처음으로 서명한 '메텔루스'가 그였는지도 불분명하며, 이외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기원전 98년 집정관)|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네포스]]는 기원전 95년 집정관을 역임했다. 또한 카이킬리아 메텔라라는 딸이 있었는데, 학자들은 오랫동안 기원전 79년 집정관이었던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기원전 79년 집정관)|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의 아내가 바로 그녀였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최근에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의 딸 카이킬리아 메텔라가 아피우스의 아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서 어느 쪽이 옳은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