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록맨 Z3/보스)] ||<-18> [[파일:external/images.wikia.com/CubitFoxstar.jpg|width=280]] || ||<-18> '''{{{+3 {{{#feb7ff [ruby(큐비트 폭스타, ruby=백념의 호독)]}}}}}}[br]{{{#feb7ff キュービット・フォクスター / CUBIT FOXTAR}}}''' || ||<-3> {{{#feb7ff 성우}}} ||<-1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야나기 나오키]] || ||<-3> {{{#feb7ff 소속}}} ||<-6> '''[[네오 아르카디아]][br][[팔심관]]''' ||<-3> {{{#feb7ff 스테이지}}} ||<-6> '''에너지 시설''' || ||<-3> {{{#feb7ff 약점 속성}}} ||<-6> '''전기''' ||<-3> {{{#feb7ff EX 스킬}}} ||<-6> '''화우''' || ||<-3> {{{#feb7ff 모티브}}} ||<-6> '''[[여우]][* 그 중에서도 [[구미호]].]''' ||<-3> {{{#feb7ff 무기}}} ||<-6> '''비트''' || ||<-18> '''{{{#fa7e0e "이걸 봐버린 이상 입을 다물어줘야겠어. 영ㆍ원ㆍ히... 말이야!"}}}''' || [목차] == 개요 == [[바일 팔심관]]의 일원인 뮤토스 [[레플리로이드]]. [[파브니르(록맨 제로 시리즈)|파브니르]]나 [[블레이징 플리자드]]와는 대조적으로 화염 속성이면서도 [[전투광]]과는 거리가 먼 성격이기 때문에 싸움을 좋아하는 [[데스탄츠 맨티스크]]나 [[트레테스타 케르베리안]]을 내심 바보 취급하고 있다.~~자기 팀의 리더와 2인자를 바보 취급해도 되는 거임?~~[* 다만 바일의 개조를 받기 전에는 맨티스크와 케르베리안이 무고한 희생에 동정을 표할 정도로 개념있는 성격임을 감안하면 폭스타 또한 그들을 상관으로서 존중했을 가능성이 높다.] 바일 넘버즈의 작전 참모 역할이지만 전투 능력도 상당히 우수한 편. 불덩어리 모양의 원격조작 옵션 9기는 뛰어난 공격용 무기이며 신기루 현상을 일으켜 환혹방어 스크린으로도 쓸 수 있다. 이름의 '큐비트'또한 꼬리 대신 소환형 무기로 사용하는 9기의 비트와 '구미(九尾)'를 합친 것. 바일 팔심관의 참모로써 여러 핵심적인 정보들을 직접 들었기 때문인지, 재생실에서 죽을 적에는 '''[[오메가(록맨 제로 시리즈)#s-2.1|록맨 제로 시리즈의 결정적인 반전]]'''을 암시하는 말로 제로를 저주하면서 사망한다.[* 너는 영웅도 아니고...파괴의 신 역시 아니야... 너는... 아무것도... 할 수... 없...] == 스테이지: 에너지 시설(エネルギー施設) ==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네오 아르카디아]]의 에너지 시설이 갑자기 폐쇄되었다. 그것도 마침 [[닥터 바일]]이 네오 아르카디아로 돌아온 시기에 맞춰서 폐쇄됐고, 제로는 에너지 시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내기 위해 출격한다. 스테이지가 엄청난 길이를 자랑하며 난이도도 어려운 편이다. 처음 할 때는 가도 가도 끝이 없다는 생각이 들 정도. 게다가 암울한 분위기의 BGM이 배경과 어우러지는 것은 덤이다. 가끔 불이 꺼져서 어두워질 때가 있는데 이 때는 발전기를 전기 속성으로 공격하여 전기를 통하게 하면 된다. 발전기를 키면 어둠이 걷어지면서 배경의 여러 기계들이 작동하며, 나방 모양의 졸개가 형광등 쪽으로 몰려드는 재미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미션의 주 목표는 중간 중간에 등장하는 기계의 스위치를 모두 키는 것이므로, 실력이 된다면 꼭 불을 키고 지나갈 필요는 없다. 중간에 동력로처럼 생긴 시설이 나오는데 이를 멈추기 위해서는 툭 튀어나와 있는 모든 스위치를 공격하여 눌러야 한다. Z세이버가 잘 통하지 않으니 버스터샷을 이용할 것. 1단계 차지샷만 날려도 모조리 관통하면서 한 방에 누를 수 있다. 중간 보스는 화면 중앙에 있는 코어가 화염 혹은 얼음 속성의 공격을 한다. 파괴 불가능한 장애물 졸개가 돌아다니는 게 성가시지만 주위를 돌고 있는 발판을 잘 이용하면 피하기는 어렵지 않은 편. 그리고 HP가 32밖에 되지 않아 Z세이버 차지 공격 네 방이면 처리할 수 있다. 중간 보스까지 격파하면 한참 온 것 같지만 불행히도 여기가 딱 중간이다.(...) 후반부는 훨씬 어려운데, [[록맨 제로]]에 등장한 것과 비슷한 즉사 트랩[* 철근의 한쪽 끝을 밟아 기울여 가시를 피해 지나가야 한다.]도 나오고 스위치를 눌러야 하는 동력로도 난이도가 업그레이드되어 한 번 더 등장하며, 보스룸 직전에도 무시무시한 트랩이 기다리고 있다. 재수없으면 보스룸까지 거의 다 가서 가시에 찔려 죽을 수도 있다. 곳곳에 떠다니는 폭탄들 역시 난이도를 높이는 주범이니 여기서는 버스터샷을 잘 이용해야 한다. 험난한 스테이지를 뚫고 보스룸에 도착하면 배경에 케이블이 가득하고 웬 크리스탈이 돌아가고 있다. 이어서 나타난 큐비트 폭스타의 말에 의하면 이 시설의 용도는 [[다크 엘프(록맨 제로 시리즈)|다크 엘프]]의 카피 공장으로, 외부의 눈을 피하기 위해 에너지 시설을 폐쇄한 채 암암리에 건조했다고 한다. 보스 역시 8보스 중 가장 어렵게 느끼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 전투 패턴 == 정해진 패턴대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각 패턴의 회피법을 완벽히 익힌다면 쉽겠지만 그 회피라는 것이 절대 간단하지 않다. 특히 화염차가 문제. 시간을 오래 끌어 좋을 것은 없으니 전기 속성의 공격을 이용하여 빨리 끝내는 것이 좋다. 그냥 전기속성으로 때리면 데미지만 늘어나지만 전기속성이 들어간 리코일 차지를 사용하면 넉백이 뜨면서 화염차랑 화염 워프 이외의 모든 패턴을 끊어버릴 수 있다. 클리어하면 2단 점프를 가능하게 해 주는 ''''더블 점프 풋 칩''''을 얻는다. 엄청나게 유용한 기능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 '''더블 점프''' 점프를 하는데, 특이하게도 공중에서 한 바퀴 돌며 궤도를 바꾼다. 이 때 잘못하면 보스에 부딪힐 수도 있다. * '''귀화연탄(鬼火連弾)''' 주위를 9개의 불덩어리로 감싼뒤 '''이야, 이야, 이야!''' 하면서 제로 쪽으로 조준하여 하나씩 던진다. 이 불덩어리를 공격하면 궤도가 바뀌어 피하기 어려워지니 이 때는 그냥 벽을 타면서 회피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그것도 귀찮으면 멀리서 버스터를 난사하자. 불덩어리들이 아슬아슬하게 제로를 빗겨나가면셔 공격을 회피할 수 있다. 버스터도 어렵다면 그냥 제자리 점프만 해줘도 전부 피할 수 있다. * '''화염 워프''' >'''볼 수 있겠어? (見切れる?)''' 가장 피하기 어려운 패턴으로 자신을 불덩어리 5개로 나눈 다음 움직이며 공격한다. 이 때 보스는 완전 무적이라 회피에만 집중해야 하는데, 이 회피라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게다가 불덩어리가 움직이는 패턴도 2가지가 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점프를 연타하면서 벽의 가장 위쪽에 붙어있는 것이고, 패턴을 파악한다면 벽을 탈 필요 없이 점프를 적절히 하여 피하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단, 이상하게도 불의 판정이 넓어서 대쉬로 그 아래로 지나가려고 하면 맞는 경우가 있다. [[볼틸 비블리오]] 스테이지를 클리어 한 후 얻는 섀도우 대시 풋칩[* 대시할 때 무적판정이 된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스 난이도를 올린 주범. * '''화염차(火焔車)''' >'''화염차! (火焔車!)''' 자신의 주위에 불덩어리를 생성하여 돌린다. 이것도 높은 위치, 중간 위치, 낮은 위치의 3가지가 있다. 높은 위치인 경우는 공격을 포기하고 구석에 붙으면 되고, 낮은 위치인 경우 오히려 가장 좋은 공격 기회이지만 중간 위치일 때가 꽤 어렵다. 안전지대가 없어 불을 계속 점프로 피해야 하기 때문. * EX 스킬 - '''화우(火雨/Fire Rain)''' >'''흩어져라! (散りなさい!)''' 랭크 A 이상일 때만 볼 수 있는 패턴으로, 보스룸 중앙으로 점프하여 이동한 뒤 불덩어리를 2회에 걸쳐 떨어뜨린다. 가장 안전한 회피법은 최대한 벽 위쪽으로 붙는 것. 그리고 불덩어리 사이를 빠져나가며 피하는 것도 어렵지는 않다. 참고로 [[록맨 제로 4]]의 최종 보스전에서 팔심관의 환영이 등장할 때 다른 보스들과 달리 큐비트 폭스타는 치사하게도 혼자서 필살기인 이 패턴을 들고 나온다. 그 때는 양쪽에 벽이 없기 때문에 불 사이로 빠져나가는 회피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 EX 스킬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SoulLauncher.png]]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oulLauncherF.png]] ''' '소울 런처(ソウルランチャー/Soul Launcher).' ''' 사용법은 방향키를 위로 한 상태에서 리코일로드 차지 공격. 위로 에너지탄을 하나 발사하고 이것이 넷으로 나누어져 떨어진다. 플레임 칩을 장착한 상태일 경우 불덩어리가 떨어져 한참 남아있게 된다. 써 보면 알겠지만 정말 쓸모 없다. 큐비트 폭스타가 쓰던 것처럼 불덩이가 묵직했다면 좀 나았겠지만 그냥 불똥(...) 수준이다. 게다가 통상 공격으로 발동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반드시 차지를 해야 하니 쓰기도 영 불편하다.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무슨 생각으로 이런 기술을 만드셨나요, 제작진?]]~~ == 기타 == * 저지폼 시에는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옵틱 선플라워드|사실]] [[오카마|남성형이다.]]''' 사실 성우인 [[야나기 나오키]]가 '''남자'''인지라 발매 직후부터 이런 소문이 돌았는데, [[리마스터드 트랙 록맨 제로 Telos]]에 수록된 오디오 드라마에서 확정되었다. [[유튜브]]에서 remastered track rockman zero telos를 검색해서 그의 연기톤을 들어보면 완벽하게 소녀로 착각할 정도까진 아니지만, [[Dr. 바일]]에게 개조당하기 전의 폭스타의 톤을 여린 소년 톤의 연기로 성별을 착각할 정도로 잘 해내서 여러 잡지나 공식 아트웍 영문판에선 여자로 착각되어서 설정되어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정작 바일에게 개조당한 후 타락해서 [[하르퓨이아]]를 내쫓을 때에는 남자가 여자목소리를 억지로 내는 듯한 [[오카마]]스러운 목소리와 말투가 되었다. 여담으로 개조되기 전의 폭스타는 말투가 여성스럽지 않고 의외로 평범한 말투였다. * 단순한 일회용 보스지만, 여성스러운 외모 및 목소리, 그와 대비되는 쿨한 성격 등이 한 몫해 팔심관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다. 팬아트나 동인지도 꽤 많은데, 문제는 나올 때마다 남자라는 설정은 씹고 '''여자 체형'''으로 그려진다는 것.(...) 그래도 이건 그만큼 인기가 많다는 증거이기도 하지만... * 저지먼트 폼도 수인계열 최고의 인기스타(...) 중 하나인 [[레나몬]]을 닮아 인기가 많다. == 갤러리 == === 컨셉 아트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Mmz3-cubit-foxtar2.jpg|width=400]] [[록맨 제로 3]] 컨셉 아트. === 도트 === ==== 회화창 전용 도트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Z3CubitMugshot2.png]] 저지 폼.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Z3CubitMugshot.png]] 퍼니쉬먼트 폼. ==== 보스 전용 도트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Foxtar_human_sprite.gif]] 저지 폼.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MMZ3CubitFoxtar.gif]] 퍼니쉬먼트 폼. [각주] [[분류:록맨 제로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