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파일:Lazlo Kraznahorkai.jpg|width=100%]] || ||<-4> {{{+1 '''{{{#fff Krasznahorkai László}}}'''}}} || || {{{#fff '''출생'''}}} ||<-3>[[1954년]] [[1월 5일]] [br] ^^([[헝가리]] 줄러)^^|| || {{{#fff '''국적'''}}} ||<-3>[[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8]]|| || {{{#fff '''관련 사이트'''}}} ||<-3>[[http://krasznahorkai.hu/|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 최고 거장이다." >---- >―[[수전 손택]] >"크러스너호르커의 통찰력의 보편성은 [[고골]]의 <죽은 혼>에 필적하며, 현대 저작의 자잘한 관심사들을 훌쩍 뛰어넘는다." >---- >―[[W. G. 제발트]] [[헝가리]]의 소설가이자 각본가. 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들은 난해한 문체와 종말론적인 테마로 유명하다. == 생애 == 크러스너호르커이는 1954년 헝가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했으며 같은 시기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한다. 학위를 얻은 그는 전업 작가의 길을 택한다. 1985년 데뷔작인 <[[사탄탱고]]>가 대성공을 거두며 헝가리 현대문학의 최전선으로 뛰어든다. 90년대 초반에는 몽골, 중국에서 거주했으며 <저항의 멜랑콜리>와 <전쟁과 전쟁>을 발표한 이후로는 미국, 스페인, 일본 다양한 지역을 넘나들며 생활하고 있다. 영화감독 [[벨라 타르]]와의 공동 작업으로 유명하며 그의 필모그래피를 거의 독점적으로 담당하다시피 했다. 2015년에는 헝가리 최초로 맨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이후 꾸준히 노벨문학상 유력후보로 꼽히고 있다. == 작품 == === 소설 === ==== 장편 ==== * [[사탄탱고]] ''Sátántangó'', 1985 * 저항의 멜랑콜리 ''Az ellenállás melankóliája'', 1989 * 우르가의 죄수 ''Az urgai fogoly'', 1992 * 전쟁과 전쟁 ''Háború és háború'', 1999 * 북쪽에서 언덕, 남쪽에서 호수, 서쪽에서 도로, 동쪽에서 강 ''Északról hegy, Délről tó, Nyugatról utak, Keletről folyó'', 2003 * 천국 아래 파괴와 슬픔 ''Rombolás és bánat az Ég alat'', 2004 * 서왕모의 강림 ''Seiobo járt odalent'', 2008 * 벵카임 남작의 귀환 ''Báró Wenckheim hazatér'', 2016 * 맨해튼 프로젝트 ''A Manhattan-terv'', 2018 * 궁전을 위한 기초작업 ''Aprómunka egy palotáért'' 2018 * 언제나 호메로스 ''Mindig Homérosznak'', 2019 ==== 단편 ==== * ''Kegyelmi viszonyok. Halálnovellák'', 1986 * ''Megjött Ézsaiás'', 1998 * ''Az utolsó farkas'', 2009 * ''ÁllatVanBent'', 2010 * 세계는 계속된다 ''Megy a világ'', 2013 ==== 기타 ==== * ''A Théseus-általános (Titkos akadémiai előadások)'', 1993 * ''Este hat; néhány szabad megnyitás'', 2001 * ''Krasznahorkai Beszélgetések'', 2003 * ''Nem kérdez, nem válaszol (Huszonöt beszélgetés, ugyanarról)'', 2012 ==== 각본 ==== * [[파멸]] ''Kárhozat'', 1988 * 사탄탱고 ''Sátántangó'', 1994 * [[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Werckmeister harmóniák'', 2000 * 런던에서 온 사나이 ''A londoni férfi'', 2007[* 원작은 [[조르주 심농]]의 소설로 라슬로는 각색에 참여] * [[토리노의 말]] ''A torinói ló'', 2011 == 여담 == * 한국에도 꾸준히 번역되어 5권의 책이 나와 있다. 다만 전부 독일어나 영어 중역본인데, 국내의 [[헝가리어]] 전공자들이 중간에 포기하거나 고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분류:유럽의 소설가]][[분류:유럽의 영화 각본가]][[분류:헝가리의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베케시 주 출신 인물]][[분류: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