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로아티아 관련 문서)] [include(틀:호주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은 [[크로아티아인]] 출신 혹은 크로아티아 출신 이민자의 혈통을 이어받은 [[호주인]]을 의미한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은 세르비아계 호주인 및 보슈냐크계 호주인과도 밀접한 관계이다. 주로 1960~90년대 사이에 이주가 이루어졌다. 호주 내 크로아티아계 인구는 2016년 기준 133,268명으로 0.6 %에 불과하지만 [[축구선수]]나 [[패션 모델]]로 활약하는 경우가 많아서 존재감이 있는 편이다. 특히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대 시점에서 크로아티아계 이민 인구 상당수가 이민 1세대로 상당수가 가정에서는 [[크로아티아어]]를 구사하며 2006년 기준으로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인구도 2.3% 정도에 달했다. 또한 80~90년대 이후로는 호주로 유입되는 크로아티아계 인구가 감소하는데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의 출산율이 낮은 관계로 점차 고령화가 진행되는 중이기도 하다. == 이민사 == 호주 인구는 1850년대 골드러시 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한동안 유럽인들에게 인지도가 낮았던 호주는 20세기 초 무렵에야 영미권을 중심으로 조금씩 인지도를 얻기 시작하였고, 호주로 이주하는 크로아티아계 인구는 미국이나 칠레 등으로 이민한 크로아티아인들에 비해 규모가 훨씬 적은 편이었다. 20세기 초반 기준 약 2~3.000여 명 가량의 크로아티아인들이 호주에 정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세기 초반까지 크로아티아는 독립국이 아닌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호주로 이민한 크로아티아인들은 대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여권을 들고 왔다. 1901년 독립한 호주 연방은 크로아티아인들을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으로 개략적으로 분류하였다. 2차대전 이후 크로아티아인 난민이 주로 이루어지던 60~80년대 당시는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수십여 년간 크로아티아계 이민자들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으로 분류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골드 러시 시절에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호주 내륙 각지에 정착했다면 냉전 시절과 그 이후 [[보스니아 내전]] 당시 크로아티아인들은 주로 [[시드니]]와 [[멜버른]]에 정착하였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을 규정하는 기준은 이민자 및 그 후손의 자가응답, 본인의 정체성 혹은 종교에 있었다. 여기서 구유고 시절 출신 지역 등은 중요하지 않았다. 오늘날 크로아티아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 외에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던 가톨릭 크로아티아인들이 [[보스니아 전쟁]] 와중에 망명한 경우가 많있기 때문이다. 1977년에는 호주 내 크로아티아인들을 중심으로 유고슬라비아 대사관과 별개로 비공식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개설되었으나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1979년 문을 닫았다. 호주 인구조사에서 크로아티아계가 별도로 분류되기 시작한 시점은 1996년도부터이다. 영국계 주민들이 주로 [[크리켓]]같은 것을 할 때 크로아티아계 주민들은 대부분 축구를 해서인지 호주 축구 대표팀에서 크로아티아계가 유독 두각을 나타내는 편이며, 또한 다른 [[남슬라브]]인들과 마찬가지로 평균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체형 덕분에 패션 모델 특히 [[하이패션]] 필드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 유명 인물 == * [[닉 부이치치]] - [[세르비아인|세르비아계]]. * [[마크 브레시아노]] * [[마크 비두카]] * [[매튜 저먼]] * [[밀레 예디낙]] * [[안드레야 페이치]] * [[에디 보스나]] * [[토니 포포비치]] * [[엘비스 시노식]] * [[앤서니 페로쉬]] == 관련 문서 == * [[크로아티아인]] * [[크로아티아계 미국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분류:크로아티아계 호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