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고전 게임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비디오 게임 1001)] {{{+5 Q*bert}}} 서양권에서 상당히 유명한 고전게임. 초기에는 Q-bert였지만, 중간의 [[붙임표]]가 [[별표]]로 바뀌었다. 후술하겠지만 재산권은 [[소니]]가 소유하는 중이다. [[https://www.qbertflash.com/|여기서 큐버트 원판을 플레이할 수 있다.]] [[파일:external/nintendolegend.com/Q-Bert2.png]] 핀볼 게임으로 잘나가던 고틀리브(gottlieb)[* STERN 등과 더불어 [[미국]]의 대표적인 핀볼게임 제조업체 중 하나. 참고로 이 회사는 [[1996년]]에 도산하였다.]는 1982년 비디오 게임 분야로 진출하며 [[퍼즐 게임]] 큐버트를 제작했다. 이 게임은 서양권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당대 인기 4~8비트 콘솔들로 이식된다. 기본적인 룰은 두발 달린 문어같은 괴생명체를 조작하고 적들을 피해서 7열짜리 부채꼴로 펼쳐 늘려진 [[큐브]] 바닥의 색깔을 바꾸는 것. 레벨을 진행할수록 2번 이상 밟아야 목표하는 색깔로 바뀌거나, 하단부에서 적이 나타나기도 하는 방식으로 난이도가 상승한다. 방향을 잘못 조작하여 밖으로 나가면 [[추락사|그대로 떨어지기도 한다]]. 왼쪽 또는 오른쪽 면의 무지개색 원반에 올라타면 바로 시작 지점인 맨 꼭대기로 되돌아가지만, 사용하면 사라지며 목숨을 잃기 전까지는 복원되지 않으니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낮은 확률로 하늘에서 녹색 아이템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이것을 먹으면 잠시 적들의 움직임이 멈춘다. 사실 원래 제목은 '''@!#?@!'''[* 영어 기준 '''at exclamation mark hash question mark at exclamation mark'''라고 읽는다. 영어 울렁증 있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해당 기호의 이름을 그대로 나열한 제목. ]이었고 실제로 초기 버전은 저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그러다가 유통사 측에서 '''읽을 수 있는 이름으로 만들어 달라'''라는 요구를 하는 바람에 고쳤다는 비화가 있다. 주인공의 대사인 '''@!#?@!'''은 이 비화의 흔적, 실제 대사가 이렇다. --"왜요, 이게 왜요!?" 라고 들린다.-- 후속작으로 1983년작인 큐버트의 큐브(Q*bert's Qubes)라는 작품이 나왔는데, 원작과는 게임 방식이 조금 다르다. 이동 방식은 같지만, 그 방향에 따라 밟고 있던 큐브가 돌아가고, 각 스테이지마다 요구하는 색 배치가 있는데, 큐브를 돌려서 각 스테이지에서 요구하는 색 배치로 보이도록 바꾸면 큐브가 외곽선만 남기고 투명하게 변한다. 이렇게 5개를 한 줄로 이으면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방식이다. 초기 스테이지에서는 2색으로 구성된 큐브만 나오지만 점점 색 종류가 늘어나다가 나중에는 6면 모두 색이 다른 큐브가 나오며, 큐브의 배치 형태 또한 후반 스테이지로 갈수록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도록 나온다. [[파일:external/www.hardcoregaming101.net/qbertmsx-04.png|width=512]] [[MSX]]용으로는 1986년 [[코나미]]가 이식했는데, 원작과 게임성이 상당히 많이 달라져 있다. 기본적으로는 원판 큐버트가 아닌 큐버트 큐브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 어레인지가 가해져서 캐릭터가 웬 공룡(?)으로 바뀌어있고 파워 업 아이템, 대전 모드 등의 새로운 요소가 들어갔다. 이식되어 나온 시기가 좀 늦은 편이라 게임 자체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다른 게임과 같이 끼웠을 때 [[치트키]] 입력 등을 할 수 있는 게임팩으로 더 유명세를 탔다. 대응 게임이 다른 작품에 비해 상당히 많았고 효과도 가장 좋은 경우가 많았는데 왜 이랬는지는 불명. --재고팩 팔아먹기-- 주된 대응작은 [[그라디우스 2]], F1 스피리트 등. 이것 말고도 [[아타리 2600]]/[[아타리 5200|5200]], [[마그나복스 오디세이|오디세이 2]], [[코모도어 64]] 등 1982 ~ 1983년 당시의 다양한 콘솔로 이식되었다. 심지어는 PC판도 있는데, PC판은 3D인데다가 맵의 종류가 다양하다. 2007년에는 [[PlayStation|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이식작으로도 나왔는데, 그 이유는 당시 원 제작사인 고틀리브가 [[컬럼비아 픽처스]] 산하였기 때문에 1996년 파산하였을때도 지적재산권은 콜롬비아에 있었고 따라서 큐버트는 [[소니]]의 자산이 된 것이다. [[파일:external/gimmgp.files.wordpress.com/wreck-itqbert.jpg]] [[아타리 쇼크]]가 터진 와중에도 끈질기게 살아남은 게임이라서 그런지 고전 게임이 다수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영화 [[주먹왕 랄프]]에서도 [[주먹왕 랄프 시리즈/등장인물#s-1.5|등장]]한다. 작중 플러그가 뽑혀 집을 잃은 불쌍한 역할로 나오며, 펠릭스에게 랄프의 행방을 알려주기도 했다. 맨 마지막에는 랄프의 게임에 얹혀 살게 돼 보너스 스테이지에 무더기로 등장한다. 물론 이는 애니메이션의 설정이며 실제로는 미국의 '''현역 국민 게임''' 중 하나다. 다만 아케이드에서 큐버트 등의 고전게임은 수명이 다 했기에 오락실 환경을 반영하면 맞는 설정이 된다. 그 뒤에도 [[소니]] 산하의 지적재산권을 가져서 그런지 [[픽셀(영화)]]에서도 출연하였다. --근데 영화 성적이 신통치 않았어요...-- 개봉 기념으로 [[http://sidelineamusements.com/qbert/|Q*Bert Rebooted]]를 출시했다. [[https://store.playstation.com/#!/en-us/search/q=q%20bert|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http://store.steampowered.com/app/285960/|스팀 상점]], [[https://itunes.apple.com/app/qbert-rebooted/id1010883120|앱스토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pcgames.qbertfree|구글 플레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pcgames.qbert|구글 플레이 - 안드로이드 TV 전용]] == [[퓨쳐라마]]의 등장인물 == 풀네임은 큐버트 판스워스(Cubert Farnsworth) 성우는 [[캐스 수시]]. [[판스워스 교수]]의 클론으로, 언제 자기등의 뾰루지에서 세포를 추출하여 배양시킨 클론이다. 뾰루지에서 세포를 추출한것이 13년전인지라 나이도 13살이다. 대부는 [[조이드버그]]. 괴롭히는 애를 놀리는 걸 방어기제로 삼고 있다. ~~그러니까 더 당하는거지~~ 처음 등장할때 발가벗은 자신의 모습을 사람들이 자길 쳐다보자 '''"뭐야, 니들 천재 거시기 처음 보냐?!"'''란 멘트를 날린다. 처음엔 아버지이자 자신의 창조주가 바라는 뜻을 무시하고 다른 직종으로 빠지는 듯 했으나, 나중에 아버지를 구출한 다음에 아버지의 뜻을 이어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아버지가 양로로봇부대에게 끌려가고, 플래닛 익스프레스 팀이 아버지를 구출할때 간단한 논리적 고찰로 충격을 받는다[* 큐버트 왈 저 덜떨어진 [[필립 J. 프라이|프라이]]가 내 선조고, 난 저 피를 이어받았어 아악! ]. 또한 DNA 샘플을 추출할때 벤더에게 엄청나게 피를 뺏긴다. [[드와이트]]와 절친 사이로, 아버지들이 자신들을 무시하자 어썸 익스프레스(Awesome Express)란 회사를 차려서 플래닛 익스프레스를 엿먹인다. 좀 무서운 건 두 번째인데, 이놈이 학교에서 만든것이 '''소형 [[블랙홀]]'''이었다. 얘도 조금만 가다보면 아버지와 같이 [[매드 사이언티스트]]의 반열에 오를수 있을듯하다. 그러나 일단은 정상인 아이처럼 행동한다. 프라이와 교수가 없을때 큐버트는 삼촌뻘인 [[필립 J. 프라이|프라이]]와 비슷한 행각을 보여준다(처음 나올땐 프라이처럼 되기 싫어했었는데, 비슷하게 나온다)... 그리고 프라이의 여친인 [[릴라]]가 꼬셔서 결혼했다가[* 자란 모습이 프라이와 닮아서 꼬셨다. 진짜 프라이는 미래로만 가는 타임머신에 타버려서 10억년 후의 미래로 날아가 있어서 실종/사망 처리 되어있었다.] 이혼당하고 로봇몸통을 단 [[에이미]]에게 끌려가게 된다. 또한 [[벤더]]를 오버클러킹하여 맘의 사용규약을 깨트려 아버지와 같이 법정에 끌려가지만 미성년자이기에 무죄 처분을 받았다. 코가 돼지코인데 시험관에 눌려서 그렇다. == 미국의 [[DJ]] == DJ Qbert. Q-Bert나 Q'bert로도 표기하지만 보통 DJ Qbert라고 부른다. 아마 DJ네임의 어원은 1번 항목에서 따왔을 듯. 본명은 [[리처드]] 키터비스(Richard Quitevis). 필리핀계 미국인 턴테이블리스트로 전설적인 인물이며, 1990년대 초반의 DMC등 DJ 국제대회를 싹쓸었다. 한마디로 턴테이블리즘의 극에 달한 아티스트. [youtube(C8S6ist0TIA)] [[서태지]]와 함께 작업한 적도 있다.~~괴짜와 서크루지의 만남~~ [[서태지와 아이들 3집]] '[[교실 이데아]]'의 정규 앨범 버전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래처가 바로 큐버트의 작업물. 이때 기억을 회상하길 이 정도면 괜찮을 것 같다 싶은데 서태지가 계속 다시 다시를 요구했고 자기도 오기가 생겨 너 죽고 나 죽자 생각으로 판을 미친듯이 긁었다고 한다. 상당한 [[괴짜]]. 그가 턴테이블 실황녹화를 한 것들 중 Lamb chops나 이머전시 스크래치 등은 비범한 복장센스와 스크래치 컨셉을 가지고 만든 것이 눈에 띈다.방독면을 쓰고 있거나, 박사 분장을 하고 있거나,미국 구급대원 복장을 하고 있거나.. 프랑스 DJ KELTECH[* 이쪽은 다스 베이더 코스프레를 하고 턴테이블을 돌려놨다.]나 일본 DJ 켄타로의 닌자 컷 등의 원조격인 센스를 가지고 있다. 인터넷 DJ들이나 일본 니코동쪽 DJ 중 기괴한 복장을 하고 턴테이블 플레이를 하는 경우엔 물론 다른 이들이 그렇게 한걸 보고 재미있어서 따라하거나 컨셉에 맞춰 그냥 그렇게 입은 경우도 있지만 큐버트의 [[오마주]]나 리스펙같은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물론 꼭 이런 것만 있는건 아니고 정상적인 것도 많다. 베스탁스의 유명한 턴테이블 QFO는 그의 이름과 UFO와 비슷하게 생긴 외형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국내의 많은 DJ들도 사용하며 에픽하이의 DJ 투컷도 본 제품을 들고 지상파에서 스크래치 플레이를 한 적도 있다. [youtube(MShqH-XDSB0)] 그 중 하나인 스파이더맨 배틀. [[분류:동음이의어]][[분류:미국 게임]][[분류:퍼즐 게임]][[분류:1982년 아케이드 게임]][[분류:1983년 아타리 2600 게임]][[분류:1986년 MSX 게임]][[분류:1989년 패밀리 컴퓨터 게임]][[분류:1992년 게임보이 게임]][[분류:2003년 모바일 게임]][[분류:2014년 iOS 게임]][[분류:2015년 PlayStation 3 게임]][[분류:2015년 PlayStation 4 게임]][[분류:2015년 PlayStation Vita 게임]][[분류:퓨쳐라마/등장인물]][[분류:미국의 DJ]][[분류:코나미의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