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큰소쩍새}}}[br]Japanese scops ow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tus bakkamoen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Otus bakkamoena'' '''[br]Pennant, 1769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올빼미목(String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올빼미과(Strigidae) || || '''아과''' ||올빼미아과(Strig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소쩍새속(''Ot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큰소쩍새(''O. bakkamoena'')''' || [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24호)] [목차] [clearfix] [[https://i.namu.wiki/i/xplc5UiG2HwFmuYnJgvlJzzHmcX8VDFgl-OvjHOVVx7xb7zobxJwx8zHuN_jmp3swMUbfWQUT-VnhS2B7-8IeaW7bOl2M-_TxSXlOKnnWAE-XvUXaQAYknsuKX6BdhedDOqkZtUB5DJIU5MfoyVO_Q.webp]] == 개요 == 큰소쩍새는 올빼미목 올빼미과에 속하는 맹금류이다. 구대륙의 아프리카조류 계통에 해당된다. == 생김새 == 대다수의 동물의 일반 형태가 그렇듯이, 수컷이 암컷보다 작다. 몸길이는 성체 암컷 기준으로 23.5~25.5cm 된다. 귀깃이 큰 편이다. 소쩍새와 달리 발에도 깃털이 있다. 소리를 줄여서 먹잇감인 새나 쥐를 더 잘 잡을 수 있도록 진화했다. == 생태 ==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기도 한다. 육식성으로 먹이는 주로 곤충이지만 작은 새, 도마뱀, 개구리, 거미, 쥐를 잡아먹는다. 알은 3~5개를 낳는다. 부화와 육추가 한꺼번에 일어나지 않고 시차가 있으므로, 만약에 어미 새가 물어다 주는 먹잇감인 새가 부족하면 더 먼저 태어난 새끼가 더 나중에 태어난 새끼를 잡아먹는 카니발리즘 (동족포식)이 일어난다.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겨울 철새이자 흔하지 않은 텃새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32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분류:소쩍새속]][[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