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큰기러기}}}[br]Tundra bean goo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ser_serrirostri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Anser serrirostris'' '''[br](Gould, 1852)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가금상목(Galloanserae)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기러기목(Anse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오리과(Anatidae) || || '''아과''' ||기러기아과(Anser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기러기속(''Anser'')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큰기러기(''A. serrirostr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큰기러기'''는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흔한 [[겨울철새]][* 그러나 가끔 번식을 하러 북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여름에도 우리나라에 머무는 개체들도 있다.] 이다. 쇠기러기와 함께 논에서 제일 많이 보이는 기러기종류이다. 멸종위기조류 2급이다. == 생김새 == 전체적으로 암갈색이고 아랫부분은 색이 옅다. 다리는 주황색이다. 부리는 검은색이고 부리 끝에 노란 무늬가 있다. 이마가 둥글며 부리 길이가 짧은 편이다. 어린새는 전체적으로 성조보다 색이 옅다. 큰기러기의 유사종으로 [[큰부리큰기러기]]가 있다. ==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부 툰드라 지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남부, 중앙아시아, 한국, 중국 양쯔강, 황하 강 유역, 일본에서 월동을 한다. 주로 논에 살지만 강하구, 갯벌, 호수 등에서도 서식한다. 일부 큰기러기들은 사람과 가까운 도심 하천에 찾아오기도 한다. == 먹이 == 평소에는 부드러운 먹이를 먹지만, 겨울에 우리나라 등으로 이동하면 억센 풀을 먹기도 한다. 물풀, 식물의 잎 등을 먹기도 하며 논밭에서 낙곡을 주워 먹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그 경우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조류]]의 배설물이 아닌 [[포유류]]의 배설물과 닮은 [[배설물]]을 배출한다. == 기타 == 국내에서 포획된 개체를 볼 수 있는 곳은 [[서울동물원]] 큰물새장이 유일하다. == 사진 == [[파일:큰기러기.jpg]] [[분류:기러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