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케도니아 왕국/군인]][[분류:기원전 370년 출생]][[분류:기원전 321년 사망]] [목차] == 개요 == Κρατερός (BC 370? ~ BC 321)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 == 생애 == [[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방 원정에 종군해 [[페제타이로이]]의 탁시아르크[* taxiarque, 보병대 대장]를 지내 [[파르메니온]]의 직속 부하로 마케도니아의 우익에서 부지휘관을 맡았으며, [[헤파이스티온]]과 자주 다투었고 [[필로타스]]를 싫어했다. 기원전 334년의 [[그라니코스 전투]], 기원전 333년의 [[이소스 전투(기원전 333년)|이소스 전투]], 기원전 331년의 [[가우가멜라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아리오바르자네스가 이끄는 페르시아군과 싸울 때 알렉산드로스 3세가 병력을 둘로 나누어 배후의 산맥으로 이동할 때 남겨져 이동이 지연되는 것처럼 가장해 적의 주의를 끌었으며, 이로 인해 알렉산드로스 3세가 아리오바르자네스를 포위하는 것에 성공해 페르시아군을 격파했다. 뛰어난 전술적 능력과 병사들의 인기를 겸비해 [[페제타이로이|보병대]]의 최선임 대대장으로서 중장보병을 지휘해 전설적인 전공을 세웠다. 인도 원정 때 [[헤파이스티온]]의 승진 문제로 헤파이스티온과 충돌해 서로 주먹을 날렸으며, [[히다스페스 전투]]에서는 중장보병을 지휘했다. 볼란 협로를 지날 때 반란군을 체포해 압송했고 기원전 324년에 [[안티파트로스(마케도니아)|안티파트로스]]의 마케도니아 섭정 지위를 대체하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가던 도중에 알렉산드로스 3세가 사망해 효력을 잃었는데, [[그리스]]의 [[폴리스#s-2|폴리스]]들이 연합하여 헬레닉 동맹을 결성해 봉기하면서 [[라미아 전쟁]]이 일어나자 헬레닉 동맹들과 싸웠다. 대왕의 사후 안티파트로스와 함께 마케도니아 본토를 공동 통치한다.[* 안티파트로스의 장녀와 결혼함으로서 결혼 동맹을 맺는다. 안티파트로스의 장녀는 크라테로스의 사후 [[안티고노스 1세|안티고노스]]의 장남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데메트리오스]]와 결혼한다.] [[디아도코이#s-3|제1차 디아도코이 전쟁]] 때 [[헬레스폰토스]]에서 [[에우메네스]]와 전투를 치르다가 트라키아 기병의 창에 찔려 낙마했고, 그대로 말발굽에 짓밟히면서 사망했다. 마케도니아 내에서 인망이 가장 높은 장수였기에 에우메네스 측의 마케도니아 병사들이 자신을 알아보고 전향할 것을 기대했다.[* 에우메네스를 배신한 [[네오프톨레모스(마케도니아 왕국)|네오프톨레모스]]가 장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우메네스는 휘하 마케도니아 병사들에게 적이 크라테로스라는 것을 숨기고, 배신자 [[네오프톨레모스(마케도니아 왕국)|네오프톨레모스]]와 피그레스라는 이름의 이방인 장군과 싸우러 간다면서 마케도니아 출신이 아닌 페르시아 출신 기병들을 동원하여 공격, 결국 그를 전사시켰다. 거물급 군부 인사로서 안티파트로스와 더불어 알렉산드로스 사후 정국을 장악할 수도 있었던 인물이었으나, 문관인 에우메네스의 기민한 공격에 허무하게 최후를 맞아버렸다. 그러나 고참급 군인을 패사시킨 에우메네스도 이로 인해 큰 정치적 고립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는 간접적으로 그의 입지의 축소와 최후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 대중매체에서 == * 영화 [[알렉산더(영화)|알렉산더]]에서도 등장하며, 병사들에게 신망이 높은 군인으로서 알렉산드로스에게 인도 원정을 중지하고 돌아갈 것을 탄원한다. 알렉산드로스가 최후를 맞으며 횡설수설할 때 사람들이 "크라테로스에게 후임을 맡긴다"고 알아듣는 듯한 묘사가 있으며, 이는 알렉산드로스의 유언이라고 알려져 있는 "가장 강한 자에게"가 사실은 크라테로스를 말하는 것이 아니었겠느냐는 역사적 시각이 반영된 부분으로 보인다. * 만화 [[히스토리에]]에서는 트리발로이와의 전투와 [[카이로네이아 전투]] 장면에서 등장한다. 이미 이 시점부터 마케도니아 군부의 촉망받는 인재로 여겨지고 있는데, 페르시아로 귀순해 버린 [[멤논]]의 뒤를 이어 [[필리포스 2세]]의 왼팔[* [[파르메니온]]의 후임을 뜻한다.]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과 호흡이 잘 맞지 않아 없던 일이 되어버리고, 대신 [[에우메네스]]가 세 번째 왼팔로서 선정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시기하는 낯빛 없이 에우메네스에게 뭐든 조언해주겠다고 협조하는데, 트리발로이 전역에서 에우메네스의 기지를 간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공식적으로는 아탈로스가 활약한 것으로 되었지만, 크라테로스는 아탈로스가 그럴 만한 인재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