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트위스티 퍼즐/해법]] [목차] == 개요 == [[루빅스 큐브]]를 위시로 한 트위스티 퍼즐의 공식, 스크램블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 == 목록 == === [[루빅스 큐브]] === n×n×n 류의 큐브들은 모두 이 기호를 기반으로 한다. 대부분 기본적으로 36개의 기호를 사용하며, 부가적으로 18개의 기호를 더 사용한다. 아래의 12개 기호를 기본으로 하며, `[* [[프라임]]이라고 읽는다.]이 붙으면 반대 방향[* R, L, U, D, F, B, x, y, z는 시계 반대 방향, M, S, E는 아래 서술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2가 붙으면 180도 회전한다.[* 가끔 핑거 트릭 강좌에서 `2나 3, `3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2는 반대 방향 180도, 3은 시계 방향 270도, `3은 반대 방향 270도이나 각각 2, `, 아무것도 붙이지 않은 기호로 대체할 수 있기에 말 그대로 핑거 트릭에 관한 게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 R - 오른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L - 왼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U - 위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D - 아래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F - 앞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B - 뒤쪽 면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 M - R면과 L면 사이의 열을 '''L의 회전 방향'''[* U면의 가운데 부분이 F면으로 내려와야 한다.]으로 회전. * E - U면과 D면 사이의 열을 '''D의 회전 방향'''[* F면의 가운데 부분이 R면으로 가야 한다.]으로 회전. * S - F면과 B면 사이의 열을 '''F의 회전 방향'''[* U면의 가운데 부분이 R면으로 내려가야 한다.]으로 회전. * x - 큐브 전체를 R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F면이 U면으로 올라가야 한다.]. * y - 큐브 전체를 U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R면이 F면으로 와야 한다.]. * z - 큐브 전체를 F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U면이 R면으로 내려가야 한다.]. 이것만 외워도 웬만한 공식들은 볼 수 있지만, R·L·U·D·F·B을 소문자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해당 회전면과 가운데줄 총 두 줄을 동시에 돌리는 것을 나타낸다. 간단한 예시로 [[CFOP 해법]]의 PLL 공식 중 하나인 T펌을 들어보겠다. > R U R' U' R' F R2 U' R' U' R U R' F' 해당 공식을 따라한다면 URF·UBR 코너 조각이 서로 바뀌어있고, UR·UL 엣지 조각이 서로 바뀌어있을 것이다. === [[4×4×4 큐브|4×4×4]] 이상 큐브 === 기본적으로 위의 기호를 기반으로 한다. M·E·S는 바깥 줄을 제외한 모든 줄을 돌리면 된다. 추가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4×4×4 큐브]]에 한정해, r·l·u·d·f·b는 해당 기호의 대문자일 때 회전면이 아닌 '''그 회전면의 안쪽 줄'''을 해당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 R·L·U·D·F·B의 뒤에 w를 붙이면 해당 면과 그 안쪽 줄까지 회전하며, [[5×5×5 큐브|5×5×5]] 이상의 경우 ?w 기호의 '''앞에'''[* 굳이 이걸 강조하는 이유는, 180도 회전은 기호를 '''뒤에''' 붙이기 때문이다.] 2 이상의 자연수가 붙은 경우 해당 면을 포함한 n줄을 한꺼번에 회전한다. === [[피라밍크스]] 및 [[스큐브]] === R, L, U, B 4종과 ` 기호를 포함해 8개의 기호만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피라밍크스는 8개의 기호를 추가로 사용한다. 아래에서 면이라 함은 센터 조각 1개, 엣지 조각 3개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피라밍크스의 경우 코너 조각(핍)까지.] 아래의 기호를 기본으로 한다. * R - 우측 하단의 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 L - 좌측 하단의 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 U - 상단의 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 B - 뒤쪽의 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피라밍크스의 경우 위의 기호를 소문자로 표기하면 해당 면의 코너 조각만을 회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