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크세나칸투스}}}[br]Xenacanth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세나칸투스 화석.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Xenacanthus'' '''[br]Beyrich, 184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 ^^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골어강 ^^Chondrichthye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아강'''}}}]] ||판새아강 ^^Elasmobranch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크세나칸투스목 ^^Xenacanthid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크세나칸투스과 ^^Xenacanth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크세나칸투스속 ^^''Xenacanthus''^^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ff,#191919> * †크세나칸투스 데케니(''X. decheni'')^^{{{-1 모식종}}}^^[br]Goldfuss 1847 * †크세나칸투스 라이비스시무스(''X. laevissimus'')[br]Agassiz, 1837 * †크세나칸투스 깁보수스(''X. gibbosus'')[br]Binney, 1841 * †크세나칸투스 콤프레수스(''X. compressus'')[br]Newberry, 1856 * †크세나칸투스 라투스(''X. latus'')[br]Newberry & Worthen, 1866 * †크세나칸투스 덴티쿨라투스(''X. denticulatus'')[br]Davis, 1880 * †크세나칸투스 에렉투스(''X. erectus'')[br]Davis, J.W., 1880 * †크세나칸투스 로부스투스(''X. robustus'')[br]Davis 1880 * †크세나칸투스 모오레이(''X. moorei'')[br]Woodward, 1889 * †크세나칸투스 오발리스(''X. ovalis'')[br]Fritsch, 1890 * †크세나칸투스 파랄렐루스(''X. parallelus'')[br]Fritsch, 1890 * †크세나칸투스 세르라투스(''X. serratus'')[br]Davis, 1892 * †크세나칸투스 파르비덴스(''X. parvidens'')[br]Woodward, 1908 * †크세나칸투스 오스시아니(''X. ossiani'')[br]Johnson, 1999 * †크세나칸투스 라곤하이(''X. ragonhai'')[br]Pauliv et al., 2014 * †크세나칸투스 아트리오시스(''X. atriossis'')[br]?, ? * †크세나칸투스 그라킬리스(''X. gracilis'')[br]?, ? * †크세나칸투스 호우세이(''X. howsei'')[br]?, ? * †크세나칸투스 루에데르네시스(''X. luedernesis'')[br]?, ? * †크세나칸투스 슬라우그테리(''X. slaughteri'')[br]?, ? * †크세나칸투스 타일로리(''X. taylori'')[br]?,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크세나칸투스 사냥.jpg|width=100%]]}}}|| || 소형 [[어류]]들을 사냥하는 크세나칸투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크세나칸투스 복원도.jpg|width=100%]]}}}|| || 복원도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크세나칸투스 골격도.jpg|width=100%]]}}}|| ||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생대]] [[데본기]] 후기부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가 끝날 무렵까지 생존한 고대 어류. [[상어]]와 같은 판새아강에 속하긴 하나 상어상목에 속하지 않으므로 상어는 아니다. 속명의 뜻은 '이질적인 가시'. == 특징 == [[유럽]] 일대와 [[미국]], [[인도]] 등 전 세계 곳곳에서 화석이 발견될 정도로 번성한 상어의 친척으로, 무려 [[페름기 대멸종]]을 버텨내고 살아남았다. 주로 하천이나 시내 등의 담수 일대에 서식하면서 V자 모양의 이빨로 작은 [[갑각류]]나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몸길이는 약 2m 정도로 전체적인 생김새가 현생 상어들과 약간 비슷하지만 많이 다른데, 꼬리 주변 뒷지느러미와 합쳐진 꼬리지느러미와 리본 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등지느러미가 마치 [[붕장어]]를 연상시킨다. 실제로 유영 방식이나 사냥 방식 등 생태적 측면에서도 여러모로 붕장어와 비슷한 점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 뒤에는 속명의 유래가 되기도 한 뾰족한 가시가 길게 뻗어나와있는데, 이는 천적에 대한 방어수단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일각에서는 현생 [[노랑가오리]]의 꼬리에 달린 독침처럼 이 가시에 독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 대중매체 == 뜬금없이 [[디스커버리 채널]]의 '''낚시 전문 프로그램인''' [[River Monsters]]에서 등장한다. 고생대 관련 에피소드로, 작중에서는 민물에 서식하면서 매복 사냥을 하는 습성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는 제나칸투스라는 이름으로 등장. 선공형 생물이며 피격 시 독에 걸린다. [[분류:크세나칸투스과]][[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